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삼국사기 (8)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540 : 조선의 역사 82 (성종실록 10) 제9대 성종실록(1457~1494년, 재위 1469년 11월 ~ 1494년 12월, 25년 1개월) 7. 활발한 문화 서적의 편찬(계속) <동국통감> 이 책은 성종의 명에 따라 서거정 등이 신라 초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찬한 사서로 총 56권 28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
한국의 역사 364 : 고려의 역사 132 (제17대 인종실록 11) 제17대 인종실록 (1109~1146년, 재위 1122년 4월~1146년 2월, 23년 10개월) 4. 김부식과 삼국사기 묘청의 난을 제압하여 인종시대의 후반기 정치를 주도한 김부식은 원래 경주 출신으로 신라 왕족의 후예이다. 신라가 망할 즈음 그의 증조부 김위영은 왕건에..
한국의 역사 249 : 고려의 역사 17 (후삼국 실록 10) 국운을 건 명승부들 공산 대첩 -피눈물을 흘리면서 달아나는 왕건- 대야성 함락에 분통함을 이기지 못한 견훤은 보복을 다짐하며 환갑에 이른 노구를 이끌고 출정식을 거행했다. 보복전에 나선 견훤은 그해 9월 근품성을 회복하고, 신라 고을부(경북 영..
한국의 역사 224 : 발해의 역사 27 (발해사 인식의 변화 과정 1) 개요 최근 한.중.일 삼국간에는 역사분쟁이라고 볼릴 정도로 과거 역사를 둘러싸고 갈등과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한일간에는 일본 교과서 검정 문제, 그리고 한중간에는 중국이 추진하는 동북공정이 그것이다. 전자는 기본적으로 근대 일..
한국의 역사 67 : 백제의 역사 13 (제8대 고이왕 2) 백제의 대륙 진출 과정과 그 증거들 백제는 언제 대륙에 진출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쳤을까? 백제 땅이 대륙에도 있었다는 것은 이미 정설이 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인 성립 과정은 아직까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그러나 그에 관한 사료를 자세히 살펴..
한국의 역사 59 : 백제의 역사 5 (온조왕 시대의 주변 국가들) 온조왕시대의 주변 국가들 대방 백제사와 관련하여 대방이 역사서에 최초로 나타나는 것은 남북조시대 북조의 역사를 다룬 <북사>와 수나라 역사를 다룬 <수서>의 백제 편이다. <북사>는 당나라 태종과 고종 연간인 640~650년사이..
한국의 역사 57 : 백제의 역사 3 (건국과정 2) 백제 역사 기술과 대륙 백제의 실체 그렇다면 왜 이같은 조작된 기사가 등장하였을까? 이 의문을 풀기 위해서는 우선 최초로 백제의 역사가 기록된 순간이 언제부터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백제가 최초로 역사서를 만든 것은 근초고왕 30년인 375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