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332 : 고려의 역사 100 (제11대 문종실록 5) 본문
한국의 역사 332 : 고려의 역사 100 (제11대 문종실록 5)
제11대 문종실록
(1019~1083, 재위 1046년 5월~1083년 7월, 37년 2개월)
2. 문종의 가족들 1
문종은 인평왕후 김씨, 인예왕후 이씨, 인경현비 이씨, 인절현비 이씨, 인목덕비 김씨 등 5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이들 부인들 중 인평과 인목을 제외한 나머지 3명은 모두 이자연의 딸이다.
이들 부인들 중 인예왕후 이씨가 10남 2녀를 낳았으며, 인경현비 이씨가 3남을 낳았고 나머지 부인들은소생이 없었으니 문종은 총 13남 2녀를 낳았다.
인예왕후 소생 자식으로는 순종, 선종, 숙종, 대각국사 후(의천), 상안공 수, 보응승통 규, 금관후 비, 변한후 음, 낙랑후 침, 총혜수좌 경 등 10명의 왕자와 적경, 보경 두 공주가 있으며, 인경현비 소생 자녀로는 조선공 도, 부여공 수, 진한공 유 등의 세 왕자가 있었다.
이들 가족들 중 5명의 부인과 대각국사 왕후의 생애를 간단하게 요약한다. 순종, 선종, 숙종은 각 실록에서 다루기로 하고 나머지 아들과 딸들의 삶은 특별한 내용이 없어 생략한다.
인평왕후 김씨(?~1057년)
인평왕후 김씨는 현종의 딸로 원성왕후 김씨 소생이다. 따라서 문종과는 이복남매간이 된다.칭호는 흥성궁비였으며 , 소생은 없었다.
고려사 열전 편에는 그녀에 대해 현종의 딸이라는 사실만 밝혀 놓았을 뿐, 더 이상의 언급은 없다. 다만,세가편 문종편에는1057년 문종 11년 5월에 흥성궁비가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녀가 곧 인평왕후 김씨인 듯하다.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인예왕후 이씨(?~1092년)
인예왕후 이씨는 인주 출신으로 중서령 이자연의 맏딸이며 칭호는 연덕궁주이다. 문종은 이자연의 세 딸을 모두 왕비로 받아들이는데 이는 왕실 혼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사례이다.
그녀는 1052년 6월에 왕비에 책봉되어 순종, 선종, 숙종, 후(의천), 수, 규, 비, 음, 침, 경 등 10남과 적경, 보경 등 2녀의 자녀를 낳았다. 문종 사후에는 서경에 머물다가 1092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능은 대릉이며 개경 근처에 있다.
인경현비 이씨(생몰년 미상)
인경현비 이씨도 이자연의 딸이다. 언니 인예왕후 이씨에 의헤 궁에 입궁한 듯하며, 칭호는 수년궁주엿다. 1082년 1월에 숙비에 책봉되엇다가 죽은 다음에 인경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소생으로 조선공 도, 부여공 수, 진한공 유 등 2남이 있다.
인절현비 이씨(?~1082년)
인절현비도 이자연의 딸로 칭호는 숭경궁주였다. 1082년 문종 36년 7월에 죽으니 시호를 인절이라 했다. 소생은 없고 능에 대한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
인목덕비 김씨(?~1094년)
인목덕비 김씨는 시중 김원중의 딸이다. 칭호는 송화궁주이며 1094년 선종 11년에 죽으니 시호를 인목이라 하였다. 소생은 없고 능에 대한 기록은 없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 334 : 고려의 역사 102 (제11대 문종실록 7) (0) | 2011.08.19 |
---|---|
한국의 역사 333 : 고려의 역사 101 (제11대 문종실록 6) (0) | 2011.08.18 |
한국의 역사 331 : 고려의 역사 99 (제11대 문종실록 4) (0) | 2011.08.16 |
한국의 역사 330 : 고려의 역사 98 (제11대 문종실록 3) (0) | 2011.08.15 |
한국의 역사 329 : 고려의 역사 97 (제11대 문종실록 2) (0) | 201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