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광해군 (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06 : 조선의 역사 248 (제16대 인조 23)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3 누르하치 명에 도전하다 명의 지배 아래 있던 여진족은 크게 건주, 해서, 야인의 세 종족으로 구분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강했던..
한국의 역사 674 : 조선의 역사 216 (광해군 일기 2) 제15대 광해군 일기(1575~1641년, 재위: 1608년 2월~1623년 3월, 15년 1개월, 유배기간 18년) 2. 실리주의자 광해군의 과감한 현실정치 우여곡절 끝에 비로소 왕으로 등극한 광해군은 외적으로는 실리적 외교론을 폈고, 내적으로는 왕권 강화를 통해..
한국의 역사 672 : 조선의 역사 214 (선조실록 79) 임진왜란 경과 제14대 선조실록(1552~1608년, 재위: 1567년 7월~1608년 2월, 40년 7개월) 임진왜란을 마치며...... 조선의 역사를 출발하여 213일, 선조대에 들어와서 임진왜란을 기술하면서 78일, 즉 거의 1년의 3분지 2와 임진왜란만 거의 두 달 반 동안..
한국의 역사 599 : 조선의 역사 141 (선조실록 6) ▲ 의인왕후릉(왼쪽)에서 본 선조의 능.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병풍석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등 전형적인 석물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제14대 선조실록(1552~1608년, 재위: 1567년 7월~16..
한국의 역사 598 : 조선의 역사 140 (선조실록 5) ▲ 의인왕후릉(왼쪽)에서 본 선조의 능.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병풍석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등 전형적인 석물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제14대 선조실록(1552~1608년, 재위: 1567년 7월~16..
한국의 역사 597 : 조선의 역사 139 (선조실록 4) ▲ 의인왕후릉(왼쪽)에서 본 선조의 능.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병풍석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등 전형적인 석물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제14대 선조실록(1552~1608년, 재위: 1567년 7월~16..
중국의 역사 69 (청나라 건국 과정 3) 광해군은 성공적인 분조 활동을 통해 정치적 위상이 높아졌지만, 동시에 위기를 맞았다. 부왕 선조의 견제 때문이었다. 왜란 초반,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의주까지 파천하기에 급급했던 선조는 지존(至尊)으로서의 위신이 크게 떨어졌다. 더욱이 강화협상을 통해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