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환관 (8)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417 : 고려의 역사 186 (제27대 충숙왕실록 3) 제27대 충숙왕실록 (1294~1339년, 재위 1313년 3월~1330년 2월, 1332년 2월 복위~1339년 3월, 총 24년) 1. 충숙왕의 위태로운 삶과 불안정한 왕위(계속) 그러나 충숙왕의 수난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귀국하던 그해 2월 왕고의 동생 연덕..
한국의 역사 370 : 고려의 역사 138 (제18대 의종실록 5) 제18대 의종실록 (1127~1173년, 재위 1146년 2월~1170년 9월, 24년 7개월) 3. '정중부의 난'과 문신귀족의 몰락 정중부의 난은 고려 관료사회의 무반에 대한 홀대에 반발하여 일어난 반란 사건으로 명종 대 이후 1백 년간 지속되는 무신정권의 시초가 된다. 때..
한국의 역사 369 : 고려의 역사 137 (제18대 의종실록 4) 제18대 의종실록 (1127~1173년, 재위 1146년 2월~1170년 9월, 24년 7개월) 2. 환관정치의 주역 정함과 그 주변 인물들 의종은 문신들의 권력 독점에 반발하여 근위 세력 확충에 노력하였고, 그 과정에서 내관들에게 많은 것을 의존하였다. 그 결과 이른바 '환..
한국의 역사 368 : 고려의 역사 136 (제18대 의종실록 3) 제18대 의종실록 (1127~1173년, 재위 1146년 2월~1170년 9월, 24년 7개월) 1. 향략주의자 의종의 환관정치와 정중부의 난(계속) 주연이 펼쳐질 때마다 정중부를 비롯한 무인과 병사들이 주변을 지켜야 했는데, 주연이 길어지면 그들은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
중국의 역사 85 (이자성의 난) 명나라에서 반란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명의 천계 7년(1627)으로 태종 홍타이지가 조선에 출병하여 정묘호란을 일으킨 해부터였다. 명나라는 청나라와 계속되는 싸움으로 막대한 군비를 감당해야 했고 세금을 과중하게 징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과중한 세금으로 백성들..
중국의 역사 74 (청나라 건국 과정 9) 자강론의 이상과 현실 우여곡절 끝에 후금과 화친함으로써 정묘호란은 끝났다. 인조 정권은 어렵사리 종사(宗社)를 보전할 수 있었지만 남겨진 과제는 참으로 버거웠다. 먼저 후금군과 이렇다할 전투 한 번 변변히 치러보지 못하고 강화도로 피란했던 현실을 돌아..
중국의 역사 46 (당나라 2 : 역대 황제) 역대 황제 당나라 황제와 연호 1 대수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재위기간 - - 덕명황제 (德明皇帝) (당 고조 추숭) 고도(皋陶) - - - - 선천태상황제 (先天太上皇帝) (당 현종 추숭) 이경(李敬) - - - 당 성조 (唐聖祖) (당 현종 추숭) 고상대광도금궐 현원태상천황대제 (高上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