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선의 역사 (26)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521 : 조선의 역사 63 (세조실록 7) 제7대 세조실록(1417~1468년, 재위 1455년 윤6월 ~ 1468년 9월, 13년 3개월) 2. 세조의 강권 정치와 문치의 후퇴(계속) 명, 왜 등의 외국과는 유화정책을 통해 변방의 안정을 꾀했으며, 문화사업도 활발히 벌여 <역학계몽>, <주역구걸>, <대명..
한국의 역사 520 : 조선의 역사 62 (세조실록 6) 제7대 세조실록(1417~1468년, 재위 1455년 윤6월 ~ 1468년 9월, 13년 3개월) 2. 세조의 강권 정치와 문치의 후퇴 1453년 게유정난으로 왕권과 신권을 완전히 장악한 수양대군은 그 후 노골적으로 왕위를 넘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침내 죽음의 두려움에..
한국의 역사 515 : 조선의 역사 57 (세조실록 1) 드라마 '공주의 남자' 장면 제7대 세조 세조(世祖, 1417년 9월 29일 ~ 1468년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다. 조선 왕조에서 최초로 왕세자를 거치지 않고 즉위한 임금이자, 최초로 반정을 일으켜 즉위한 군주이다. 휘는 ..
한국의 역사 514 : 조선의 역사 56 (단종실록 4) 단종의 장릉 제6대 단종실록(1441~1457년, 재위 1452년 5월 ~ 1455년 윤6월, 3년 2개월) 4. 단종 복위운동을 전개한 사람들 단종이 상왕으로 물러나자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을 역모로 단정지은 사람들은 단종 복위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건..
한국의 역사 500 : 조선의 역사 42 (세종실록 10) 제4대 세종실록(1397~1450년, 재위 1418년 8월 ~ 1450년 2월, 31년 6개월) 5. 언어학사의 혁명, 훈민정음 창제 문자 창제 작업 시기는? 세종은 언제부터 훈민정음 창제 작업을 시작했을까? <세종실록> 1444년 2월 20일 기사에서 세종은 최만리..
한국의 역사 491 : 조선의 역사 33 (세종실록 1) 제4대 세종 세종(世宗, 1397년 음력 4월 10일 (양력 5월 15일) ~ 1450년 음력 2월 17일 (양력 4월 8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왕이다. 성은 이(李), 휘는 도(祹, 示+匋), 자는 원정(元正)이다. 사후 묘호는 세종(世宗), 시호는 장헌대왕..
한국의 역사 485 : 조선의 역사 27 (태종실록 7) 태종실록(1367~1422년, 재위 1400년 11월 ~ 1418년 8월, 17년 10개월) 4. 태종시대 주요 사건 조사의의 난 1402년 11월에 일어난 조사의 의 난은 신덕왕후 강씨 척족들이 왕위에서 밀려난 이성계의 복위를 도모한 사건으로 주모자는 조사의와 강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