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김유신 (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190 : 가야의 역사 8 (건국, 철의 제국 가야 3) 석탈해 집단의 출현과 축출 석탈해의 출현 가락국기에 석탈해가 나타나던 모습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갑자기 완하국 함달왕의 부인이 임신을 하였는데, 달이 차서 알을 낳으니 알이 사람이 되었다. 이름을 탈해라고 했다. 바다로부터 왔는데, ..
한국의 역사 186 : 가야의 역사 4 (가야 역사 개관 3) 가야 사람들가야의 패망후 가야인들은 신라사회에 편입하면서 성공과 좌절을 경험하며 정치와 군사, 문화에서 활약을 하였다. 금관가야의 왕족인 김씨 일족은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지만 경원시되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관가야의 ..
한국의 역사 146 : 신라의 역사 45 (제30대 문무왕 2) 삼한 통일의 영웅 김유신 신라의 삼한 통일에 가장 큰 공을 세운 사람은 단연 김유신이다. 또한 그는 신라사에 가장 뚜렷한 족적을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그에 관한 기록이 삼국사기 인물 열전 맨 앞자리에 있는 것이나, 그 분량이 열 권의 열전 중에 ..
한국의 역사 144 : 신라의 역사 43 (제29대 태종무열왕) 제29대 태종무열왕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2년 ~ 661년 음력 6월)은 신라의 제 29대 왕(재위 654년~661년)이자 신라의 군인, 외교관이었다. 성은 김(金), 휘는 춘추(春秋)이다. 김용춘와 문정태후(文貞太后) 김씨의 아들이며, 제18대 풍월주를 지냈다. 진..
한국의 역사 142 : 신라의 역사 41 (제 27대 선덕여왕) 제 27대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에서의 최초의 여왕이다. 성은 김(金), 휘는 덕만(德曼)이다. 진평왕과 마야부인(摩耶夫人)의 장녀이며 태종무열왕의 ..
한국의 역사 96 : 백제의 역사 42 (제31대 의자왕 1) 제31대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595/9년~660년, 재위: 641년~660년)은 백제의 제31대 왕이며 백제의 마지막 왕으로 성은 부여(扶餘)이다. 대개 의자왕의 ‘의자’(義慈)는 시호라 잘못 알고 있지만 사실은 의자왕의 휘이다. 태자 때부터 아우들과 우애가 깊고 ..
한국의 역사 50 : 고구려 역사 33 (제27대 영류왕) 제27대 영류왕 광개토태왕릉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