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안동도호부 (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222 : 발해의 역사 25 (발해의 역사 종합 1) 고구려 멸망에서 발해의 건국에 이르는 과정은 안동도호부의 역사와 일치한다. 당은 안동도호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옛 고구려 지역 전체를 기미주로 편제하고 영역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677년 이후 그 지배영역은 요동 지역으로 축소되고, 지배..
한국의 역사 217 : 발해의 역사 20 (완충지대로서의 요동 1) 완충지대로서의 요동 1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은 평양성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 지역을 기미주로 편제하고 영역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고구려 유민의 반당투쟁 및 나당전쟁의 여파로 676년 요동성을 거쳐 677년 신성으로 퇴각하였..
한국의 역사 216 : 발해의 역사 19 (발해의 요동 지배여부에 대한 재검토) 발해의 요동 지배여부에 대한 재검토 역사에서 잊혀졌던 발해에 처음 주목하였던 사람은 조선후기 실학자나 근대적인 역사방법론으로 발해사를 주도했던 만선사학자, 그리고 민국시대 중국의 사가들은 요동이 발해의 영역이었..
한국의 역사 215 : 발해의 역사 18 (제11~14대 대이진,건황,현석,위해) 제11대 대이진 대이진(大彝震, ?~857년, 재위: 831년~857년)은 발해의 제11대 왕이다. 발해 제10대 왕 선왕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대신덕(大新德)이다. 연호는 함화(咸和)를 사용하였다. 묘호는 미상이며 환단고기에 의하면 화왕이라 하나 확..
한국의 역사 201 : 발해의 역사 4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지배정책) 1. 안동도호부 설치 당은 668년 12월 5부 176성 697,000호로 이루어졌던 옛 고구려 영역에 당의 지방제도를 적용하도록 9도독부 42주 100현으로 재편하고, 상급 통치기관으로 안동도호부를 평양성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현지 지배를 위해 고..
한국의 역사 148 : 신라의 역사 47 (신라의 대당 전쟁 2) 신라의 대당전쟁 2 -나당전쟁의 분수령 천성전투 신라는 나당연합의 성과에 힘입어 660년에는 백제를, 668년에는 고구려를 멸망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당나라는 고구려를 멸망시킨것에 만족하지 않고, 고구려땅 전체를 복속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
한국의 역사 145 : 신라의 역사 44 (제30대 문무왕 1) 제30대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 ~ 681년)은 신라 군인이자, 제30대 왕(재위: 661년 ~ 681년)이다.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김서현의 딸 문명왕후의 맏아들로서 휘는 법민(法敏)이다.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켰고 계림도독부를 설치하려는 당나라군을 격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