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는 우리땅’ 관심 가져야
향기마을
우면산의 여름 7 본문
우면산의 여름 7
국립국악원 아침 풍경
[특파원 리포트] 시인 윤동주와 간도협약 100년
![]() |
김청중 베이징 특파원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시로 꼽히는 ‘서시’를 비롯해 ‘별 헤는 밤’ 등 주옥같은 시를 남기고 떠난 윤동주(1917∼1945). 맑은 영혼의 소유자로 일제하 민족저항 시인의 한 명으로 꼽힌다. 그가 항일운동 혐의로 체포돼 28세의 나이에 일본 형무소에서 요절했다는 것은 한국에서 웬만한 사람은 거의 아는 상식이다.
그런데 윤동주가 중국인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중국에서 출판되고 있는 윤동주의 시집은 그를 ‘조선족’으로 표기하고 있다. 중국의 최대 포털사이트인 바이두(百度)를 검색해 본다. 역시 지린(吉林)성 출신의 ‘조선족 저명시인’이라고 설명한다. 조선족은 한족(漢族), 좡족(壯族), 만주족, 위구르족, 짱족(藏族·티베트족)과 함께 중국을 구성하는 56개 민족 중 하나를 지칭한다. 즉 조선족이란 중국인이라는 대전제에서 분류되는 갈래 중 하나다. 결국 ‘조선족 시인’ 윤동주란 ‘중국인 시인’ 윤동주란 뜻이다.
‘조선인’이라는 표현도 있는데 굳이 ‘조선족’이라고 분류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윤동주의 출신 지역과 관련 있다. 그는 간도(間島·북간도)에서 태어나 자랐다. 그는 서울·도쿄 유학생활을 거쳐 일본 후쿠오카에서 생을 마친 뒤 이곳으로 돌아와 영면했다. 그가 태어나 묻힌 곳이 바로 현재 지린성 관할인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이다. 그는 ‘중국 영토’인 용정 출신이기 때문에 ‘조선족 중국인’이 됐다. 늘봄 문익환은 윤동주의 죽마고우다. 그도 귀국하지 않았다면 ‘중국인’의 삶을 살았을 것이다. 말 그대로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 셈이다.
‘조선족 시인’ 윤동주는 한·중관계의 모순과 갈등의 역사를 그대로 보여준다. ‘중국 영토’에서 태어나 묻힌 그가 중국인이라는 논리는 많이 듣던 것이다. 바로 ‘현재의 중국 영토 내에서 있었던 모든 역사는 중국사’라는 동북공정의 논리와 맥을 같이한다. 고구려, 발해 역사가 송두리째 중국사가 되는 마당이다. 그렇게 보면 개인 윤동주의 삶이 중국인의 삶으로 변했다는 것은 그리 놀랄 일도 아닐 수 있다. 하지만 지하의 그가 이 사실을 안다면 억울해하지 않을까. 일제에 대한 저항이 적어도 중국인이 되려는 저항은 아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가 태어나 묻힌 땅이 간도라는 사실 때문에 중국인이 되어야 한다면 말이다.
티베트나 신장위구르자치구와 같은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한족식 표현을 빌리자면 간도야말로 자고이래(自古以來) 우리 겨레와 떼려야 뗄 수 없는(不可分割) 땅이다. 특히 해동성국 발해 시대에 이 지역은 우리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다. 대조영이 나라를 세운 동모산은 현재 연변주 돈화시에 있는 성자산 산성이다. 찬란한 문화를 꽃피운 발해의 세 도읍 가운데 중경(中京·화룡현 서고성), 동경(東京·훈춘시 팔련성)이 모두 연변주 내에 있었다.
간도는 생각보다 우리 가까이 있다. 지도를 펴서 백두산 서쪽의 압록강 하류지역에 있는 장백조선족자치현을 찾았다면 그곳이 서간도 지역이다. 북간도(동간도)는 두만강 건너 북쪽에 있는 현 연변주 지역에 해당한다.
사대외교를 국시로 내세운 조선도 이곳의 영토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대국인 명·청에 물러남이 없었다. 결국 조선의 외교권을 장악한 일본이 나섰다. 만주에서의 이권 확보를 대가로 청나라가 주장하는 경계선을 인정했다. 불법적인 간도협약이 그것이다. ‘중국령 간도’를 인정한 간도협약은 ‘조선족 시인’ 윤동주를 만든 ‘모태’이기도 하다.
내달 4일이면 간도협약 체결 100년이다. 내년은 국치(國恥) 100년이다. 지난 100년 우리는 무엇을 했는지 되돌아보면 부끄럽다. 독도에 대한 일본, 센카쿠제도에 대한 중국의 노력과 비교하면 간도에 대한 우리 정부의 의지와 대책이 있긴 한 건지 의문이다. 국민적 관심도 극히 낮기만 하다. 주요 20개국(G20), 세계 10대 경제대국 운운되는 시대에 간도가 다 무슨 소용 있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 흔들리는 북한은 어제의 간도가 될 수도 있다. 간도 문제가 단순히 영토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조선족 시인’ 윤동주는 간도 문제가 우리의 역사인식과 민족정신에 닿아 있음을 웅변적으로 보여준다.
김청중 베이징 특파원 ck@segye.com
우면산에 외로이 핀 코스모스를 보았다.
옛날에는 가을 철이 되어야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기후변화 영향인지 계절 구분없이 피고 있다. 코스모스가 가득핀 시골길을 자전거를 타고 달리면서 가을을 만끽하던 그 시절이 엇그제 같은데...
이제는 계절의 구분도 없고 봄인듯 여름이요, 여름인듯 가을이 오고 가을이 왔나 싶으면 바로 찬바람이 불고 눈이 내리는 겨울이 온다.
중국군에 대한 우려는 어제 오늘이 아니다. 많은 인구 수에 광대한 영토, 동쪽 아시아에서 맹주로 군림해온지 5000년이 넘었다. 여진족이 세운 청나라가 중국 대륙을 통치하면서 티벳,신강,외몽고,북만주까지 영역을 넓혀 주었으니 한족은 여진족에 감사를 해야 할 것이나 그 여진족은 지금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외침으로 홍역을 치르던 청나라는 손문-장개석-모택동을 경유하여 공산국가로 변질되었으나 소련이 붕괴하자 중국은 발빠르게 개방적책으로 전환하여 오늘의 거대한 발전대국으로 성장했다. 중국은 미래에 언젠가는 자신들이 이 세계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강대국 미국과 어떠한 이유로도 언젠가는 대규모 분쟁을 일으키게 될 전망이다.
그들은 해외의 수많은 중국 인재들을 통해 고급 정보를 수집하고 정치체제를 개선시키며 자본주의 장점을 교묘하게 흡수하여 부국강병을 도모하고 있으며 강대국의 면모를 하나하나 갖추어 가고 있다.
우주개발은 장차전에서 패권을 가름할 것으로 판단하고 꾸준하게 우주기술개발에 도전하고 있으며 재래식 군사력 현대화는 그 규모면이나 선진화면에서 다른 나라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13억 인구는 공식집계이나 비공식까지 합하면 15억 이상 인구가 내뿜는 시너지 효과는 인프라가 가져다주는 미래사회를 생각할 때 엄청날 것이다. 시장 규모는 누구나 탐을 내는 15억 시장으로 자본주의 기업들이 앞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중국시장을 공략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강대국의 틈바구니 속에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나갈 것인지는 곰곰히 생각해 볼 일이다.
![]() |
[해외논단] 중국군의 도전, 대응책 서둘러야
![]() |
랜디 슈라이버 美 국무부 동아시아담당 차관보 |
오늘날의 중국군은 미국 및 우방국들에 매우 중요한 경계대상이다. 중국이 세계의 강대국으로 떠오름에 따라 중국군은 미래의 모든 국제문제를 좌우하는 중요한 세력이 될 것이다. 특히 중국이 미국의 각종 국제적인 이익에 적대적 태도를 계속 취하기 때문에 중국군의 역할이 더욱 큰 주목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중국이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올랐기 때문에 미국은 중국군의 진화에 따른 도전과 기회를 더욱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불행히도 현재 중국의 군사력 발전에 관한 미국의 논의는 종종 초점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다
오늘의 중국군은 절정의 위력을 지닌 거대조직도 아니고 불량한 조폭 같은 조직도 아니다. 중국군은 틈새의 장점을 지닌 군사조직이다. 예를 들어 화력이 막강한 탄도미사일과 크루즈미사일 같은 장점을 갖춘 반면 현대화된 지휘와 통제 및 통신 체계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등 약점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중국군의 가장 괄목할 만한 부분은 적극적인 현대화 추진이다. 우선 중국군의 전문화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중국 수뇌부는 15년 전에 군의 전문화에 착수했고, 각종 정책이 성과를 거두기 시작함에 따라 중국군의 전투역량이 향상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군은 군대의 기업 활동을 중지함으로써 지휘관들은 기업 운영과 전문 군사훈련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부패를 적발하고 고과에 따른 승진이 제도화되었다. 비대한 조직을 감량하여 국내 치안유지 임무는 인민무장경찰에 넘겼다. 그리고 합동군사 작전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훈련을 강화하고 여러 가지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광범한 시나리오를 개발한 점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중국이 방위산업을 계속 발전시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십년 동안 분해공학을 통해 외국기술을 도입하고 국내의 연구 및 개발과 실험을 계속한 결과 중국군은 독자적인 방위산업 체제를 확립하는 단계에 접근하고 있다. 중국군은 가까운 장래에 전쟁 때 군수품 조달에 차질을 빚을 위험을 더욱 줄일 것이며, 중국 특유의 환경에 필요한 특수 군사역량을 획득하게 될 것이다.
중국은 미군에 대항할 수 있는 역량 배양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중국은 대함 탄도미사일과 위성 요격무기 개발을 위해 항공우주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함 탄도미사일 계획에 성공할 경우 미 항공모함에 위협을 가해 기존의 항공모함 작전을 무력화할 수 있다. 위성 요격무기 계획은 미국의 첩보, 통신, 항해 위성을 위협하게 된다. 중국군이 차세대 비대칭 전쟁 역량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는 것은 군사 원칙과 전략 및 전술의 진화를 보여준다. 이는 사이버전쟁 역량 개발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적국의 민간 및 군사 분야 정보 인프라에 타격을 가해 무력화할 능력을 확보하여 중국군의 전쟁수행 능력의 일부로 삼으려는 중국의 야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중국의 대외활동 가운데 두 가지가 두드러진 주목의 대상이다. 첫째는 중국의 대량살상무기 확산이다. 중국은 발달된 방위산업 역량을 정치 및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새로운 도구로 활용한다. 중국은 보다 광범한 전략적, 군사적 목표 달성을 위해 외국에 방위기술을 판매하거나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각종 정책이 미국의 국익에 점점 큰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은 공식적인 약속을 무시한 채 이란에 미사일을 공급하고 수단에는 재래식무기 및 소화기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대외 군사판매는 미국의 국익 추구를 방해한다.
또 중국의 강화되는 군사외교가 미국 및 우방국들에게 새로운 도전으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군은 전략 요충 항구와 기지를 확보하여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보하는 목표를 적극 추구하고 있다. 미국과 우방국들은 장차 중국군이 제기할 수 있는 모든 도전에 맞설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랜디 슈瓚譴?美 국무부 동아시아담당 차관보
워싱턴타임스·정리=오성환 외신전문위원
People's Army not standing still
By Randy Schriver August
Today's People's Liberation Army (PLA) is an institution of great consequence to the United States and our allies. As China emerges as a regional and global power, the PLA will be an important force that shapes events in virtually any imaginable future -- but of particular concern should be the role the PLA would play if the United States faces a China that continues trending hostile to our global interests.
China has already reached a position of influence in our world that demands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both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being presented by an evolving defense institution. Unfortunately, current discussions of China's military development often miss the mark. The PLA today is not "10 feet tall," but nor is it the gang that can't shoot straight. It is a military with niche areas of excellence (e.g., ballistic and cruise missiles), as well as glaring Achilles heels (continuing difficulties with modern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s).
But most notable about today's PLA is the aggressive pursuit of modernization. The modernization efforts are paying off and offer us observable trend lines that are worth our time and attention to better understand.
Which trend lines should we watch closely? The first unfolding trend line is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PLA. Central authorities embarked on a course to professionalize the PLA a decade and a half ago, and the results of those policies are coming to fruition in the form of a more competent and capable military. PLA business enterprises have closed so military officers no longer have to choose between running a business and professional training.
Corruption is being exposed, and merit-based promotions are now the norm. A streamlined PLA has also transferred domestic security missions to the People's Armed Police, so the PLA can focus more intensely on traditional military missions. And perhaps most important, the quality of PLA training has improved toward greater joint force cooperation as well as more realistic scenarios across a wide range of contingencies.
The second trend to note is China's continuing advances in defense-industrial capability. After decades of reverse engineering from foreign technologies and experimentation through domestic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PLA is moving closer to a sustainable modern indigenous defense-industrial system. The PLA of the near future will be less vulnerable to potential supply disruptions in time of conflict, and will be better positioned to acquire the specific capabilities required for China's unique circumstances.
The third trend line relates to China's acquisition strategy. It is a priority for China to acquire capabilities specifically oriented toward countering U.S. military strengths. China's aerospace programs in anti-ship ballistic missile (ASBM) and anti-satellite (ASAT) weapons are potential "game-changers" for U.S. operations. A successful ASBM program could expand the threat envelope for U.S. aircraft carriers to a distance where traditional carrier-based flight operations become impractical. Likewise, the ASAT program threatens satellites that the U.S. military relies on for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navigation.
A fourth trend line also relates to PLA acquisitions, but it also speaks to evolving doctrine, strategy and tactics. China is investing heavily in the next generation of asymmetric warfare capabilities. This is most evident in Chinese cyberwarfare capabilities. China's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aggressive cyberespionage has undoubtedly already compromised sensitive information.
Yet of even greater concern is China's ambition to acquire the capability to lethally cripple civilian and military information infrastructures, and to weave such capabilities into PLA doctrine for war fighting.
Two other trend lines of concern relate to activities outside China's borders. The first of these is the evolving nature of China's proliferation behavior. China's advancing defense industrial capabilities has put a new tool in its political-military tool kit -- use of foreign military sales and provision of defense technologies to support broader strategic and military goals.
And China is making policy choices that present growing challenges to U.S. interests. Despite formal commitments, China supplies missiles to Iran and conventional weapons and small arms to Sudan. A U.N. investigation in 2006 found China to be the primary supplier of ammunitions used in Darfur. China's military sales increasingly complicate U.S. interests.
Finally, China's burgeoning foreign military diplomacy presents a new and difficult set of challenges for the United States and our allies. The PLA is actively pursuing the objective of extended its global reach and influence through securing strategic access to key ports and bases. Though China has yet to develop a blue-water navy, it is able to expand its naval power in the Indian Ocean and beyond through access to facilities in Burma, Bangladesh, Sri Lanka and Pakistan. This threatens to alter the strategic balance, not only by expanding PLA reach, but also by potentially limiting or denying access for the United States and others in the same areas.
There are wise policy solutions for the United States and our allies to all the challenges the PLA may have in store. But many potential solutions that may be available to us are longer-term pursuits themselves. Thus, proper focus and orientation in Washington is needed now.
shoot straight:정직하게 행동하다 People's Armed Police:인민무장경찰 reverse engineering:기계 등을 분해하여 설계를 역으로 탐지하는 분해공학
-서초동 퍼옴,찍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