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386 : 고려의 역사 154 (제21대 희종실록 2)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386 : 고려의 역사 154 (제21대 희종실록 2)

두바퀴인생 2011. 10. 11. 03:38

 

 

 

한국의 역사 386 : 고려의 역사 154 (제21대 희종실록 2)

 

  

제21대 희종실록

(1181~1237년, 재위 1204년 1월~1211년 12월, 7년 11개월)

 

 

 

                                      

 

 

2. 희종의 가족들

 

희종은 선평왕후 임씨에게서 창원공 지, 시녕후 위, 경원공 조, 대선사 경지, 충명국가 각응 등 다섯 아들과 안해태후(고종의 비), 영창, 덕창, 가수느 정의 등 5명의 딸을 얻었다. 이들 가족 중 성평왕후와 창원공 지, 시녕후 위, 경원공 조의 삶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한다. 대선사 경지와 충명국가 각응 등은 이름만 전할 뿐 자세한 기록이 없다.

 

성평왕후 임씨(?~1247년)

성평왕후 임씨는 종실 영인후 진의 딸인데 왕씨 성을 사용하지 않고 외가의 성을 따서 임씨라고 하였다.

 

그녀는 희종이 태자로 있을 때 입궁하였으며, 1211년 함평궁주에 봉해지면서 정식으로 왕비가 되었다. 소생으로 창원공 왕지를 포함하여 5남 5녀가 있었으며, 1247년에 죽으니 소릉이 안장하였다.

 

창원공 왕지(?~1262년)

창원공 왕지는 희종의 장남으로 1211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그해 12월 최충헌에 의해 희종이 폐위될 때 인주로 유배되었다. 그 후 창원후에 봉해졌다가 다시 창원공으로 작위가 격상되었으며 1262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시녕후 왕위(생몰년 미상)

시녕후 왕위는 희종의 돌째 아들로 1211년에 시녕후에 봉해졌으며 그해 12월 왕준명의 거사사건으로 희종이 폐위 될 때 백령현으로 유배되었다.

 

그에게는 아들 왕굉이 있었으며, 사공의 벼슬을 받았다.

 

경원공 왕조(?~1279년)

경원공 왕조는 희종의 셋째 아들로 1211년에 경원후에 책봉되었다. 그해 희종이 폐위되었지만 그는 어린 탓에 추방되지는 않았다.

 

그는 옛 역사에 정통하고 예법이 밝았으며 종실의 칭송을 받았다. 원종은 예법에 대해 궁금한 일이 있으면 언제나 그에게 물었다고 한다. 그의 정례식 때 왕이 홍대촉(붉은색의 큰 초로 임금만 사용했다)을 사용하도록 했는데, 이 때부터 양반이나 평민들도 홍대촉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에게는 해, 균 등의 두 아들이 있었으며, 왕해는 광평공에 책봉되어 함년궁주에게 장가들었다. 그는 1279년 원나라 사신 납탑합백나와 함께 경상도로 가서 일본을 정벌하는 데 사용할 병선의 제작을 감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