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327 : 고려의 역사 95 (제10대 정종실록 2)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327 : 고려의 역사 95 (제10대 정종실록 2)

두바퀴인생 2011. 8. 12. 13:49

 

 

 

한국의 역사 327 : 고려의 역사 95 (제10대 정종실록 2) 

  

제10대 정종실록

(1018~1046, 재위 1034년 9월~1046년 5월, 11년 8개월)

 

2. 정종의 가족들

정종은 5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4남 1녀의 자녀를 얻었다. 선대 왕들과 달리 부인이 전혀 혈연관계가 없는 족외혼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정종의 왕권이 비교적 강력하지 못했으며 신하들의 입김이 그 어느 때보다 크게 작용하였다는 의미이다.

 

5명의 부인 중 제1비 용신왕후 한씨가 1남을 낳았으며, 제2비 용의왕후 한씨가 애상군 방, 낙랑후 경, 개성후 개 등 세 아들을 낳았고, 제3비인 용목왕후 이씨가 도애공주를 낳았다. 이들 외에 제4비 용절덕비와 제5비 연창궁주 노씨는 소생이 없었다.

 

정종의 가족 중 다섯 왕비의 삶을 간단히 언급한다. 정종의 네 아들 중 장남 왕형과 왕방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나머지 두 아들은 문종 대에 모두 봉작과 식읍을 받은 것만 기록되어 있어 이들에 대한 상세한 언급은 생략한다.

 

용신왕후 한씨(?~1036년)

용신왕후 한씨는 단주 사람으로 한조의 딸이다. 그녀는 정종이 평양군으로 있을 때 혼인하였으며, 정종이 왕위에 오르자 연흥궁주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리고 이듬해 1035년 아들 형을 낳았다. 하지만 이 때 낳은 왕형에 대한 더 이상의 기록은 찿을 수 없고, 고려사 열전에서도 정종의 아들이 세명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어릴 때 죽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들을 낳은 그녀는 정식으로 왕비에 책봉되어 혜비로 불렸다. 그리고 다시 정신왕후에 봉해졌으나 1036년 7월에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이후 문종 2년에 용신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능호는 현릉이다.

 

용의 왕후 한씨(생몰년 미상)

용의 왕후 한씨 역시 한조의 딸로서 용신왕후의 친동생이다. 언니를 따라 궁중에 들어왔던 그녀는 1038년 4월 여비에 책봉되고 창성궁주라는 택호를 받았다. 후에 다시 현덕궁주라고 호를 고쳤으며, 1040년 정식으로 왕비에 책봉되었다.

 

그녀 소생으로 왕자 애상군 방, 낙랑후 경, 개성후 개 등이 있다. 기타 기록은 없다.

 

용목왕후 이씨(생몰년 미상)

용목왕후 이씨는 부여 사람으로 공부시랑 이품언의 딸이다. 왕비 책봉 과정과 연대에 관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호를 창성궁주라 하였고, 소생으로 도애공주가 있다. 기타 기록은 없다.

 

용절덕비 김씨(?~1102년)

용절덕비는 경주 사람으로 문하시중 김충원의 딸이다. 호를 연흥궁주라 하였으며 숙종 7년 1102년 3월에 죽었다. 죽고 난 다음 숙종은 그녀를 덕비에 추증하고 시호를 용절이라고 하였다. 기타 기록은 없다.

 

연창궁주 노씨(?~1048년)

연창궁주 노씨의 가계는 기록이 없다. 그녀가 원래 궁녀로 입궁했던 것으로 보아 귀족 출신은 아닌 듯하다.

 

궁인으로 입궁한 그녀는 용모가 뛰어나 정종의 사랑을 독차지하였다. 그렇지만 별다른 봉작을 받지 못하다가 정종이 죽고 문종이 왕위에 오른 후 연창궁주가 되었다. 이는 정종의 유언을 따른 것인데, 문종이 정종의 유언을 실행에 옮기자 대신들의 반발이 거셌다. 문하성과 어사대에서 노씨가 정식으로 혼인한 관계가 아니므로 연창궁을 내주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문종은 대신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그녀에게 연창궁을 내주었다.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연창궁주에 오른 그녀는 문종 2년 1048년 3월에 사망하였으며, 능애 대한 기록은 없다.

 

정종 실록 관련 사항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어디에도 정종, 문종,순종의 실록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하지만 제13대 선종실록이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아 이들 세 왕의 실록도 편찬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시기가 언제인지는 불분명하다. 현종실록이 정종 말기에서 문종 대에 최충에 의해 편찬되었던 것처럼 덕종과 정종실록도 최충에 의해 편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종, 덕종실록은 정종 대에, 정종실록은 문종 대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