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병자호란 (14)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17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22 4. 언제 한번 죽기 살기로 싸워본 적이 있는가? 어떤 바보라도 막을 수 있었던 병자호란 청군은 어떻게 바람처럼 서울에 당도했을까? "이제 국운이 다했으니 올바르게 죽고 싶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가 부르짖은 한마디였다. 조선..
한국의 역사 736 : 조선의 역사 278 (제16대 인조 53)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후금)의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34 강화도가 함락되다(Ⅰ) '海戰 경험 적은 淸軍 얕보다 허찔려 철옹성 와르르’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나가는 문제를 놓고 ..
한국의 역사 733 : 조선의 역사 275 (제16대 인조 50)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후금)의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31 다시 화친을 시도하다 1 남한산성에서 고단한 나날을 보낸 것이 어느덧 17일, 병자년(丙子年)이 저물고 정축년(丁丑年)이..
한국의 역사 731 : 조선의 역사 273 (제16대 인조 48)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후금)의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29 남한산성의 나날들 1 '인조의 가짜 아우 인질로 보냈다가 더욱 궁지로 몰려' 인조는 결국 강화도로 가는 것을 포기했다. ..
한국의 역사 699 : 조선의 역사 241 (제16대 인조실록 16)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병자호란(계속) 훈련대장 신경진은 동성 망월대를, 호위대장 구굉은 남성을, 총융대장 이서는 북성을, 수어사 이시백은 서성을 지키게 ..
한국의 역사 698 : 조선의 역사 240 (제16대 인조실록 15)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병자호란 정묘약조 이후 조선은 후금의 요구에 따라 중강과 회령에서 각각 후금에게 세패를 보내고 약간의 필수품을 공급하였다. 하지..
한국의 역사 685 : 조선의 역사 227 (제16대 인조실록 2) 남한산성 정묘호란 인조 정권은 광해군 때의 후금의 존재를 인정하는 현실주의적 외교정책을 비판하고 조선의 국력과 걸맞지 않은 무리수를 두는 "친명배금정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때에 1624년 인조 반정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