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임진왜란 (1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602 : 조선의 역사 144 (선조실록 9) 선조의 목릉 제14대 선조실록(1552~1608년, 재위: 1567년 7월~1608년 2월, 40년 7개월) 4. 임진왜란과 조선 사회의 변동 1 전쟁발발 이전 상황 임진왜란이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 왜국이 조선을 침범한 사건을 말하며, 1차를 임진왜란, 2차를 ..
한국의 역사 595 : 조선의 역사 137 (선조실록 2) ▲ 의인왕후릉(왼쪽)에서 본 선조의 능.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병풍석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등 전형적인 석물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제14대 선조(계속)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임진..
한국의 역사 594 : 조선의 역사 136 (선조실록 1) ▲ 의인왕후릉(왼쪽)에서 본 선조의 능.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병풍석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등 전형적인 석물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제14대 선조 선조(宣祖, 1552년(명종 7년) 음력 ..
중국의 역사 69 (청나라 건국 과정 3) 광해군은 성공적인 분조 활동을 통해 정치적 위상이 높아졌지만, 동시에 위기를 맞았다. 부왕 선조의 견제 때문이었다. 왜란 초반,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의주까지 파천하기에 급급했던 선조는 지존(至尊)으로서의 위신이 크게 떨어졌다. 더욱이 강화협상을 통해 전..
중국의 역사 68 (청나라 건국 과정 2) 명의 여진족 통치 1405년 퉁밍거티무르가 입조(入朝)해 건주위도지휘사에 임명된 이래 명의 여진족에 대한 포섭작업은 가속이 붙었다. 영락제(永樂帝)는 1409년 흑룡강, 우수리강 유역의 광활한 지역을 총괄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라는 기관을 ..
중국의 역사 67 (청나라 건국 과정 1)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의 글을 싣는다. 여진족과 만주, 그리고 명나라 ▲ 허투아라 성의 왕궁 모습. 왼쪽에 보이는 건물이 누르하치가 집무한 정전(正殿) 한왕전(汗王殿)이다. ●여진족과 만주, 그리고 명나라 여진은 상고 시기 숙신(肅愼), 말갈(靺鞨) 등으로 불..
백지원씨 '조일전쟁' 작가 백지원씨는 한국외국어대학 스페인어과를 졸업한 후 남미로 이민을 갔다가 현재는 미국 LA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강단에 서는 역사학자가 아니다. 그래서 그의 연구 영역에는 경계가 없다. 첯 저서 <백성 편에서 쓴 조선왕조실록, 왕을 참하라>에서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