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인좌의 난 (8)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31: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36 서울 성벽 전경 6. 애국이란 단어는 없었다 한 번도 개혁을 해본 적이 없는 나라 박지원의 <열하일기>, 허공의 메아리 "참으로 좋은 울음 터로다. 한바탕 크게 울만 하구나." 이 말은 정조 때의 실학자였던 박지원이 중국에서 남긴 말이다. ..
한국의 역사 905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10 3. 끊임없이 이어진 역모와 반역 조선의 대표적인 반역, 반정을 살펴보면 대략 아래와 같다. 1차 왕자의 난(1392년) 태조 재임 시절 1차 왕자의 난은 1392년 8월 왕위계승권을 둘러싼 왕자들 간의 싸움으로 '방석의 난', '정도전의 난', '무인정사의 ..
한국의 역사 903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8 3. 끊임없이 이어진 역모와 반역 역모로 시작해서 역모로 끝난 조선 오백 년 1천 회가 넘는 역모 고변 조선을 거론할 때 대표적인 것이 바로 수많은 역모사건이다. 왕을 몰아내고 새 정권을 수립해야겠다는 무력 음모가 역모인데, 우리 현대사..
한국의 역사 792 : 조선의 역사 334 (제21대 영조실록 14) 영조의 원릉 제21대 영조실록(1694~1776년, 재위 : 1724년 8월~1776년 3월, 51년 7개월) 7. 영조시대의 평가 영조는 숙종이 낳은 아들이었지만 무수리 출신이면서 천인 출신인 후궁이었던 어머니 숙빈 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같은 천인 출신..
한국의 역사 787 : 조선의 역사 329 (제21대 영조실록 9) 영조의 원릉 제21대 영조실록(1694~1776년, 재위 : 1724년 8월~1776년 3월, 51년 7개월) 4. 이인좌의 난 개요 이인좌의 난(李麟佐의 亂)은 1728년(영조 4년) 소론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영조..
한국의 역사 783 : 조선의 역사 325 (제21대 영조실록 5) 영조의 원릉 제21대 영조실록(1694~1776년, 재위 : 1724년 8월~1776년 3월, 51년 7개월) 2. 영조의 탕평정국과 조선 사회의 변화(계속) 이 밖에도 영조는 각 도에 보고되지 않은 은결을 면밀히 조사하여 애초에 국가 비축미로 빈농을 구제하기 위..
한국의 역사 781 : 조선의 역사 323 (제21대 영조실록 3) 영조의 원릉 제21대 영조실록(1694~1776년, 재위 : 1724년 8월~1776년 3월, 51년 7개월) 2. 영조의 탕평정국과 조선 사회의 변화 노론, 소론의 치열한 당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생명의 위협마저 느끼며 가까스로 왕위에 오른 영조는 등극하자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