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영창대군 (7)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08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13 3. 끊임없이 이어진 역모와 반역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과는 거리가 먼 잔혹한 형벌제도 영창대군 역모 사건에 희생된 자만 천여 명 1613년 광해군 5년 영창대군 역모사건 당시 친국 모습을 액면 그대로 재현해본다. 4월 25일, 왕이 서청에 나아가..
한국의 역사 900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5 2. 껍데기로만 이어간 왕조 오백 년 햇수만 길 뿐, 의미 없는 오백 년 위선의 역사 "내 어진에 일월오봉도를 그려 넣지 말라" 1849년 6월초. 충청감사 김수근이 병조판서인 김좌근을 급히 찿아왔다. 그들은 안동 김씨 집안이지만 한 살 터울이..
한국의 역사 680 : 조선의 역사 222 (광해군일기 8) 제15대 광해군 일기(1575~1641년, 재위: 1608년 2월~1623년 3월, 15년 1개월, 유배기간 18년) 4. 광해군의 정적 제거 과정과 대북파의 득세(계속) 소북파를 몰아낸 대북파는 어리지만 가장 위협적인 존재인 영창대군을 제거할 계획을 세우게 되는데, ..
한국의 역사 675 : 조선의 역사 217 (광해군일기 3) 제15대 광해군 일기(1575~1641년, 재위: 1608년 2월~1623년 3월, 15년 1개월, 유배기간 18년) 2. 실리주의자 광해군의 과감한 현실정치(계속) 1613년 다시 '칠서의 옥'이 발생하여 인목대비의 아버지 김제남이 사사되고 영창대군을 서인으로 전락시켜 ..
한국의 역사 673 : 조선의 역사 215 (광해군 일기 1) 제15대 광해군 일기(1575~1641년, 재위: 1608년 2월~1623년 3월, 15년 1개월) 1. 전란이 가져다 준 왕위 선조는 아들이 14명이나 되었지만 정비 의인왕후 박씨 소생은 없었다. 그녀가 왕비에 책봉된 이후 줄곧 병석에 누워 있었기 때문이다. 별수 없..
한국의 역사 598 : 조선의 역사 140 (선조실록 5) ▲ 의인왕후릉(왼쪽)에서 본 선조의 능.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병풍석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등 전형적인 석물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제14대 선조실록(1552~1608년, 재위: 1567년 7월~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