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418 : 고려의 역사 187 (제27대 충숙왕실록 4)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418 : 고려의 역사 187 (제27대 충숙왕실록 4)

두바퀴인생 2011. 11. 12. 03:39

 

 

 

한국의 역사 418 : 고려의 역사 187 (제27대 충숙왕실록 4)   

 

 

제27대 충숙왕실록

(1294~1339년, 재위 1313년 3월~1330년 2월, 1332년 2월 복위~1339년 3월, 총 24년)

원의 지배기 고려

원의 지배기원나라고려를 지배 하던 충렬왕 때부터 공민왕 초기까지를 일컫는다.

 

일본 원정

 고려가 원나라와 강화를 맺은 후에 당한 첫 시련은 일본 정벌이었다. 일찍부터 원나라는 고려를 통하여 일본의 조공(朝貢)을 받기를 원하였다. 한편 남송 공략에 대한 전략으로서 해상을 통하여 송나라와 교통이 빈번한 고려와 일본을 이용하려 한 것 같다.

 

제1차 원정은 1274년(충렬왕 즉위년)에 행해{{풀기:}}졌다. 고려의 김방경은 중군장(中軍將)이 되어서 원군과 함께 출전하였으나 이 원정은 실패하였고, 1281년(충렬왕 7년)의 제2차 원정마저 태풍으로 인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두 차례에 걸친 원정은 고려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왔으며, 농민들이 이 새로운 동원으로 입은 참상은 형언키 어려운 것이었다..

 

고려 왕실의 변질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원나라로 말미암아 초래된 고려 왕실의 변질이었다. 당시 원종은 병력을 빌려 임연(林衍) 부자를 타도하고 삼별초의 난을 진압하였으며, 왕권 강화를 위해 원나라 제실(帝室)의 공주를 정비(正妃)로 삼았고, 그 비의 몸에서 난 아들을 원칙으로 왕을 삼았다. 말하자면 고려는 원나라의 부마국(駙馬國 또는 속국屬國)이 되었다. 이후 역대 왕은 세자로 있을 때에는 독로화(禿魯花, 볼모)로서 북경에 머물다 즉위하게 되었다. 또한 왕은 몽골식 이름을 갖게 되고 몽골식 변발(辮髮)과 의복을 입었으며, 또 몽골어를 사용하다시피 하였다. 원 황제가 고려왕을 즉위 시키거나 폐위 시키기도 하였고, 사형이나 귀양을 보내기도 했다.

 

이제 고려의 왕은 독립된 자주국의 통치자가 아니라 원 제국의 제후가 되었으며, 고려 왕실도 따라서 그 격이 낮아졌다. 왕은 조(祖)나 종(宗)을 붙여서 묘호(廟號)를 지을 수가 없게 되었고, 그 대신 ‘왕(王)’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게다가 원나라에 대한 충성심의 뜻으로 ‘충(忠)’자를 덧붙였다. 짐(朕)은 고(孤)로, 폐하(陛下)는 전하(殿下)로, 태자(太子)는 세자(世子)로, 선지(宣旨)는 왕지(王旨)로 격하되었다. 왕위의 폐립(廢立)을 원나라가 좌우하는 일이 많았다. 관제도 많이 축소·개편·폐합되어, 충렬왕 때는 3성(三省)이 통합되어서 첨의부로,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개칭되었다. 또 이부(吏部)·예부(禮部)를 합쳐서 전리사(典理司)로, 호부(戶部)는 판도사(版圖司), 병부(兵部)는 군부사(軍簿司), 형부(刑部)는 전법사(典法司)로 하였으며, 공부(工部)는 없앴다. 한때 충선왕은 이 관호(官號)를 복구시키려고 하였으나 실패했다.

 

왕조의 유지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고려 왕조는 유지할 수 있었다. 원나라는 정동행성을 통하여 고려에 간섭하려고 하기도 했으나 고려 군신의 완강한 반대로 실패하였다. 원나라는 또 고려의 영토에 쌍성총관부, 동녕부를 두었고, 제주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했는 바 고려는 쌍성총관부를 제외하고는 이를 되돌려 받았다.

 

 

쌍성총관부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는 1258년원나라함경남도 화주(和州 : 영흥)에 설치한 통치기구이다.

 

쌍성총관부는 동녕부와 함께 고려인의 배반으로 원나라에 귀속된 영토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통치 기간이 100여 년간 유지되었다. 공민왕은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려는 자주권 회복 및 영토 회복을 위한 북벌 정책의 핵심으로, 이 쌍성총관부를 무력으로 격파하고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았다.

 

1258년(고종 45년)에 원나라의 별장 산길(散吉)과 보지(普只)가 동여진(東女眞)을 경유하여 장성(長城) 이남을 침공했다. 이들이 화주에 이르자 당시 동북면병마사 신집평(愼執平)은 주민들과 병사들을 이끌고 저도(楮島)에 들어가 지키다가 죽도(竹島)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조휘(趙暉)와 탁청(卓靑) 등이 등주 부사 박인기(朴仁起), 화주 부사 김선보(金宣甫) 및 동북면병마사 신집평을 죽이고, 철령 이북의 땅을 바치며 원나라에 투항했다.

 

중앙 정부와는 상관없이 진행된 사건으로, 원나라는 어쨌거나 새로 점령한 이 지역을 다스릴 기구로 쌍성총관부를 설치한다. 이때 초대 총관으로 조휘가 임명되었고, 탁청은 천호(千戶)에 임명되었다. 이후 총관은 한양 조씨 집안이 세습하여 조휘의 아들 조양기, 손자 조림, 종증손 조소생이 세습하였고, 천호도 탁청의 후손이 세습하였다.

 

한편, 10년 뒤인 1269년최탄은 반란을 일으킨 후, 서경을 비롯한 북계 54성과 자비령 이북 서해도 6성을 원나라에 바쳤고, 원나라는 서경을 동녕부로 개칭하여 자국 영토로 편입시켰다. 이 때는 원나라의 침입과도 무관하게 이루어진 일이었다.

 

쌍성총관부 탈환은 1356년(공민왕 5년)에 시작되었다. 1356년 음력 4월에서 음력 8월 사이에 추밀원부사였던 유인우(柳仁雨)는 동북병마사가 되어, 공민왕으로부터 쌍성총관부 탈환을 명령받고 대호군 공부보(貢夫甫), 종부령 김원봉(金元鳳),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 이인임 등과 함께 출정했다.

 

이때 조휘의 증손자인 총관 조소생과 천호 탁도경은 필사적으로 반격했으나 조휘의 손자인 조돈(趙暾)과 이자춘과 그의 아들 이성계가 내부에서 고려군과 내통하여 쌍성총관부의 성문을 열었다. 쌍성총관부는 함락되었고, 조소생은 도망갔다.

 

이후 유인우는 화주목(和州牧)을 설치하여 나머지 쌍성총관부가 관할하던 관할 지역을 수복했다. 쌍성총관부 함락에 공을 세운 이자춘은 동북병마사가 되어 중앙으로 진출할 수 있었고, 쌍성총관부의 초대 총관이었던 조휘의 후손인 조돈도 쌍성총관부 함락에 적극 협력하여 공을 세움으로써 조상의 배신을 청산하고 새로이 고려 중앙 정계에 진출했다. 이후 조돈은 조선 건국에도 관여하여 개국 공신에까지 이르렀다. 이성계가 나중에 태종을 싫어하여 함흥으로 떠나버린 것도 그의 출신지가 이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동녕부(東寧府)는 원나라고려 서경을 편입한 후 설치한 통치기관이다.

 

1269년(원종 10년) 서북면 병마사의 기관(記官)인 최탄(崔坦) 등이 난을 일으켜 서경을 비롯한 북계(北界)의 54성과 자비령(慈悲嶺) 이북 서해도(西海道)의 6성을 들어 원나라에 투항하였다.

 

1270년(원종 11년) 쿠빌라이 칸은 자비령을 경계를 삼아 그 이북의 영토를 모두 원나라에 편입하고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한 후, 최탄을 동녕부 총관(摠管)에 임명하였다. 이에 고려 원종은 원나라의 수도 대도(大都)로 입조하여 쿠빌라이 칸에게 자비령 이북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관철되지 않았고, 1275년(충렬왕 1년)에는 동녕부를 동녕총관부로 승격시켰다.

 

1290년에 고려의 끈질긴 요구를 받아들여 이 지역을 고려에 돌려주고, 동녕부를 요동(遼東)으로 옮겼다.

 

동녕부 정벌은 1369년(공민왕 18년)부터 1370년까지의 원·명 교체기의 공백 상태를 이용하여, 고려의 전통적인 북진책을 실현하려고 일으킨 원정이다.

 

1368년 원 순제주원장의 군대에게 쫓기다가 죽고, 그 뒤를 이어 기황후(奇皇后) 소생의 소종(昭宗)이 즉위하였으나 정세를 돌리지 못하였다. 고려의 공민왕은 원나라의 연호 대신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관직명을 원나라 침공 이전으로 복구하였다. 공민왕은 대륙의 정치적 변동을 이용하여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 북진주의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이에 원나라의 평장사(平章事) 기새인티무르(奇賽因帖木兒)가 그의 부친 기철이 고려에서 참형당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원나라 유민을 모아 동녕부에서 침공해왔다. 1369년(공민왕 18년) 음력 12월 고려에서는 이성계를 동북면 원수, 지용수(池龍壽)를 서북면 원수로 삼아 군사 1만 5천을 주어 원나라의 동녕부를 치게 하였다. 이성계는 1370년 음력 1월에 동북면에서 황초(黃草), 설한(雪寒)의 두 영(嶺)을 넘고, 압록강파저강(婆猪江)을 건너 이오로티무르(李吾魯帖木兒)가 지키는 우라산성(于羅山城)을 포위 공격하여 항복을 받았으며, 같은 해 11월에는 지용수와 합세하여 요동의 중심지인 요양(遼陽)을 공격하여 성을 빼앗았다.

 

그러나 이는 고려의 장기적인 점령으로 이어지지 못했으며, 부근 주민에게 고려에 귀순할 것을 권고하고 회군하였다. 결국 요하(遼河) 동쪽의 땅은 명나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조공 요구

원은 여러 명목을 붙여서 고려에 금·은·포백(布帛)·곡물·인삼·해동청(海東靑, ) 등 경제적인 징구(徵求)를 하였고, 심지어는 처녀·환관(宦官)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해동청의 징구에 응하여 널리 설치된 응방(鷹坊)은 여러 가지 폐단을 낳았다. 이리하여 농민은 고려와 원나라에 이중 부담을 짊어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은 유민이 되어 소극적인 반항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가운데서 고려의 귀족은 막대한 농장을 소유하게 되고, 유민을 모아다가 이를 경작시켰다.

 

심양왕

원과의 사이에 야기된 새로운 정치 문제는 남만주 일대를 관할하는 심양왕과의 관계였다. 이러한 고려 왕족의 심양왕 임명은 그 지방에 거주하는 고려민의 통제에 편할 뿐만 아니라, 또한 고려를 견제하게 하려던 것이다. 그 결과 고려 왕과 심양왕 사이에 대립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것은 원나라가 바라던 이이제이(以夷制夷) 정책이 그 목적을 달성하였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며, 원나라의 대(對)고려 정책에서 주목되어야 할 점의 하나이다.

 

원나라로 부터 주권 회복과 개혁 추진

고려 사회의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개혁정치는 원나라 세력을 축출하기 전에도 시도되었으나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1298년에 충렬왕으로부터 선위를 받은 충선왕은 즉위 교서를 통해 인사 행정 및 토지 겸병의 문제 등 국정 전반에 대한 개혁의 의지를 천명하였다. 그는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詞林院)을 설치하여 개혁정치를 추진하는 한편 전반적인 관제도 개정하였다. 그러나 부원 세력이 중심이 된 기득권 세력의 책동과 원나라의 지배에 따라 그가 폐위되고 충렬왕이 다시 즉위함으로써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관제 개혁도 원점으로 돌아가고 말았다. 충목왕(忠穆王) 즉위(1344년) 후에는 개혁 전담부서인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어 개혁이 추진되었으나(1347년), 역시 부원 세력의 방해와 원나라의 지배로 실패하고 말았다.

 

중앙 정부의 정치는 표류하고 있었지만, 사회적으로는 새로운 사회주도층인 신흥 사대부층(신흥양반)이 성장하고 있었다. 가중되는 수탈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농민들의 자구 노력이 기울여지는 가운데 신흥사대부들의 새로운 농서(農書)의 편찬 등에 힘입어 농업기술의 발달이 이루어짐으로써 농업생산이 증가하였다. 지방에 생활기반을 둔 중소지주층이었던 신흥사대부들은 농업생산력의 증가로 새로운 경제적인 힘을 갖게 되었다. 신흥사대부들은 선대가 지방의 향리 출신인 경우가 많았다. 그들은 과거에 급제하거나 군공(軍功)을 쌓아 문무품관리직을 획득하였으며, 사상적으로는 신유학(新儒學), 즉 성리학의 소양을 갖춘 지식층이었다. 이들은 점차 중앙에 진출하여 세력이 확대되고 있었으며, 사회문제의 개혁을 열망하였다.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하여 원세력을 축출하면서 개혁은 본격화되었다. 공민왕은 정방을 혁파함으로써 인사행정을 정상화하고 신흥사대부들을 기용하였다. 또한 그는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여 토지겸병과 양민의 불법적인 노비화를 바로잡는 개혁에도 착수하였다. 공민왕 5년(1356년)에는 기철(奇轍) 등의 부원세력들이 처단되고, 정동행성의 이문소(理問所)가 혁파되었으며, 쌍성총관부 지역이 무력으로 수복되었다. 또한 원나라의 압력으로 변경된 관제의 대부분이 3성·6부 등 본래의 관제로 일단 복구되었다. 공민왕은 이처럼 원나라에 정면으로 맞서는 한편, 원나라에 반기를 들고 새로이 일어난 명(明)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친명정책을 취하였다.

 

친원 세력의 축출은 이루어졌지만, 토지겸병과 양민의 불법적인 노비화 등에 대한 개혁은 권문세족의 반발로 인해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에 고려는 원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퇴한 홍건적(紅巾賊)의 두 차례에 걸친 침구(1359년·1361년)를 격퇴하고 원나라의 침공도 물리치긴(1363년) 했지만, 공민왕이 개혁을 추진하는 데는 역시 부담이 되었다.

 

공민왕은 재위 14년(1365년)부터 기득권층과 연결되지 않은 한미한 출신의 승려 신돈(辛旽)을 기용하여 과감한 개혁정치를 추진하였다. 권신들이 정권에서 축출되고, 신흥사대부 출신들이 대거 기용되었다. 또한 다시 설치된 전민변정도감이 활성화되어 권문세족이 탈취한 토지들이 원래의 주인에게 반환되고, 노비로서 억울함을 호소하는 이들이 양민으로 해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개혁을 이끌던 신돈이 권문세족들의 반발과 자신의 실책으로 제거되고, 공민왕마저 의문의 시해를 당함으로써(1374) 이 개혁도 실패로 끝났다. 이처럼 공민왕의 내정개혁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 과정에서 신흥사대부들이 중앙정계에 대거 진출하여 세력을 키움으로써 다음 단계 개혁의 밑바탕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