목록발해의 역사 (1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210 : 발해의 역사 13 (제5대 성왕 대화여) 제5대 성왕 대화여 성왕(成王, ? ~ 794년, 재위 : 793년 ~ 794년)은 발해의 제5대 왕이며, 이름은 대화여(大華璵)이다. 문왕의 손자이다. 793년에 포학한 행동을 한 대원의가 왕위에서 쫓겨나자 그 뒤를 계승했다. 연호를 중흥(中興)으로 고치고 수도를 동경..
한국의 역사 209 : 발해의 역사 12 (제4대 폐왕 대원의) 제4대 폐왕 대원의 발해 폐왕 대원의(大元義, ?~793년, 재위: 793년)는 발해 제4대 왕이다. 그는 대조영의 종손(從孫)이자 문왕의 족제(族弟, 친척동생)이며 재위 중에 쫓겨났기 때문에 시호가 없다. 생애 대원의는 문왕의 태자인 대굉림(大宏臨)이 일찍 ..
한국의 역사 208 : 발해의 역사 11 (제3대 문왕 대흠무 3) 내분기의 왕위계승 체제정비 과정의 갈등과 동경 천도 문왕대에 체제가 정비되며 주변의 말갈제부로 확대된 영역에 대해서는 중요 거점의 지방세력이 중앙의 지배층에 편입되어 국왕의 이름으로 도독과 자사가 파견되는 형태를 띠었다. 그러나 ..
한국의 역사 207 : 발해의 역사 10 (제3대 문왕 대흠무 2) 제3대 문왕 대흠무 2 왕권의식의 고양과 대일외교 갈등 발해는 727년 외교적 고립 상태를 타개하기 위하여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때 발해가 보낸 국서에는 '무예가 아룁니다'로 시작하여 일본 군주를 대왕으로 호칭하였다. 이에 대해 일본은..
한국의 역사 206 : 발해의 역사 9 (제3대 문왕 대흠무 1) 제3대 문왕 대흠무1 문왕(文王, ? ~ 793년, 재위: 737년 ~ 793년)은 발해의 제3대 왕으로, 이름은 대흠무(大欽茂), 연호는 대흥(大興)이다. 그의 부인은 효의황후(孝懿皇后)로 룽터우산 고분군 M12 묘지의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생애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
한국의 역사 205 : 발해의 역사 8 (제2대 무왕 대무예 2) 정치 세력 분화와 대당 강경책 반당파 정국 주도와 등주 공격 726년 당이 흑수말갈에 기미주를 설치함으로써 발해에서는 흑수말갈 토벌을 둘러싼 지배층의 의견 대립, 흑수말갈 토벌의 강행, 대문예의 망명 등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였다. 대문예가 ..
한국의 역사 203 : 발해의 역사 6 (발해 건국 과정 2 : 고왕 대조영) 제1대 고왕 대조영 고왕(高王, ? ~ 719년, 재위: 698년 ~ 719년)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인 발해(渤海)의 시조로서, 성은 대(大)이고, 휘는 조영(祚榮)이다. 대조영은 대중상(大仲象, 걸걸중상, 대걸중상)의 아들로서, 옛 고구려의 장수이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