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숙종실록 (14)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72 ; 조선의 역사 314 (제19대 숙종실록 20) 숙종시대에 대한 평가 1 조선의 역사에서 숙종 시대만큼 반전에 반전을 반복한 역사는 없을 듯하다. 숙종은 현종과 명성왕후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현종이 죽자 14세의 어린 나이에 조선의 제19대 왕으로 보위에 올라 바로 친정을 ..
한국의 역사 771 : 조선의 역사 313 (제19대 숙종실록 19)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6. 오가작통법과 향촌 사회 숙종 대의 향촌 정책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오가작통의 강화였다. 이 제도는 조선 초부터 꾸준히 실시된 것이었지만 숙종 대만큼 ..
한국의 역사 770 : 조선의 역사 312 (제19대 숙종실록 18)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5. 의적 신화 '장길산' 장길산은 숙종 대에 산적 두목으로 유명했던 실존 인물이다. <숙종실록>에는 조적의 괴수로 등장하고 있고, 이익의 <성호사설>에는 홍..
한국의 역사 769 : 조선의 역사 311 (제19대 숙종실록 17)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조선의 붕당정치 과정(계속) 두 번의 호란(胡亂)과 서인의 분열 대북파의 잔혹한 숙청으로 위기감을 느낀 서인과 동생을 죽인 광해군에 대한 복수심에 불탄 능양군(인..
한국의 역사 768 : 조선의 역사 310 (제19대 숙종실록 16)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조선의 붕당정치 과정(계속) 명종의 반격 17세에 중전으로 간택되어 34살 늦은 나이에 그토록 바라던 아들을 낳았던 문정왕후, 그 아들을 기어코 왕으로 만들었던 문정..
한국의 역사 765 : 조선의 역사 307 (제19대 숙종실록 13)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윤휴, 그는 누구인가? (계속) 북벌 상소와 개혁안 제시 1674년(숙종 즉위) 12월 1일 상소를 올려 병자호란, 정묘호란의 일을 언급하며 '복수설치'(復讐雪恥)를 주장하면서..
한국의 역사 762 : 조선의 역사 304 (제19대 숙종실록 10)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송시열, 그는 누구인가? (계속) 북벌론의 추진과 실패 김자점의 난과 북벌론 그 뒤 1649년(효종 1년) 인조의 뒤를 이어서 효종이 임금이 되자 부름을 받았다. 송시열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