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의인왕후릉(왼쪽)에서 본 선조의 능.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병풍석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등 전형적인 석물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596 : 조선의 역사 138 (선조실록 3) 본문
한국의 역사 596 : 조선의 역사 138 (선조실록 3)
|
제14대 선조(계속)
치세 후반
임진왜란 후의 사회변동과 전후 수습책
임진왜란 직후 조총과 화승총 기술이 발달했고, 선조는 왜군과 명나라가 남기고 간 군사 무기를 수집을 명하여, 병장기를 개선시켰다. 그러나 7년간에 걸친 전쟁으로 국토가 황폐화되어 경작지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를 회복하고 전쟁으로 소실된 토지대장을 재정비하기 위해 1601년과 1603년에 어사를 파견해 전국적으로 양전(量田)을 실시했다.
또한 전쟁중에 명군의 식량 조달을 위해 실시했던 납속(納粟)을 더욱 확대했다. 납속책의 실시는 부유한 상민·천민의 신분상승을 가능하게 해 조선 후기 신분제 변동의 한 계기가 되었다. 각 궁방(宮房)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해주기 위해 임시변통으로 왕자·옹주 23명에게 예빈시(禮賓寺)에 소속되었던 어전(漁箭)·염분(鹽盆)·시전(柴田)을 획급했는데, 이후 궁방전의 시초가 되었다.
1604년 호성(扈聖)·선무(宣武)·정난(靖難) 공신 등을 녹훈함으로써 전쟁중에 공을 세운 사람들을 표창했다. 그리고 유정(惟政)을 일본에 보내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와 강화를 맺었으며, 왜관(倭館)을 열어 개시(開市)하는 것을 허락하고 포로로 잡혀가 있던 사람들을 데리고 오게 했다.
생애 후반
서자의 후손으로, 아버지 덕흥대원군이 서자라는 점과 방계 승통이라는 점이라는 두가지 콤플렉스에 시달렸던 선조는 계비 인목왕후에게서 얻은 아들 영창대군을 세자로 삼으려 했다. 그러자 소북의 유영경은 선조의 뜻이 옳다하며 영창대군을 추대하고 인목왕후의 섭정을 계획하였으나, 5세부터 18세까지 13년간 섭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소화불량으로 고생하던 선조는 임진왜란 때에도 분조를 경영한 적이 있던 광해군을 세자로 승인한다. 그러나 1608년 상궁 김개시가 수라상에 올린 떡을 먹다 체하여 갑자기 사망한다. 이후 선조의 독살설이 의혹으로 제기되기도 한다.
사후
바로 소경대왕으로 시호를 정하고, 묘호는 선종(宣宗)이라 했다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극복한 공로가 있다는 점과 새 왕통을 시작하는 군주라는 점이 감안되어 선종에서 선조(宣祖)로 묘호가 개정되었다.
능묘
선조는 1608년 승하 하였으며, 명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소경(昭敬)이다. 능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목릉(穆陵)이며, 전(殿)은 영모전(永慕殿)이다. 목릉은 선조와 정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이 있다. 동구릉 중의 하나로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본래의 목릉에는 의인왕후의 유릉(裕陵)이 위치하고 있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새로 능을 건설할 여력이 없었던 탓으로 정자각을 선조의 능침 쪽으로 옮겨 지금과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가계
- 조부 : 제 11대 중종
- 조모 : 창빈 안씨
- 부 : 명종
- 모 : 인순왕후 심씨
- 사친 부 : 덕흥대원군
- 사친 모 : 하동부대부인 정씨
- 원비 : 의인왕후 박씨(懿仁王后 朴氏, 1555년 - 1600년)
- 양자 : 광해군 혼(光海君 琿)
- 계비 :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 1632년)
- 영창대군 의(永昌大君 㼁,1606년 - 1614년)
- 정명공주(貞明公主, 1603년 - 1685년), 풍산인(豊山人) 홍주원(洪柱元, 1606년 - 1672년)에게 하가.
- 공주 (조졸)
- 후궁 : 폐(廢) 공성왕후(恭聖王后) 공빈 김씨(恭嬪 金氏, 1553년 - 1577년)
- 임해군 진(臨海君 珒)
- 광해군 혼(光海君 琿)
- 후궁 : 경혜 인빈 김씨(仁嬪 金氏)
- 의안군 성(義安君 珹, 1576년 - 1588년)
- 신성군 후(信城君 珝, 1578년 - 1592년)
- 정원군 부(定遠君 琈, 1580년 - 1619년): 인조의 아버지 원종
- 의창군 광(義昌君 珖, 1589년 - 1645년)
- 정신옹주(貞愼翁主, 1583년 - 1653년), 달성인(達城人) 서경주(徐景주, 1579년 - 1643년)에게 하가.)
- 정혜옹주(靜惠翁主, 1584년 - 1638년), 해평인(海平人) 윤신지(尹新之, 1582년 - 1657년)에게 하가)
- 정숙옹주(貞淑翁主, 1587년 - 1627년), 평산인(平山人) 신익성(申翊聖, 1588년 - 1644년)에게 하가.)
- 정안옹주(貞安翁主, 1590년 - 1660년), 반남인(潘南人) 박미(朴瀰, 1592년 - 1645년)에게 하가.)
- 정휘옹주(貞徽翁主, 1593년 - 1653년), 전주인(全州人) 유정량(柳廷亮, 1591년 - 1663년)에게 하가.)
- 후궁 : 순빈 김씨(順嬪 金氏)
- 순화군 보(順和君 王+土, 1580년 - 1607년))
- 후궁 : 정빈 민씨(靜嬪 閔氏)
- 인성군 공(仁城君 珙, 1588년 - 1628년)
- 인흥군 영(仁興君 瑛, 1604년 - 1651년)
- 정인옹주(貞仁翁主, 1590년 - 1656년), 남양인(南陽人) 홍우경(洪友敬, 1590년 - 1625년)에게 하가.)
- 정선옹주(貞善翁主, 1594년 - 1614년), 안동인(安東人) 권대임(權大任, 1595년 - 1645년)에게 하가.)
- 정근옹주(貞謹翁主, 1601년 - 1613년), 선산인(善山人) 김극빈(金克鑌, 1600년 - 1628년)에게 하가.)
- 후궁 : 정빈 홍씨(貞嬪 洪氏)
- 경창군 주(慶昌君 珘)
- 정정옹주(貞正翁主)
- 후궁 : 온빈 한씨(溫嬪 韓氏, 1581년 ~ 1664년)
- 흥안군 제(興安君 瑅, 1598년 - 1624년)
- 경평군 늑(慶平君 玏, 1600년 - 1673년)
- 영성군 계(寧城君 㻑, 1605년 - 1649년)
- 정화옹주(貞和翁主, 1604년 - 1667년), 안동인(安東人) 권대항(權大恒, 1610년 - 1666년)에게 하가.)
- 후궁 : 귀인 정씨(貴人 鄭氏)
- 후궁 : 숙의 정씨(淑儀 鄭氏)
- 후궁 : 소원 윤씨(昭媛 尹氏)
기타
선조는 생부 덕흥대원군을 끝내 왕으로 추존하려다가 추존하지 못하고 실패한다. 선조는 이후 생부 덕흥대원군의 묘를 덕릉이라 불렀는데, 선조는 사람을 시켜 남양주 근처에 나무하러 오는 나무꾼 중 덕묘나 덕흥대원군묘라 하지 않고 덕릉(근처)에 다녀온다 라고 하는 나무꾼에게는 후한 돈을 주고 나무짐을 샀다 한다.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군주 | |
---|---|
조선 |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덕종)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 선조 · 광해군 · (원종)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진종) · (장조) · 정조 · 순조 · (문조) · 헌종 · 철종 · 고종 |
대한제국 | 고종 · 순종 |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 598 : 조선의 역사 140 (선조실록 5) (0) | 2012.05.27 |
---|---|
한국의 역사 597 : 조선의 역사 139 (선조실록 4) (0) | 2012.05.26 |
한국의 역사 595 : 조선의 역사 137 (선조실록 2) (0) | 2012.05.24 |
한국의 역사 594 : 조선의 역사 136 (선조실록 1) (0) | 2012.05.23 |
한국의 역사 593 : 조선의 역사 135 (명종실록 10) (0) | 201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