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의 역사 (18)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끝) : 한국의 역사를 마치며...... 지구촌 야경 지구촌 야경을 보면 불빛이 밝은 지역은 국민들이 자유와 인권을 누리며 대부분 선진국으로 살아가는 나라들이 대부분이다. 정치적 종교적 폭압과 부패한 지도층, 그리고 깨우치지 못한 지역은 아직도 어두움을 벗어나지 못하..
한국의 역사 479 : 조선의 역사 21 (태종실록 1) 제3대 태종 태종(太宗, 1367년 음력 5월 16일 ~ 1422년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다. 휘는 방원(芳遠), 자는 유덕(遺德)이다. 왕자 때 받은 군호는 정안군(靖安君), 정안대군(靖安大君)이..
한국의 역사 474 : 조선의 역사 16 (태조실록 9) 태조실록(1335~1408년, 재위 1392년 7월 ~ 1398년 9월, 6년 2개월) 장군을 군왕으로 만든 무학 정도전이 이성계에게 새로운 왕국 건설의 당위성을 가르쳤다면 무학은 이성계를 일개 장수에서 군왕으로 이끈 사람이다. 다시 말해서 정도전이 이..
한국의 역사 463 : 조선의 역사 5 (개요 4) 정치 조선 행정기구 조직. 중앙 정치 체제 조선의 중앙 정치 체제는 경국대전으로 법제화하였다. 중앙 정치는 문반과 무반의 양반으로 구성하여 운영되었다. 기본 9품에 조와 종이 있어 모두 18품계를 이루었다. 또한 주요 직급자인 당상관..
한국의 역사 462 : 조선의 역사 4 (개요 3) 후기 붕당 정치의 변질 인조반정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들의 정치력은 근본적으로 지주제에 토대하였기에, 그들의 개혁안은 일정한 한계를 지니는 것이었다. 따라서 서인 정권은 기층 사회의 움직임에 미봉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었다. 서..
한국의 역사 461 : 조선의 역사 3 (개요 2) 중기 그러나 시대가 내려오면서 제도의 결함이 드러나게 되고, 특히 지배계급의 경제적 기반인 토지제도의 문란에 따른 훈구 재상의 대토지 소유는 토지분배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신진 사류의 불만을 사게 되어, 여러 번에 걸쳐 사화라는 ..
한국의 역사 460 : 조선의 역사 2 (개요 1) 한국의 역사 (연표)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환인 환웅 시대 구 분 ‥ 원 삼 국 | 삼 국 | 남 북 국 | 후 삼 국 고조선 진국 삼한 옥저 동 예 부 여 진 한 변 한 마 한 가 야 백 제 고 구 려 신 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