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666 : 조선의 역사 208 (선조실록 73)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666 : 조선의 역사 208 (선조실록 73)

두바퀴인생 2012. 8. 3. 01:49

 

 

 

 

한국의 역사 666 : 조선의 역사 208 (선조실록 73)

 

 

 

                                              

                                                                                           임진왜란 경과                                                                                                                    

                                                                                                                                                                                   

 

제14대 선조실록(1552~1608년, 재위: 1567년 7월~1608년 2월, 40년 7개월)            

 

 

 

 

 

 

 

 

 

 

임진왜란 전투목록

 

아래 임진왜란 전투 목록임진왜란 중 있었던 전투 목록이다. 시간 순으로 작성되었으며, 모두 음력으로 날짜순대로 표시했다. 주요 전투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1592년

  • 다대포 전투 : 4월 13일 ~ 4월 15일
  • 부산진 전투 : 4월 14일
  • 동래성 전투 : 4월 15일
  • 경상도 및 충청도 함락 : 4월 17일~4월 28일
  • 상주 전투 : 4월 25일
  • 충주 탄금대 전투 : 4월 28일
  • 한강 전투 : 5월 2일
  • 옥포 해전 : 5월 7일
  • 합포 해전 : 5월 7일
  • 적진포 해전 : 5월 8일
  • 해유령 전투 : 5월 16일
  • 임진강 전투 : 5월 18일
  • 기강 전투 : 5월 18일
  • 사천 해전 : 5월 29일
  • 당포 해전 : 6월 2일
  • 당항포 해전 : 6월 5일
  • 용인 전투 : 6월 5일
  • 무계 전투 : 6월 6일
  • 율포 해전 : 6월 6일
  • 정암진 전투 : 6월 8일
  • 여주 전투 : 6월 10일
  • 제1차 평양 전투 : 6월 15일
  • 웅치 전투 : 7월 7일
  • 이치 전투 : 7월 8일
  • 한산도 대첩 : 7월 8일
  • 제1차 금산 전투 : 7월 9일
  • 안골포 해전 : 7월 10일
  • 우척현 전투 : 7월 10일
  • 제2차 평양 전투 : 7월 17일
  • 영천성 전투 : 7월 24일~7월 27일
  • 지례 전투 : 7월 29일
  • 제3차 평양 전투 : 8월 1일
  • 청주 전투 : 8월 1일
  • 제1차 경주 전투: 8월 2일
  • 제2차 금산 전투 : 8월 18일
  • 영원산성 전투 : 8월 25일
  • 장림포 해전 : 8월 29일
  • 화준구미 해전 : 9월 1일
  • 다대포 해전 : 9월 1일
  • 서평도 해전 : 9월 1일
  • 절영도 해전 : 9월 1일
  • 초량목 해전 : 9월 1일
  • 부산포 해전 : 9월 1일
  • 연안 전투 : 9월 2일
  • 제2차 경주 전투 : 9월 8일
  • 북관대첩 : 1592년 9월 16일~1593년 1월 28일
  • 창원 전투 : 9월 27일
  • 제1차 진주성 전투 : 10월 10일
  • 독성산성 전투 : 12월 11일

 

1593년

  • 제4차 평양 전투 : 1월 9일
  • 성주 전투 : 1월 15일
  • 벽제관 전투 : 1월 27일
  • 웅포 해전 : 2월 10일~3월 6일
  • 행주 대첩 : 2월 12일
  • 제2차 진주성 전투 : 6월 29일

 

1594년

  • 제2차 당항포 해전 : 3월 4일
  • 영등포 해전 : 10월 1일
  • 장문포 해전 : 10월 4일

 

 

1597년

  • 칠천량 해전 : 7월 16일
  • 고령 전투 : 8월 15일
  • 남원 전투 : 8월 16일
  • 황석산성 전투 : 8월 16일
  • 어란포 해전 : 8월 27일
  • 직산 전투 : 9월 7일
  • 벽파진 해전 : 9월 7일
  • 명량 해전 : 9월 16일
  • 제1차 울산성 전투 : 12월 24일

 

1598년

  • 절이도 해전 : 7월 19일
  • 제2차 울산성 전투 : 9월 21일
  • 사천성 전투 : 9월 28일
  • 순천성 전투 : 9월 20일~10월 7일
  • 노량 해전 : 11월 19일

--------------------------------------------------------------------------------------------------------------------------------

 

 

 

 

 

 

 

                                                명량대첩도

임진왜란 해전 목록

 

아래의 목록은 임진왜란의 해전 목록이다. 정렬 순서는 시간순이다.

 

날짜 해전 장소 조선군 일본군 비고
1592년 6월 16일
(음력 5월 7일)
옥포 해전 거제시 옥포 이순신 도도 다카토라 조선군의 첫 승리
1592년 6월 16일
(음력 5월 7일)
합포 해전 진해시 웅천동 이순신
1592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적진포 해전 고성군 거류면 통영시 광도면 이순신
1592년
(음력 5월 29일)
사천 해전 사천시 용현면 이순신 구루지마 미치유키 처음으로 거북선을 사용
1592년
(음력 6월 2일)
당포 해전 통영시 산양읍 이순신 카메이 코레노리
1592년
(음력 6월 5일)
당항포 해전 경남 고성군 회화면 당항포리 이순신
이억기
1592년
(음력 6월 6일)
율포 해전 거제시 장목면 이순신
1592년 8월 14일
(음력 7월 8일)
한산도 대첩 통영시 한산면 이순신
원균
이억기
와키사카 야스하루
1592년 8월 16일
(음력 7월 10일)
안골포 해전 진해시 안골동 이순신
원균
이억기
구키 요시아키
1592년
(음력 8월 29일)
장림포 해전 부산시 사하구 장림동 이순신
1592년 10월 5일
(음력 9월 1일)
화준구미 해전 부산시 사하구 몰운대 인근
1592년 10월 5일
(음력 9월 1일)
다대포 해전 부산시 사하구 다대동 이순신
1592년 10월 5일
(음력 9월 1일)
서평포 해전 부산시 사하구 구평동 감천항 이순신
1592년 10월 5일
(음력 9월 1일)
절영도 해전 부산시 영도구 이순신
1592년 10월 5일
(음력 9월 1일)
초량목 해전 부산시 동구 초량동 이순신
1592년 10월 5일
(음력 9월 1일)
부산포 해전 부산시 동구 좌천동 이순신
1593년 3월 6일
(음력 2월 10일)
웅포 해전 경남 진해시 웅천동 이순신
1594년
(음력 3월 4일)
제2차 당항포 해전 경남 고성군 회화면 당항포리 어영담
1594년
(음력 10월 4일)
장문포 해전 경남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이순신
1597년 8월 28일
(음력 7월 16일)
칠천량 해전 거제도 인근 칠천량 원균
이억기
배설
도도 다카토라
와키사카 야스하루
고니시 유키나가
조선군의 유일한 패배.
원균, 이억기 전사
1597년
(음력 8월 27일)
어란포 해전 전남 해남군 송지면 어란포 이순신
1597년 10월 16일
(음력 9월 7일)
벽파진 해전 전남 진도군 고군면 벽파진 이순신
1597년 10월 25일
(음력 9월 16일)
명량 해전 전남 해남군 문내면, 진도군 녹진리 이순신 도도 다카토라
구루시마 미치후사
가토 요시아키
와키사카 야스하루
1598년
(음력 7월 19일)
절이도 해전 전남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 이순신
1598년 10월 19일 -
11월 6일
장도 해전 전남 순천시 장도 이순신
진린
고니시 유키나가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
노량 해전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이순신
진린
고니시 유키나가
시마즈 요시히로
와키사카 야스하루
소오 요시토시
가토 기요마사
이순신 전사

 

--------------------------------------------------------------------------------------------------------------------------------------------

 

 

 

제1,2차 울산성 전투

 

 

울산성 전투1597년~1598년에 조명연합군이 풍신숙수길이 죽자 철수를 앞 둔 시점에 일본군을 격멸하기 위해서 순천성, 사천성, 울산성, 수로군 등 이 네 곳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에 대해서 벌인 소위 '사로(四路)병진작전'을 전개하면서 조명 연합군과 일본군이 벌인 전투로 흔히 한국에서 알려진 울산성 전투는 제1차 전투이고 제2차 전투는 울산왜성에서 벌어진 전투로  조명 연합군은 명군의 독단과 미온적인 태도로 조선군과 조직적이고 효율적인 작전을 전개하지 못하고 많은 사상자를 낸 채 패배했고 왜군은 주위 성으로 후퇴했다. 이 전투는 결국 비긴 전투로 평가하고 있다.

 

 

제1차 울산성 전투

제1차 울산성 전투
(임진왜란의 일부)
Ulsan waesung attack.jpg
날짜 1597년 음력 12월 23일 ~ 1598년 음력 1월 4일
장소 경상도 울산왜성
결과 무승부
교전국
조선
명나라
일본
지휘관
조선

권율
정기룡
김귀희
장운익
명나라
양호
마귀
천만리

가토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
나베시마 나오시게,
다치바나 무네시게,
모리 가쓰노부
아사노 나가마사
아사노 요시나가
하치스카 이에마사

병력
조선
1만 1500명
명나라
3만 6000명
총병력 4만 7500명
울산성 주둔군 1만 6000명
구원병 8만 명
피해 규모
총 1만 6000명 전사 1만 5500명 전사

 

 

 

조선의 도원수 권율명나라 부총병 양호는 순천고니시 유키나가울산가토 기요마사 중 누구를 먼저 쳐야할 지 의논을 했는데 울산이 왜군의 본거지라는 이유로 1597년 음력 12월 23일 가토 기요마사의 1만 5,000명의 군사가 지키는 울산왜성을 공격했다. 이때 조명 연합군은 조선군 1만 1,500명, 명군 3만 6,000명으로 명나라마귀 제독도 합세해 울산성을 총공격했다.

 

조명 연합군은 왜군을 공격했으나 끝내 울산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울산성이 공격받자 순천고니시 유키나가는 울산성에서 가장 가까운 서생포왜성양산에 구원병을 요청했다. 이에 조명 연합군양산에도 군대를 보내 왜군을 압박하고 서생포왜성에서 오는 구원병들을 울산 태화강에서 전멸시켰다. 성이 완전히 포위된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는 말을 죽여 식량으로 삼고, 눈을 녹여 식수로 사용하는 등 극심한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심지어 가토 기요마사는 항복 대신 할복자살을 결심하기도 했다.

 

한편 연합군 진영에서는 권율양호에게 총공격을 하자고 건의했으나 양호 장기전으로 왜군이 저절로 무너질 때 기다리자고 하여 장기전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그러나 그 동안 각지의 왜군 구원병들이 속속 도착했고 고니시 유키나가의 병력까지 내보내어 8만에 이르는 대군이 양산에 집결했다. 구원병은 당시 가토 기요마사의 휘하 장수이자 제4진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지휘했다. 왜군의 구원병 8만 명은 양산에서 조명 연합군의 방어선을 무너뜨리고 울산성으로 진격했다.

 

결국 조명 연합군1598년 음력 1월 4일 철수를 결정하고 13일간의 울산성 전투는 종결되었다. 이 전투에서 조명 연합군은 무려 1만 5,000명의 전사자를 내었고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도 1만 5,000명의 병력 중 500명만 살아남았다.

 

그리고 이 전투에서 항왜병이었던 하라다 노부타네도 전사 또는 병사로 죽었다.

 

이후 가토 기요마사서생포왜성으로 퇴각해 수성전으로 방어를 구축하였고, 훗날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구마모토 성에 120개의 우물과 고구마 줄기로 된 다다미를 만들었다.

 

 

제2차 울산성 전투

제2차 울산성 전투
(임진왜란의 일부)
날짜 1598년 음력 9월 22일
장소 경상도 울산왜성
결과 무승부
교전국
조선
명나라
일본
지휘관
조선

김응서
선거이
명나라
마귀

가토 기요마사
병력
조선
1만 5000명
명나라
2만 4000명
총병력 3만 9000명
불명

 

 

조선에 파견된 명나라의 제독 마귀는 별장 김응서, 선거이 등과 함께 다시 조명 연합군 3만 9,000명의 병력을 모아 울산 도산성을 다시 공격하지만 실패하고 선거이가 전사한다. 하지만 왜군은 철수 준비로 인해 울산왜성, 서생포왜성에서 철수한다.

 

이 전투에서 유명한 항왜병 사야가 김충선김응서 휘하로 농성 중이던 가토 기요마사의 1군을 섬멸하여 가선대부를 하사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