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괄의 난 (6)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05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10 3. 끊임없이 이어진 역모와 반역 조선의 대표적인 반역, 반정을 살펴보면 대략 아래와 같다. 1차 왕자의 난(1392년) 태조 재임 시절 1차 왕자의 난은 1392년 8월 왕위계승권을 둘러싼 왕자들 간의 싸움으로 '방석의 난', '정도전의 난', '무인정사의 ..
한국의 역사 701 : 조선의 역사 243 (제16대 인조 18)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조선의 군비 실태 1. 조선 군제의 변천 과정 조선 초기의 국방 체계 조선 왕조의 전통적인 군사 제도의 운영 원칙은 양인 개병과 병농 일치를 근간으로 하는 것이었다. ..
한국의 역사 693 : 조선의 역사 235 (제16대 인조실록 10)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이괄의 난, '삼일 천하' (계속) 이괄은 도원수 장만이 주둔하고 있던 평양을 피해 곧바로 도성으로 향했다. 장만은 이괄에게 잡혔다가 풀..
한국의 역사 692 : 조선의 역사 234 (제16대 인조실록 9)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이괄의 난, '삼일 천하' (계속) 당시 변방 수비를 책임졌던 사람은 장만이었다. 인조는 그때의 상황을 준전시 상황으로 규정하고 전시에..
한국의 역사 691 : 조선의 역사 233 (제16대 인조실록 8)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이괄의 난, '삼일 천하' 인조가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이후 조선 사회는 한동안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