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종실록 (18)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49: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54 서울 성벽 전경 8. 조선의 공도 정책과 독도 영토 분쟁 조선의 '공도 정책' 동해안 바다 멀리 떨어진 울릉도는 전복도 많고 대나무와 목재가 무성한 섬이었다. 고려 이전 시대부터 그런 소문에 대한 보고가 심심찮게 이어지면서 역대 왕들은 그 ..
한국의 역사 508 : 조선의 역사 50 (세종실록 18) 제4대 세종실록(1397~1450년, 재위 1418년 8월 ~ 1450년 2월, 31년 6개월) 9. 세종시대 평가 감히 대왕 세종을 평가한다는 게 언어도단이기도 하지만, 우리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성군이시기에 필설로 어찌 다 표현할 수 있을 것인가? 600여 년이나 지난..
한국의 역사 507 : 조선의 역사 49 (세종실록 17) 제4대 세종실록(1397~1450년, 재위 1418년 8월 ~ 1450년 2월, 31년 6개월) 8. 사군육진개척과 대마도 정벌 사군육진(四郡六鎭) 개척 조선 시대의 외교정책에서 가장 부심(腐心)했던 것의 하나가 바로 여진과의 관계였다. 그러므로 조선은 일본의 경우..
한국의 역사 506 : 조선의 역사 48 (세종실록 16) 제4대 세종실록(1397~1450년, 재위 1418년 8월 ~ 1450년 2월, 31년 6개월) 6. 세종시대를 빛낸 사람들 <농사직설>을 집필한 정초 세종시대의 영화를 가능케 했던 가장 큰 요인은 경제적인 안정이었다. 당시의 사회가 노경사회였던 만큼 경제적인 ..
한국의 역사 505 : 조선의 역사 47 (세종실록 15) 제4대 세종실록(1397~1450년, 재위 1418년 8월 ~ 1450년 2월, 31년 6개월) 6. 세종시대를 빛낸 사람들 과학혁명의 주창자 장영실 세종시대의 과학혁명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주도한 사람은 단연 장영실이었다. 세종의 과학적 열정이 아무리 대..
한국의 역사 504 : 조선의 역사 46 (세종실록 14) 제4대 세종실록(1397~1450년, 재위 1418년 8월 ~ 1450년 2월, 31년 6개월) 6. 세종시대를 빛낸 사람들 희대의 명재상 황희와 맹사성 조선사를 통틀어 황희와 맹사성에 비견할 만한 뛰어난 재상이 또 있을까? 이들은 세종 대의 정치적 안정과 문..
한국의 역사 502 : 조선의 역사 44 (세종실록 12) 제4대 세종실록(1397~1450년, 재위 1418년 8월 ~ 1450년 2월, 31년 6개월) 실제 세종의 한글 창제 이후 조선 시대에 한글은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유신들에게 배척과 멸시를 받으며 음성적으로 백성들과 부녀자들에게 확산되어 갔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