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왕권강화 (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674 : 조선의 역사 216 (광해군 일기 2) 제15대 광해군 일기(1575~1641년, 재위: 1608년 2월~1623년 3월, 15년 1개월, 유배기간 18년) 2. 실리주의자 광해군의 과감한 현실정치 우여곡절 끝에 비로소 왕으로 등극한 광해군은 외적으로는 실리적 외교론을 폈고, 내적으로는 왕권 강화를 통해..
한국의 역사 528 : 조선의 역사 70 (세조실록 14) 제7대 세조실록(1417~1468년, 재위 1455년 윤6월 ~ 1468년 9월, 13년 3개월) 세조 시대의 평가 2 또 다른 네티즌의 글을 참고로 싣는다. 1. 정권 자체의 정당성 결여 한 시대의 정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함에 있어서는 그 시대가 지향하는 이념적인 가치..
한국의 역사 521 : 조선의 역사 63 (세조실록 7) 제7대 세조실록(1417~1468년, 재위 1455년 윤6월 ~ 1468년 9월, 13년 3개월) 2. 세조의 강권 정치와 문치의 후퇴(계속) 명, 왜 등의 외국과는 유화정책을 통해 변방의 안정을 꾀했으며, 문화사업도 활발히 벌여 <역학계몽>, <주역구걸>, <대명..
한국의 역사 513 : 조선의 역사 55 (단종실록 3) 단종의 장릉 제6대 단종실록(1441~1457년, 재위 1452년 5월 ~ 1455년 윤6월, 3년 2개월) 3. 계유정난의 배경과 사건 분석 12세의 어린 나이로 단종이 조선 재6대 왕으로 즉위하자 조정은 고명대신에 의해 장악된다. 이는 곧 조정이 신권에 의해 왕전히 ..
한국의 역사 479 : 조선의 역사 21 (태종실록 1) 제3대 태종 태종(太宗, 1367년 음력 5월 16일 ~ 1422년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다. 휘는 방원(芳遠), 자는 유덕(遺德)이다. 왕자 때 받은 군호는 정안군(靖安君), 정안대군(靖安大君)이..
한국의 역사 361 : 고려의 역사 129 (제17대 인종실록 8) 제17대 인종실록 (1109~1146년, 재위 1122년 4월~1146년 2월, 23년 10개월) 4. 묘청의 난과 서경 세력의 몰락 이자겸의 난으로 고려 왕실은 완전히 권위를 상실하고 하마터면 왕위를 다른 성씨에게 빼앗길 뻔하는 고초를 겪었다. 왕건이 고려를 건국한 이래 20..
한국의 역사 289 : 고려의 역사 57 (제4대 광종실록 6) 제4대 광종실록 (925~975, 재위 949년 3월~975년 5월, 26년 2개월) 3. 광종의 왕권강화를 위한 일련의 개혁정책 노비안검법과 개혁바람(계속) 노비는 병역의 의무도 없었던 까닭에 노비의 증가는 국방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되기도 하였다.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