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시대정신 (8)
향기마을
우면산의 겨울 21 :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과연 무엇인가? 11(마지막) 지금까지 김호기 연세대 교수가 쓴 <시대정신과 지식인>에 대한 내용을 요약했다. 삼국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 역사에서 지식인들이 시대정신을 어떻게 탐구해왔고 그것의 구현을 위해서 어떻게 자신..
우면산의 겨울 20 :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10 새벽 신반포 아파트 근방, 편의점 앞에서 '시대정신으로서의 산업화와 민주화' 박정희와 노무현 박정희와 노무현, 산업화와 민주화의 상징 지식인과 정치가는 사실 중첩되는 영역이 적지 않다. 지식인의 과제 중 하나가 지식 탐구..
우면산의 겨울 18 :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8 새벽 강남역 '민주주의와 생명주의의 최전선' 함석헌과 장일순 재야사상가로서의 함석헌과 장일순 지식인과 마찬가지로 사상가 역시 지식 탐구와 생산에 주력한다. 하지만 사상가라는 말이 함의하는 바는 지식인보다 포괄적이다. ..
우면산의 겨울 17 :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7 남부순환로 예술의 전당, 병원 갔다 오는 날 버스 속에서...... "식민지 시대와 근대적 민족주의" 신채호와 이광수 전통사회에서 모더니티로 가는 길목에 식민지 시대가 놓여 있었다는 것은 우리 역사에서 큰 비극의 하나였다. 우리 ..
우면산의 겨울 15 :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5 호남선 고속터미널 이건창과 서재필 모더니티로 가는 길에서 1876년 개항은 중대한 분수령을 이룬다. 그것은 나라의 문호를 열어 서양 문물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낯선 존재였던 서양인과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
우면산의 겨울 14 :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4 서울 성곽 북악산 산성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4 정약종과 정약용 조선 후기 최고의 지식인이라 할 수 있는 정약용과 그 형제들의 삶은 전통과 모더니티 사이에 서서 고뇌하고 새로운 방향을 치열하게 모색해간 개인사, ..
우면산의 겨울 12 :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2 춘천 의암호 석양 지금 우리시대의 시대정신은 무엇인가? 2 이황과 이이 선비란 '학식이 있고 행동과 예절이 바르며 의리와 원칙을 지키고 관직과 재물을 탐내지 않는 고결한 인품을 지닌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라고 사전에 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