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남한산성 (13)
향기마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0auwE/btrFdHz7igP/PE9eJPRLxVXKQWExGcNEt0/img.jpg)
마음이 가는 곳에, 두바퀴가 머무는 곳에 21 남한산성 정상 먹거리 광장 남한산성 주행 2 남한산성은 과거 차량을 타고 몇 번은 지나다닌 적이 있던 곳으로 대략의 지형은 기억이 난다. 오르내리막길이 가파르고 좁고 구불구불하게 커버진 길이 많은 곳이다. 그래서 단단히 마음을 먹고 혼자서 가는 길을 찿아간다고 갔다. 호평동에서 왕숙천을 지나 한강을 달려 잠실철교에 도착했다. 호평동에서 여기까지 딱 30킬로미터 거리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탄천 자전거길을 따라 올라가면 쉽게 갈 수 있는 남한산성 가는 길을 몰라서 잠실 사거리로 가서 성남쪽으로 갔다. 북잡한 잠실 사거리를 지나 성남 방향으로 가다보면 옛날 육군 행장학교와 교도소가 있던 곳이 기억나고 내가 남한산성을 내려오면서 지나온 적이 몇 번 있어 일단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A81q/btrE8MVQNJK/3MiGBtBxqWUqxLK2VHVyz0/img.jpg)
마음이 가는 곳에, 두바퀴가 머무는 곳에 20 산성 정상 일대 남한산성 주행 1 지난 5월 25일에는 남한산성을 주파했다. 남한산성은 오르내리막길이 좁고 다니는 차량이 많아 좀 위험한 길이기는 하지만 언젠가는 한번은 주파하기로 한 지역이라 내친김에 이날 주파하기로 한 것이다. 남한산성에 대해서는 책이나 영화로 소개된 적이 있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곳이다. 서울 인근에 위치한 방어시설로 삼국시대 이래 오랜 기간동안 우리 역사의 현장이 되기도 한 곳이다. 산세가 험하고 조망이 좋고 한강을 통제하며 한양 방어의 최후 거점으로 인식되어 누대에 걸쳐 성곽 축성과 각종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서울로 들어오는 차량의 지름길로 이용되기도 하고 드라이브 코스, 역사 유적 탐방, 맛집, 자전거족..
한국의 역사 917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22 4. 언제 한번 죽기 살기로 싸워본 적이 있는가? 어떤 바보라도 막을 수 있었던 병자호란 청군은 어떻게 바람처럼 서울에 당도했을까? "이제 국운이 다했으니 올바르게 죽고 싶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가 부르짖은 한마디였다. 조선..
한국의 역사 702 : 조선의 역사 244 (제16대 인조 19)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인조실록의 내용은 아니나 추가로 조선의 군사제도와 정묘.병자호란 당시 군사력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3. 병자호란 직전의 군사력 남한산성의 강화와 수어청의 ..
한국의 역사 701 : 조선의 역사 243 (제16대 인조 18)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조선의 군비 실태 1. 조선 군제의 변천 과정 조선 초기의 국방 체계 조선 왕조의 전통적인 군사 제도의 운영 원칙은 양인 개병과 병농 일치를 근간으로 하는 것이었다. ..
한국의 역사 699 : 조선의 역사 241 (제16대 인조실록 16)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병자호란(계속) 훈련대장 신경진은 동성 망월대를, 호위대장 구굉은 남성을, 총융대장 이서는 북성을, 수어사 이시백은 서성을 지키게 ..
한국의 역사 698 : 조선의 역사 240 (제16대 인조실록 15)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병자호란 정묘약조 이후 조선은 후금의 요구에 따라 중강과 회령에서 각각 후금에게 세패를 보내고 약간의 필수품을 공급하였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