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583 : 조선의 역사 125 (인종실록) 본문
한국의 역사 583 : 조선의 역사 125 (인종실록)
인종의 효릉
제12대 인종
인종(仁宗, 1515년~1545년, 재위 1544년~1545년)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이다. 휘는 호(峼), 자는 천윤(天胤). 사후 시호는 인종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仁宗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이며 중종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윤여필(尹汝弼)의 딸 장경왕후(章敬王后)이며, 비는 첨지중추부사 박용(朴墉)의 딸인 인성왕후(仁聖王后)이다.
생애
인종은 1520년(중종 15년) 세자로 책봉되었다. 1522년에 성균관에 들어가 유신(儒臣)들과 옛 글을 강론(講論)했다. 형제간의 우애가 두터웠으며, 중종이 병이 들자 침식을 잊고 간병에 정성을 다했다. 1544년 11월에 즉위했으나 병으로 제대로 정사를 살피지 못했다.
1545년 기묘사화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기준(奇遵) 등을 신원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다시 설치했다. 왕위에 오른 지 8개월 만에 승하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효릉(孝陵)이다.
가족 관계
- 부 : 제 11대 중종(1488년 ~ 1544년)
- 모 : 장경왕후(1491년 ~ 1515년)
- 왕비 : 인성왕후 박씨(仁聖王后 朴氏)
- 후궁 : 숙빈 윤씨(淑嬪 尹氏):윤원량(尹元亮)의 딸, 윤원형·윤원로·문정왕후의 조카
- 후궁 : 혜빈 정씨(惠嬪 鄭氏):정온(鄭溫)의 딸
- 후궁 : 귀인 정씨(貴人 鄭氏):정유침(鄭惟沈)의 딸, 정철(鄭澈)의 누이
- 후궁 : 양제 윤씨(良娣 尹氏):윤개(尹溉)의 딸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군주 | |
---|---|
조선 |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덕종)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 선조 · 광해군 · (원종)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진종) · (장조) · 정조 · 순조 · (문조) · 헌종 · 철종 · 고종 |
대한제국 | 고종 · 순종 |
제12대 인종실록(1515~1545년, 재위: 1544년 11월~1545년 7월, 윤정월 포함 9개월)
1. 인종의 짧은 치세
인종은 조선의 역대 왕들 가운데 가장 짧은 치세를 남긴 왕이다. 8개월 보름 남짓 왕위에 머물러 있다가 원인 모를 병으로 드러누워 시름시름 앓더니 후사도 하나 없이 훌쩍 세상을 떠나버렸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은 그를 성군이라 일컬었다. 지극한 효성과 너그러운 성품, 금욕적인 생활 등이 전형적인 선비의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인종은 1515년 중종과 장경왕후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호, 자는 천윤이다. 1520년 여섯 살의 어린 나이로 세자에 책봉되어 무려 25년간이나 세자로 머물러 있다가 1544년 중종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그는 성품이 조용하고 효심이 깊으며 형제간에 우애가 돈독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한 세 살 때부터 글을 읽을 정도로 총명하여 1522년 여덟 살의 나이로 성균관에 들어가 매일 세 차례씩 글을 읽었다.
게다가 철저한 금욕생활을 추구했던 듯 동궁에 머물 당시에는 옷을 화려하게 입은 궁녀는 모두 내쫓았으며, 일체 여자를 가까이 하지 않았다 한다. 이는 그가 당시 조정에 진출한 사림들에 의해 세자 교육을 받으면서 도학사상에 깊이 매료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의 이러한 성품은 계모 문정왕후의 표독하고 사악한 성격을 방치하는 요소로 작용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생모 장경왕후 윤씨가 그를 낳고 7일 만에 죽었기 때문에 그는 문정왕후 윤씨의 손에서 자라야 했다. 그런데 문정왕후 윤씨는 성질이 고약하고 시기심이 많은 여자로 전실 부인의 아들인 인종을 무척이나 괴롭혔다.
야사에 따르면 윤씨는 몇 번이나 인종을 죽이려고 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종이 세자로 있을 때 그와 빈궁이 잠들어 있는데 주위에 뜨거운 열기가 번져 일어나보니 동궁이 불에 타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당황하지 않고 빈궁을 깨워 먼저 나가라고 했다. 그리고 저신은 조용히 앉아서 타 죽겠다고 했다고 한다. 그가 그렇게 말한 것은 누가 불을 지른 것인지 알았기 때문이었다.
문정왕후는 이미 몇 번에 걸쳐 그를 죽이려 했는데 그때마다 요행히도 그는 죽음을 면하곤 했다. 비록 계모이긴 하나 어머니인 문정왕후가 자신을 그토록 죽이려고 하니 자식된 도리로써 죽어주는 것이 효를 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한 그는 조용히 불에 타 죽겠다고 작정한 것이다.
세자의 말을 들은 빈궁은 자신 혼자는 절대로 나갈 수 없다고 하면서 자리를 지켰다. 그래서 두 사람 모두 졸지에 화형을 당할 지경에 처했는데, 그때 밖에서 다급하게 그를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 세자를 애타게 부르는 중종의 목소리였다. 인종은 그 소리를 듣고 죽는 것이 문정왕후에겐 효행이 되나 부왕에겐 불충이라고 말하면서 빈궁과 함께 불길을 헤쳐나왔다고 한다.
인종은 부에 대한 효를 다했으나 모에 대한 효는 결국 다하지 못했다는 결론이다. 유교의 효가 인종을 죽음 직전까지 몰고 갔으며 결국은 모의 희망에 따라 후사도 두지 않앗다는 무지에 가까운 효를 보인 점에 성군이라는 칭송을 들은지는 몰라도 그로 인해 죽음도 자초하게 만들었다는 이야기다. 유교의 효라는 것이 이처럼 부모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과 존경을 강조하다보니 이런 경우처럼 웃지못 할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악행을 저지르는 부모도 공경해야 한다는 개념은 오늘날의 잣대로 견주어 본다면 개념 수정이 필요한 사안인지도 모르겠다.
이 불은 누군가가 꼬리에 화선을 단 여러 마리의 쥐를 둥궁으로 들여보내 지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불을 지른 장본인이야 구태여 따져보지 않아도 알만한 일이었다. 하지만 인종은 범인을 알면서도 입을 굳게 다물었고, 그래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 사건은 유야무야 없던 일로 처리되고 말았다.
이렇게 몇 차례 죽음의 위험을 겪어내면서 인종이 왕위에 올랐을 때는 그의 나이 이미 30세였다. 그는 즉위하자마자 조광조를 비롯한 기묘사화 때 피해를 입은 사림 세력들을 신원하고 현량과도 복구시켰다. 그리고 그간 자신이 익히고 배운 도학사상을 현실 정치에 응용하려는 의도에서 다시 사림을 등용시키기 시작했다. 그래서 정계에 진출한 사람이 이언적, 유관 등 사림의 대학자들이었다.
하지만 인종은 이처 그 뜻을 펼쳐 보지도 못하고 재위 9개월 만인 1545년 7월에 31세의 짧은 일기로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인종이 그렇게 빨리 죽은 이유는 문정왕후의 시기심 때문이라고 한다. 인종은 계모이긴 하지만 자신을 키워준 어머니인 문정왕후에게 유교에서 강조하는 효도를 다하기 위해 극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윤씨는항상 인종을 원수대하듯 했고 문안 인사차 들른 인종에게 '자신과 아들 경원대군(명종)을 언제쯤 죽일 것이냐'고 말할 정도로 막말을 해댔다고 한다.
그러나 인종은 그녀를 미워하거나 싫어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효행이 부족함을 개탄하면서 죄책감에 시달려야 했다. 그리고 문정오아후의 뜻에 부합하기 위해 심지어는 자신의 이복동생이자 문정왕후의 아들인 경원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자식을 두지도 않았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유교란 겉으로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우지만 현실에서는 적용되기 힘든 부분이 많다. 유교의 울타리 속에 갇혀 모순을 알고서도 개혁과 개선을 거부하고 불합리한 것도 인내하고 수용해야 하는 모순을 안고 있는 사상인 것이다. 부모가 악행을 저질러도 그것을 거부하거나 부정하지 못하고 효를 다해야 하는 유교의 허실 속에서 인종은 고뇌를 되뇌이며 인내하고 참았던 것이 화병으로 악회되었는지도 모른다.
인종이 앓아 누워 죽게 된 것도 문정왕후가 내놓은 독이 든 떡이 그 원인이라고 야사는 전하고 있다. 어느 날 인종이 문안 인사차 대비전을 찿아갔는데, 그날 따라 문정왕후는 평소와는 다르게 입가에 웃음을 흘리며 인종을 반기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에게 떡을 대접했다. 인종은 난생 처음 계모가 자신을 반기는 것을 보고 기분이 좋아 아무 의심 없이 그 떡을 먹었다. 그런데 그 이후로 인종은 갑자기 시름시름 앓기 시작하더니 얼마 못 가서 숨을 거두고 말았다고 한다.
사실 여부를 떠나 이 야사가 전하는 것은 문정왕후의 인종에 대한 멸시와 시기가 얼마나 극악하였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문정왕후의 극악스러움이 먹혀들었던 것은 인종이 너무나 유약하고 선하기만 했으며 도학적인 명분을 다하기 위해 효행을 지키려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시각으로 볼 때 과연 그의 효행이 진정한 효행이었는지는 재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에 있으며, 그의 효행을 기리는 뜻으로 능호는 효릉이라 했다.
인종은 인성왕후 박씨와 숙빈 윤씨, 귀인 정씨 등 3명의 부인을 두었다. 인성왕후 박씨는 금성부원군 박용의 딸로 1514년에 태어났다. 1524년 11세의 나이로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며, 1544년 인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엇다. 슬하에 자녀는 없었으며 인종이 죽은 후에도 32년을 더 살다가 1577년 6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떴다. 죽은 후 인종과 함께 효릉에 묻혔다. 귀인 정씨는 정유침의 딸이며, 정철의 큰누이이다. 소생은 없었으며 생몰연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다.
2. <인종실록> 편찬 경위
<인종실록>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44년 11월부터 1545년 7월까지 9개월 간의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하고 있다.
인종이 죽은 뒤 일어난 을사사화로 인해 그의 외가, 처가 및 가까운 신하들이 큰 희생과 탄압을 겪어야 했기에 인종실록은 편찬 계획조차 수립되지 않았다. 다만 1546년 <중종실록> 편찬에 부수되어 4년 후에 겨우 완성을 보았다.
이 때문에 편찬에 참여한 인물은 모두 <중종실록>의 편찬자들이다. 또한 즉위년의 11월, 12월 기사가 중종실록에 실려 있어 <인종실록>에는 고작 7개월간의 역사가 실려 있을 뿐이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 585 : 조선의 역사 127 (명종실록 2) (0) | 2012.05.14 |
---|---|
한국의 역사 584 : 조선의 역사 126 (명종실록 1) (0) | 2012.05.13 |
한국의 역사 582 : 조선의 역사 124 (성리학에 대하여) (0) | 2012.05.11 |
한국의 역사 581 : 조선의 역사 123 (조광조의 정치사상) (0) | 2012.05.10 |
한국의 역사 580 : 조선의 역사 122 (중종실록 15) (0) | 201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