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49 : 조선의 역사 291 (제18대 현종실록 2) 본문
한국의 역사 749 : 조선의 역사 291 (제18대 현종실록 2)
|
제18대 현종실록(1641~1674년, 재위 : 1659년 5월~1674년 8월, 15년 3개월)
1. 현종시대의 평화와 남인과 서인의 예론정쟁
현종시대는 밖으로부터 외침이 일체 없었고 내적으로는 사회가 안정을 돠찿았기 때문에 비교적 평화로운 시대였다. 그러나 현종은 집권 15년 동안 예론을 둘러싼 서인과 남인의 치열한 정쟁 속에서 지내야 했다. 따라서 현종시대는 한마디로 예론정쟁 시대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종은 효종의 맏아들이며 인선왕후 장씨 소생이다. 1641년 효종이 심양에 볼모로 있을 때 심관에서 태어났으며, 1649년 왕세손에 책봉되었다가 효종 즉위 후 1651년 세자에 책봉되었다. 그리고 1659년 효종이 죽자 조선 제18대 왕에 즉위하였다.
현종은 즉위하자마자 복제 문제로 인한 남인과 서인의 예론정쟁에 휩싸였다. 효종이 죽자 인조의 계비 자의대비(장렬왕후 조씨)가 어떤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정쟁화된 것이다.
이 무렵 조선 조정은 인조반정으로 정권을 장악한 서인 세력과 인조의 중립정책으로 기용된 남인 세력으로 양분되어 있었다. 인조, 효종 대에 남인은 주로 영남학파의 주리론을 주장하고 서인은 기호학파의 주기론을 주장하는 학문적인 대립을 벌였으나, 현종 대에 와서는 본격적인 정치 논쟁을 일삼곤 하였다. 예론 역시 처음에는 학문적인 대립에서 시작되었지만 나중에는 정쟁으로 확대된 사건이다.
당시 조선의 일반 사회에서는 <주자가례>에 의한 사례 준칙이 지켜지고 있었지만, 왕가에서는 성종 때 제도화된 <국조오례의>를 따르고 있었다. 그런데 <국조오례의>에는 효종과 자의대비의 관계와 같은 사례가 없었다.
효종이 인조의 맏아들로 왕위에 올랐었다면 별문제가 없었겠으나 그가 차남이고 인조의 맏아들인 소현세자의 상중에 자의 대비가 이미 맏아들에게 행하는 예로써 3년 상을 치렀기 때문에 다시 차남인 효종의 상을 당하여서는 몇 년 상을 해야 하는가가 문제가 되었다.
이 문제에 직면하자 서인 송시열과 송준길은 효종이 차남이므로 당연히 기년상(1년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남인의 허목과 윤휴는 효종이 비록 차남이지만 왕위를 계승하였으므로 장남과 다름없기에 3년상이어야 한다고 반론을 제기했다.
서인과 남인의 이 복상 논쟁은 극단적인 감정싸움으로 치달았고, 결국 돌이킬 수 없는 정쟁으로 확대되어 나갔다. 그리고 이 정쟁은 지방으로 확대되어 재야 선비들 사이에서도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결국 효종의 상중에 일어난 이 논쟁에서 서인의 기년상이 채택됨으로써 남인의 기세는 크게 꺽였다. 그럼에도 남인들이 반발이 심상치 않자 1666년 현종은 기년상을 확정지으며 더 이상 그 문제를 거론하지 말 것을 엄명했고, 만약 이 문제를 다시 거론하는 자는 엄벌에 처하겠다는 포고문을 내렸다.
그러나 복상 문제는 1673년 효종 비 인선왕후가 죽자 다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번에도 서인측은 효종이 차남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대공설(9개월)을 내세웠고, 남인측은 그녀가 비록 자의대비 둘째 며느리이긴 하나 중전을 지냈으므로 큰며느리나 다름없다면서 기년설(1년)을 내세웠다.
현종은 이때 장인 김우명과 그의 조카 김석주의 의견에 따라 남인측의 기년설을 받아들여 자의대비로 하여금 기년 복상을 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서인은 실각하였고, 현종 초년에 벌어진 예론도 수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그런데 1674년 8월 현종이 죽자 송시열은 다시 예론을 거론하면서 자신의 종래 주장이 옮았음을 피력하다가 탄핵을 받아 귀양을 가게 되었고, 이후 서인 세력이 정계에서 밀려나고 남인들이 조정을 장악하게 된다.
이 예송의 파장은 <현종실록>에까지 영향을 미쳐 1680년 숙종대의 '경신대출척' 이후 다시 집권한 서인에 의해 사록이 개수되는 일이 벌어지게 된다. 그러나 현종 재위 15년 동안 끓임없이 이 예론정쟁에 휘말리면서도 비교적 안정된 정치를 펼쳐나갔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 751 : 조선의 역사 293 (제18대 현종실록 4) (0) | 2012.10.27 |
---|---|
한국의 역사 750 : 조선의 역사 292 (제18대 현종실록 3) (0) | 2012.10.26 |
한국의 역사 748 : 조선의 역사 290 (제18대 현종실록 1) (0) | 2012.10.24 |
한국의 역사 747 : 조선의 역사 289 (제17대 효종실록 6) (0) | 2012.10.23 |
한국의 역사 746 : 조선의 역사 288 (제17대 효종실록 5) (0) | 2012.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