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견훤 (12)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263 : 고려의 역사 31 (태조실록 1) 태조 왕건 태조(太祖, 877년 음력 1월 4일(양력 1월 31일)) ~ 943년 음력 5월 29일(양력 7월 4일))는 고려 왕조의 초대 국왕(재위기간 : 918년 6월 - 943년 5월)이다. 성은 왕(王), 휘는 건(建), 자는 약천(若天),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응운광렬대정예덕장효위목인용..
한국의 역사 252 : 고려의 역사 20 (후삼국 실록 13) 국운을 건 명승부들 운주전투 -견훤, 양팔을 잃고 허탈감에 빠지다- 934년 9월, 왕건은 해상전에서 당한 수모를 설욕하기 위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운주(충남 홍성) 정벌에 나섰다. 운주는 궁예시대에는 태봉의 땅이었으나 왕건이 반정을 일으키자 그에 ..
한국의 역사 249 : 고려의 역사 17 (후삼국 실록 10) 국운을 건 명승부들 공산 대첩 -피눈물을 흘리면서 달아나는 왕건- 대야성 함락에 분통함을 이기지 못한 견훤은 보복을 다짐하며 환갑에 이른 노구를 이끌고 출정식을 거행했다. 보복전에 나선 견훤은 그해 9월 근품성을 회복하고, 신라 고을부(경북 영..
한국의 역사 248 : 고려의 역사 16 (후삼국 실록 9) 국운을 건 명승부들 대야성 전투 -하루 아침에 무너지는 견훤의 20년 공든 탑- 925년 10월, 고려와 백제는 화친조약을 맺고 견훤의 사위 진호와 왕건의 사촌아우 왕신을 서로 인질로 삼아 교환했다. 덕분에 양국은 오랫만에 평화를 맞이할 수 있었다. 하지..
한국의 역사 241 : 고려의 역사 9 (후삼국 실록 2) 군웅활거와 후삼국의 성립 신라 조정이 사벌의 반란군 진압에 실패하자, 그것이 도화선이 되어 전국 각처에서 크고 작은 반란사건이 잇따랐고,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지방 호족들이 힘을 형성하여 우후죽순으로 군대를 일으켰다. 사벌의 아자개, 죽주(..
한국의 역사 235 : 고려의 역사 3 (개요 2) 후백제 후백제(後百濟, 892년~936년)는 892년(신라 진성여왕 6년)에 백제의 부흥 운동을 시작으로 견훤이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를 도읍으로 삼아 세운 나라이다. 공식적인 국호는 백제이며 후(後)는 후대의 역사에서 삼국시대의 백제와 구분하기 위해 붙인 것이..
한국의 역사 234 : 고려의 역사 2 (개요1) 개요 1 성립 918년 멸망 1392년 초대 군주 태조 918년 ~ 943년 최후 군주 공양왕 1389년 ~ 1392년 성립 이전 태봉, 후백제, 신라 해체 이후 조선 편집하기 고려(高麗)는 918년 태조 왕건이 궁예의 태봉을 무너뜨리고 신라와 후백제를 통합한 이후, 1392년 조선 왕조에게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