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국대전 (8)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10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15 3. 끊임없이 이어진 역모와 반역 첩만 거느릴 뿐 자식은 나몰라라 -서자들의 잦은 반란- 서얼 차별은 결국 밥그릇 싸움 조선을 통틀어 서자들이 일으킨 역모사건은 한 둘이 아니다. 또 대부분의 역모사건에는 반드시 서얼의 이름이 들어 있다. ..
한국의 역사 791 : 조선의 역사 333 (제21대 영조실록 13) 영조의 원릉 제21대 영조실록(1694~1776년, 재위 : 1724년 8월~1776년 3월, 51년 7개월) 6. 서얼계급의 성장과 서얼통청 운동 조선 사회는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첩을 인정하는 이중적인 가족제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때..
한국의 역사 771 : 조선의 역사 313 (제19대 숙종실록 19)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6. 오가작통법과 향촌 사회 숙종 대의 향촌 정책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오가작통의 강화였다. 이 제도는 조선 초부터 꾸준히 실시된 것이었지만 숙종 대만큼 ..
한국의 역사 549 : 조선의 역사 91 (성종실록 19) 제9대 성종실록(1457~1494년, 재위 1469년 11월 ~ 1494년 12월, 25년 1개월) 9. 성종시대의 역사적인 평가 (계속) 중궁의 자리는 이듬해 숙의 윤씨로 정해지게 되어 폐비된 윤씨를 대신하였다. 즉, 1480년(성종 11) 11월 8일에 새로이 왕비를 책봉하여 곤위(..
한국의 역사 538 : 조선의 역사 80 (성종실록 8) 제9대 성종실록(1457~1494년, 재위 1469년 11월 ~ 1494년 12월, 25년 1개월) 6. <경국대전>완성의 의미와 형성 과정 고려부터 조선 초에 걸쳐 반포된 법전, 교지, 조례,관례 등을 총망라하여 세조 때부터 편찬해오던 <경국대전>이 수차의 개정 끝..
한국의 역사 532 : 조선의 역사 74 (성종실록 2) 제9대 성종실록(1457~1494년, 재위 1469년 11월 ~ 1494년 12월, 25년 1개월) 1. 정희왕후와 한명회의 정치적 결탁을 통한 왕위 계승 예종은 불과 14개월이라는 짧은 치세를 남긴 채 요절하고 말았다. 그런데 예종이 죽던 날 세조비 정희왕후 윤씨는 한명..
한국의 역사 520 : 조선의 역사 62 (세조실록 6) 제7대 세조실록(1417~1468년, 재위 1455년 윤6월 ~ 1468년 9월, 13년 3개월) 2. 세조의 강권 정치와 문치의 후퇴 1453년 게유정난으로 왕권과 신권을 완전히 장악한 수양대군은 그 후 노골적으로 왕위를 넘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침내 죽음의 두려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