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북벌론 (7)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71 : 조선의 역사 313 (제19대 숙종실록 19)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6. 오가작통법과 향촌 사회 숙종 대의 향촌 정책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오가작통의 강화였다. 이 제도는 조선 초부터 꾸준히 실시된 것이었지만 숙종 대만큼 ..
한국의 역사 765 : 조선의 역사 307 (제19대 숙종실록 13)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윤휴, 그는 누구인가? (계속) 북벌 상소와 개혁안 제시 1674년(숙종 즉위) 12월 1일 상소를 올려 병자호란, 정묘호란의 일을 언급하며 '복수설치'(復讐雪恥)를 주장하면서..
한국의 역사 764 : 조선의 역사 306 (제19대 숙종실록 12)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윤휴, 그는 누구인가?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인, 시인으로, 남인(南人)의 거두이며, 청남의 중진이자 예송 ..
한국의 역사 762 : 조선의 역사 304 (제19대 숙종실록 10)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송시열, 그는 누구인가? (계속) 북벌론의 추진과 실패 김자점의 난과 북벌론 그 뒤 1649년(효종 1년) 인조의 뒤를 이어서 효종이 임금이 되자 부름을 받았다. 송시열은 ..
한국의 역사 761 : 조선의 역사 303 (제19대 숙종실록 9)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4. 숙종의 환국정치로 인해 계속되는 정치 옥사(계속) 갑술환국과 무고의 옥 갑술환국은 기사환국으로 정권을 잡은 남인들이 인현왕후 민씨의 복위 문제와 관련하여 ..
한국의 역사 754 : 조선의 역사 296 (제19대 숙종실록 2) 제19대 숙종 장희빈 사사 전후 한편 인현왕후는 장희빈이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숙종실록』 27년 9월 23일자는 왕비 민씨가 친정붙이 민진후 형제에게 “지금 나의 병 증세가 지극히 이상한데, 사람들이 모두 ‘반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