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마음이 가는 곳에, 두바퀴와 머무는 곳에 28

마음이 가는 곳에, 두바퀴가 머무는 곳에 28

 

 

 

한강 3




한강 전경

 

 

힌깅은 한반도의 중심인 수도 서울을 살기 좋은 심장으로 만들었고 한강의 지류인 임진강, 북한강, 남한강이 동맥이 되어 한반도 중앙의 넓은 면적을 적셔주며 아우르고 있다. 위로는 압록강과 두만강, 대동강이 젖줄이 되어 북방의 산악 지역에 혈류를 흐르게 하고 있으며 아래로는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이 풍요로운 넓은 평야를 이루어 한반도에 필요한 삭량인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는 형국이다. 

 

잠실철교 아래 한강변에 않아서 강물을 바라보니 출렁이는 물결과 넓은 강폭이 장엄하다. 이 강물에는 수많은 역사적 유산이 녹아 흐르고 있다. 인골은 썩고 녹아 땅 속으로 스며들고 수목은 죽고 썩어 거름이 되어 오늘날의 꽃과 잡초, 나무를 키우고 있다. 이 땅의 역사를 이어간 수많은 사람들, 수많은 생명들의 삶과 죽음이 흙에 묻히면서 썩고 녹아 아리수를 통해 서해로 흘러가는 것이다.

 

나도 언젠가 이 아리수 물에 녹아 서해로 흘러갈 것이다. 물고기 밥이 되든 바위에 이끼가 되든 보잘것 없는 형태로 사라질 것이다. 고관대작이 무엇이고 부귀영화가 무엇인가. 민초나 황제나 죽으면 흙으로 돌아가는 것은 마찬가지다. 권력과 재물을 가지고 권세를 부리며 호의호식을 해도 백년을 넘기 힘든 것이 인생이 아닌가. 국가가 무엇이고 민족이 무엇이며 사상이 무엇인가? 모두가 대의를 내세우며 민중을 선동하고 기존 권력에 대항하다 나중에 권력자가 되면 공권력으로 백성들의 피와 땀을 빨아마시며 자신과 무리들의 치부를 일삼고 저들끼리만 잘 먹고 잘 살겠다는 욕심으로 사익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사람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겉으로는 말끔하고 반듯하고 겸손하며 메너 있고 정의로우며 당당한 모습으로 사람을 대한다. 인간은 항상 눈으로 보는 현상에 강한 자극을 받는다. 그래서 눈에 보이는 겉모습에 강한 자극을 받다보니 눈에 보이는 현상에 심취되어 상대 인간의 내면을 보는 눈이 어둡다. 실제 내면을 들여다보면 인간의 눈에는 감추어진 탐욕이 가득하고 입에는 내밷는 말마다 거짓과 허언을 내쏟고 언행은 겉과 속이 다르게 표리부동하고 법가 규범을 지키는 척 하면서 뒤로는 불법과 탈법을 일삼고 있으며 남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생리적 욕구를 채우기 위해 정력과 장수를 위한 기름진 식탐을 즐기고 어둠 속에서는 미모의 젊은 이성을 품고 배설하는 꿈을 꾼다. 자신의 낮은 현실과 처지를 감추려고 몸을 치장하기 위해 명품과 귀중품에 목말라 하고 권력과 재물을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이 인간 본성이기에 인간이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항상 이기심이 넘쳐나는 것이 당연하다.

 

 

 


 

 


 

서해 바다가 대륙붕이 발달한 이유는 뻔하다. 서해로 흘러드는 한반도의 여러 강들이 오랫 동안 서해로 한반도의 토사가 쌓여왔기 때문이다. 사람이 살기좋은 한반도에는 오랜 고대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곳이다. 4계절이 변화하는 이처럼 살기 좋은 땅은 세계 어디에도 보기 드물기 때문이다. 

 

좁은 한반도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는 것은 고대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살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수많은 고인돌과 선사시대 유적들, 울산에 고대인의 벽화인 반구대 암각화가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신라와 백제, 가야를 세운 시조들이 모두 북방에서 내려온 기마민족이라는 사실이 살기 좋은 한반도로 이주하여 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초목이 푸르른 덕소 근방 자전거 도로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가 이 땅에 쌓여 토지를 풍로롭게 만들었고 적당히 내리는 비는 수목을 풍성하게 자라게 했고 풍요로운 땅에 적당히 비가 내리니 당연히 농사도 잘 되었다. 다양한 계절 변화로 삶에 대한 지혜가 넘쳐났고 기후 변화에 잘 적응하는 지혜로운 삶을 살 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가 내리면 이 땅의 각종 영양분을 포함하여 토사가 서해로 흘러들어 수만 수억 년 동안 풍요로운 대륙붕을 형성한 것이다.

 

비는 대지의 각종 쓰레기를 포함하여 청소하고 씻어주는 역활을 한다. 그리고 땅에 스며든 빗물은 수목이 잘 자라게 해주고 그 식물은 동식물에게 먹이를 제공한다. 초식과 육식의 다양한 먹이사슬은 대지를 풍요롭게 만들고 동식물이 살아가기에 풍요로운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