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아리수 (6)
향기마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ixAl/btrGzPjIogr/lXfZHQWp8Mf6k5ydv9FE40/img.jpg)
마음이 가는 곳에, 두바퀴가 머무는 곳에 28 한강 3 한강 전경 힌깅은 한반도의 중심인 수도 서울을 살기 좋은 심장으로 만들었고 한강의 지류인 임진강, 북한강, 남한강이 동맥이 되어 한반도 중앙의 넓은 면적을 적셔주며 아우르고 있다. 위로는 압록강과 두만강, 대동강이 젖줄이 되어 북방의 산악 지역에 혈류를 흐르게 하고 있으며 아래로는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이 풍요로운 넓은 평야를 이루어 한반도에 필요한 삭량인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는 형국이다. 잠실철교 아래 한강변에 않아서 강물을 바라보니 출렁이는 물결과 넓은 강폭이 장엄하다. 이 강물에는 수많은 역사적 유산이 녹아 흐르고 있다. 인골은 썩고 녹아 땅 속으로 스며들고 수목은 죽고 썩어 거름이 되어 오늘날의 꽃과 잡초, 나무를 키우고 있다. 이 ..
한국의 역사 79 : 백제의 역사 25 (제16대 진사왕) 제16대 진사왕 진사왕(辰斯王, ?~392년, 재위 385년~392년)은 백제의 제16대 왕이다. 근구수왕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아이부인(阿爾夫人)이다. 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375년 백제 전성기 때의 지도 공용어 고대 한국어 수도 위례성 (기원전 18년 ~ 기원전 1년) ..
한국의 역사 57 : 백제의 역사 3 (건국과정 2) 백제 역사 기술과 대륙 백제의 실체 그렇다면 왜 이같은 조작된 기사가 등장하였을까? 이 의문을 풀기 위해서는 우선 최초로 백제의 역사가 기록된 순간이 언제부터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백제가 최초로 역사서를 만든 것은 근초고왕 30년인 375년이다. <..
광개토왕릉비와 그 내용 2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비석이다. 제1면 11행, 제2면 10행, 제..
광개토왕릉비와 그 내용 1 광개토태왕릉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비석이다. 제1면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