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핵무기 논의 조차 할 의미가 없단 말인가? 본문
한국의 핵무기 논의 조차 할 의미가 없단 말인가?
핵 보유 목적은 북핵 상쇄용…
핵 논의조차 못한다면 자위국가, 자존국민인가
핵논의에 침묵할수록 핵의지, 보유능력도 없는
나라로 인정될까 두렵다
한국도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은 논의조차 해볼 가치가 없다는 것일까? 북한 김정일 집단과의 대결 내지 협상을 위해서 우리도 핵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은 우리 사회의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런 안보적 국가적 과제에서 중요한 몫을 담당한 정치권은 아예 관심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의 핵무장은 그 당위성에 대한 문제 제기부터 금기시되거나 도외시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첫 번째로 거론될 수 있는 것은 한국의 자포자기다. "우리가 원한다고 그게 이뤄지겠어?"라는 지레 결론이 가장 핵심적인 걸림돌인 것이다. 한반도 비핵화를 내세우고 있는 미국이 한국의 핵 보유를 인정해줄 리 없고 미국이 반대하는 이상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논리가 그 배경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 국민 전체의 의지 여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사안이라고 본다. 미국은 지금 북한의 핵을 막지 못하면서 한국의 핵은 언제까지 틀어막고 있을 것인가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북한이 한국을 핵 공격했을 때 미국은 중국과의 핵전쟁을 각오하면서도 보복에 나설 것인가를 대답해야 한다. 북한이 핵 운반용 장거리 미사일의 사정거리를 계속 늘려가는 추세에 따라 미국은 한국의 미사일 능력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또 한국의 핵은 통제가 가능한 반면, 북한의 핵은 통제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그 규모를 계속 확대해가고 있는 점도 미국과 기타 관련국들이 고민해야 할 문제다.
두 번째의 이유는 우리의 핵 보유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여러 나라의 핵확산을 촉발할 것이고, 그것이 곧 동북아 전체에 핵전쟁의 공포를 몰고 올 것이라는 우려다. 우리가 핵무장을 선언하면 일본과 대만의 핵 보유가 뒤따를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핵은 북한만이 가진 배타적 무기일 때 그 위력이 보장되는 것이고 한국·일본 등이 핵을 갖게 되면 그것으로 공포의 균형을 통해 견제력을 발휘할 수 있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총을 겨누고 있으면 누구도 먼저 총을 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중국의 어느 학자는 최근 다보스 포럼에서 "북한이 이미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통일 한국이 핵무기를 가질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면서 "중국이 이미 러시아·인도·파키스탄 등 핵 보유국가에 둘러싸여 있는데 핵보유국이 하나 더 늘어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다"고 했다. 통일한국을 전제로 한 발언이지만 여러 나라가 핵을 보유하는 상황을 인정하고 있다.
세 번째의 걸림돌은 친북·종북 세력들의 견제일 것이다. 그들은 한국이 핵을 가짐으로써 북핵의 실효성과 의미가 반감되거나 상실되는 상황을 수용할 수 없을 것이다. 그들은 한국의 핵을 북한의 입장에서 관찰할 것이며 핵 보유 논의 자체를 '전쟁 확산 논리'라고 몰아세울 것이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한국 국민들의 북핵 무해론(無害論)이다. 따라서 우리도 가질 필요가 없다는 논리다. 이것은 자포자기나 핵확산 공포보다 더 위험한 것이다. "북이 핵을 가졌다고 해서 같은 동포인 우리에게 핵을 쏠 수 있겠어?" "북핵은 미국을 겨냥한 것이고 북으로서는 존립, 그 자체일 수 있다"는 등의 생각은 지극히 위험하다. 우리는 미국의 핵과 중국의 핵에 대해 불안감을 갖고 있지 않다. 그들 핵의 안전장치를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김정일 집단을 믿을 수 없다. 천안함, 연평도 그리고 그 이전에 1·21, 아웅산, KAL기 사건을 통해 저들은 기회 있을 때마다 우리를 파괴하려 했다. 더구나 김정일정권의 존폐가 막바지에 몰렸을 때 '마지막 수단'으로서의 핵에 의존할 개연성이 높은 상황에서 핵의 버튼이 소수 권력자의 자의에 맡겨져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북한이 선제공격을 해 수십만명이 희생된 뒤에 우리가 전쟁에서 이기고 통일이 된들 무슨 의미가 있는가. 핵보복이나 핵우산은 '행차 뒤 나팔'격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이 핵을 쓰지 못하도록 견제하는 것이다.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아예 핵을 포기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핵을 갖는 목적은 북핵의 용도를 상쇄하자는 것인데 그런 논의조차 못한대서야 어디 자위국가, 자존국민이라 할 수 있겠는가? 우리 국민이 핵무장 논의에 입을 다물고, 핵문제의 공론화를 못 들은 척하고 있을수록 북한을 포함한 상대국들은 우리가 핵 의지도, 핵 보유 능력도, 그럴 국격도 없는 나라로 결론을 내릴 것이다. 그것이 정말 두렵다.
"한국과 일본도 핵무장을 할 수 있다"
[김대중 고문]
핵무기
핵무기(核武器)는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살상 또는 파괴하는 무기의 총칭이다. 원자 무기 또는 원자 병기라고도 한다.
가장 작은 핵무기도 재래식 폭탄에 비해 월등한 폭발력을 가지며, 가장 큰 것은 도시 하나를 통째로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핵무기가 실제로 전쟁에 사용된 것은 두 번 뿐으로,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뜨린 우라늄 폭탄인 리틀 보이와 사흘 후에 나가사키에 떨어뜨린 플루토늄 폭탄인 팻 맨이다. 이외에도 미국, 소련, 프랑스, 영국, 중국, 인도, 파키스탄,이스라엘 등이 수천 번의 핵실험을 실시했다. 2006년 10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도 핵실험을 실시하였다고 보도하였다.
핵무기의 위력은 TNT 폭탄으로 같은 양의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무게로 표현한다.
핵실험의 역사
- 1945년 7월 16일 미국이 뉴멕시코 주 알라모고도(Alamogordo) 서북쪽 60마일 되는곳에서 실시되어 트리니티 테스트라고 명명, 후에 방사 화학적 분석으로 약 18.6킬로톤 정도의 위력을 낸것으로 판명.
- 1945년 8월 6일 '에놀라 게이'로 명명된 B-29 4발 중폭격기가 최초의 핵폭탄인 우라늄235 폭탄 리틀 보이를 일본의 산업도시인 히로시마 시에 투하 20만 명 사상, 가옥6만호 파괴. 12km2가 폭풍과 화재에 의하여 괴멸됨.
- 1945년 8월 9일 미국이 플로토늄239 폭탄 팻 맨(Fat Man)을 나가사키 시에 투하. 7만 명 사망.
- 1952년 미국 최초의 습식수소폭탄 실험.
- 1952년 10월 3일 영국이 몬테벨로 군도에서 원자폭탄실험.
- 1953년 소련이 건식수소폭탄을 실험에 성공. 소련의 첫 원자폭탄 실험은 1949년에 이루어졌으나, 수소폭탄은 이 때에 이르러 성공하였다.
- 1954년 수소폭탄의 외각을 우라늄238(238U)로 싼 3F폭탄을 미국에서 개발, 비키니(Bikini)에서 실험.
- 1957년 9월 14일 영국은 1kt급의 앤틀러 라운드 전술용 코발트 폭탄을 오스트레일리아 마 라링카 부분 타제에서 폭파실험. (실패로알려짐)
- 1958년-1962년에 걸쳐 4년사이에 미국은 7차례, 소련은 4차례에 걸쳐 우주 공간에서 핵실험을 단행.
- 1960년 2월 13일 프랑스가 사하라 사막에서 원자폭탄실험.
- 1961년 소련이 차르 봄바의 실험을 함. 이 수소폭탄의 위력은 TNT 5800만톤(58메가톤)으로 지금까지의 핵폭탄 중 최대임.
- 1967년 중국 최초의 수소폭탄 실험.
- 2006년 10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핵실험을 실시하였다고 주장함.
- 2008년 이란에서 핵무기 개발로 국제연합 평화조약에 어긋난다는 평가를 받음.
핵무기의 진보
핵무기체제는 전략·전술적 측면에서 최우선 과제로 채택, 개발·발전하여 왔다. 관심의 대상은 특히 핵탄두의 파괴력과 CEP에 있었고, 재래식 방공체제나 조기경보체제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시점에서 볼때 중대한 의미를 가졌다.
핵탄두의 경우 히로시마에 투하되었던 원자폭탄의 파괴력을 기준으로 하는데 그 폭발력은 20㏏급이었다. 현재의 핵탄두는 핵분열·융합형으로, 소련의 SS-9가 단일 핵탄두로서는 최대규모인 20~25Mt급인데, 이것은 기준원폭과 비교할 때 무려 1,000~1,250배에 상당하는 위력을 가지며, 미국의 타이탄형은 5~10Mt급이다.
폭발력의 비약적 진전과 함께 MIRV화가 이루어졌다. MIRV화란 1기의 운반수단에 수발에서 수십발의 핵탄두가 탑재되어 대기권 돌입과정에서 각각 정해진 개별목표를 향해 분리 돌입하는 '다탄두 각개목표 재돌입화'로서, 핵탄두는 1Mt급으로 축소되었으나 통상 1운반체에 10발씩 탑재된다고 볼 때 전체적인 파괴력 규모는 실제로 증가된 것이다. MIRV화는 동시에 복수 이상의 목표를 공격할 수 있고, 투사중량(Throw weight)의 감소로 CEP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1운반체 1탄두에 대비한 재래식 방어·경보 체제를 무력화시켰다. 예컨대 핵탄두의 파괴력은 지형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데 MIRV화로 동일 목표에 대한 각개 돌입으로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CEP(Circular Error Probability)란 일정한 수의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목표지점에 도달한 반수 이상의 착탄범위를 원으로 표시하여 반경 m로 환산한 명중 오차 정밀도를 말한다. 1960년 ICBM의 CEP는 400m 수준이었으나 미국의 미니트맨 Ⅲ형에 탑재되는 최신형탄두 Mk/2A가 220m, 피스키퍼(Mx 미사일)는 90m로 향상되었으며, INF인 미국의 퍼싱Ⅱ형은 불과 30m에 이르는 진전을 보였다. 구소련의 경우 SS-19가 300m로 미국에 비해 뒤지고 있으나, INF인 SS-20의 경우 정밀도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략공격 목표에 관해서 하드타깃과 소프트타깃이란 용어가 사용되는데 전자는 ICBM 기지나 군사기지·시설물 등 견고한 대응 방어체제를 갖추고 있는 목표물을 뜻하고, 후자는 방어시설이 약하거나 없는 대도시·공업중심지 등 공격자의 손실이 적게 예상되는 목표물을 가리킨다.
종류
가장 간단한 핵무기는 핵분열을 이용한 무기이다. 핵물질을 임계 질량 이상으로 모으면 연쇄 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원자 폭탄이라고 한다.
보다 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다. 핵분열 폭탄을 이용하여 중수소나 삼중수소, 리튬 등을 순간적으로 가열/압축하여 핵융합 반응을 일으킨다. 이 원리를 이용한 수소 폭탄은 원자 폭탄의 수 백배 이상의 파괴력을 지닌다.
그밖에도 여러 종류의 핵무기도 있다. 핵무기 주위를 적당한 물질(코발트나 금) 등으로 감싸서 방사능 낙진의 양을 늘리는 ‘Salted’ 핵무기들도 있다. 그리고 고속중성자를 이용, 생물 살상에 쓰이는 중성자 폭탄도 있다.
전술핵
전술핵은 위력이 킬로톤 이내인 전술 무기이다. 이는 효율성, 경제성에서 큰 매력이 있는 전투 수단이다.
재래식 대포로 발사할 수 있는 최초의 전술핵은 미국이 50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1953년 5월 25일 첫 발사실험을 한 'Mk9'라는 핵폭탄이다. Mk9는 280㎜ 직사포로 발사되며, 전장에서 핵무기가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전술핵의 효시다.
전략핵
전략핵은 개개의 전장이 아닌 적의 영토 혹은 국가기반을 파괴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핵무기로, 핵을 적재한 대륙간 탄도탄(ICBM), 잠수함 발사 탄도탄(SLBM)이 있다.
폭발 규모 및 피해
핵무기는 에너지(X선)·열·폭풍에 의한 파괴효과를 지니는데, 핵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α·β·γ 입자는 광범위하고 오랜 방사능 오염지대를 형성한다.
파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을 배제하고 저고도에서 1Mt급 탄두를 폭발시킨 경우 9.6㎞ 이내의 목조건물은 완전히 파괴되고, 6.4㎞ 이내의 연와건물(煉瓦建物)은 완전도괴(倒壞)되며, 콘크리트·석조 건물도 4.8㎞ 이내이면 전부 파괴된다.
10Mt급의 경우 목조건물은 22㎞, 연와건물은 14.4㎞, 콘크리트건물은 10㎞ 이내이면 전부 파괴시킨다. 폭심은 순간적으로 수천도의 고열(高熱)에 휩쓸려 대화재를 일으킨다.
인체에 대한 피해는 1Mt의 경우 14.4㎞, 10Mt이면 38㎞의 지점에서도 피부에 2도화상을 입으며, 방사선에 의한 치사반경은 2.4㎞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폭발 1분 후에 1Mt급 탄두가 발하는 핵방사선은 라듐 1천만 톤에 해당할 정도로 강렬하다. 또 방사성낙진이나 잔류 방사능으로 원폭풍이 발생해 피폭효과는 지속된다.
- 1메가톤급
대한민국의 국방연구원에서는 1메가톤급 핵폭탄이 서울 종로구 세종로 사거리 상공에서 터질 경우, 폭발지점으로부터 반경 7km 이내의 모든 사람이 사망하고, 따라서 업무 시간대에 반경 3km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300만 명이 전원 사망할 것으로 예상한다.
- 20킬로톤급
대한민국의 국방연구원에서는 20kt급 핵폭탄이 터질 경우에는, 폭발지점으로부터 반경 1.2 km 이내의 모든 사람이 사망할 것으로 보고 있다. 1945년 8월 6일, 일본의 히로시마 시에 투하된 미군의 리틀 보이가 20킬로톤급으로서, 보통 핵폭탄의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몇 배나 되는가 하는식으로, 그 폭발력을 표시하는 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 15킬로톤급
미국의 국제천연자원보호협회(NRCD)가 2004년 미 국방부에 제출한 한반도 가상 핵전쟁 시나리오에 따르면, 15kt의 핵탄두 1개가 대한민국 국방부와 미국 제8군이 있는 서울시 용산구 삼각지 500m 상공에서 폭발할 경우 반경 4.5km는 잿더미로 변하고 서울 중심부는 물론 경기도 고양시 일산, 성남시 분당, 수원시까지 핵폭풍과 충격파, 낙진으로 파괴돼 60만∼120만 명의 인명 피해가 날 것으로 분석됐다.
- 10킬로톤급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위협감소국(DTRA)에서는, 북한이 10kt급 핵폭탄을 서울에 투하할 경우 최소 34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최소 18만 명의 사망자와 16만 명의 부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8만 명의 사망자 중 10만 명은 핵폭발 당시 즉사, 8만 명은 낙진 피해로 사망할 것으로 본다.
보유 국가(2010년) ]
미국 9400기(2010년)
러시아(개발당시
소비에트 연방) 12000기(2010년)
영국 225기
프랑스 300기
중국 240기
인도 60~80기
이스라엘 60~80기
파키스탄 70~90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8~10기
의심 국가
시도 국가
폐기 국가
핵무기 보유량
미국
2010년 5월 3일 미국은 최초로 미사일등 실전 배치돼 있는 장ㆍ단거리 핵탄두가 5,113기(2009년 9월 기준)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학자연맹(FAS)은 사용가능한 것 모두 합치면 실제 미국의 전체 핵 보유고는 1만여기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비공식적으로 ‘현재 핵무기를 갖고 있지는 않으나 핵개발 능력을 지닌 나라’로 분류되어 있다. 2014년 한·미 원자력 협정이 끝나면 핵연료 활동이 중지되며 규정에 따라 미국의 동의가 있어야 가능하게 된다.
2010년 11월 북한의 우라늄농축시설 발표에 대처 방안으로 대한민국의 국방부장관은 美전술핵 한국 재배치도 검토 할 것이라 밝혔다.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핵무기 보유 시도 국가로 되어 있으나 한미간 긴밀히 협의를 통한 철저히 준비할 계획이라 강조했다. [9]
핵무기의 위력
핵무기는 일반적으로 대비되는 재래식무기와는 아주 다르다. 아무리 첨단 초정밀 재래식무기라도 인마(人馬)가 일차적으로 탄체의 파편(破片)에 맞아야 살상된다. 영어로 표기하면『hit-to-kill』이다. 포탄이 비 오듯 퍼붓는 전장 터에서 눈썹 하나 상하지 않고 살아 돌아온 전쟁영웅이 있을 수 있음을 말해준다. 반면에 핵무기가 투발된 핵전장에서는 일정한 테두리 내에서 존재했던 모든 생물체는 결국 죽게 되어 그야말로 100% 살상이 가능하다. 영어로 표기하면『potential-kill』이다.
재래식무기의 파괴력은 대부분 폭풍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방출되는 에너지가 파편을 분산시키면서 파괴력을 제공한다. 반면에 핵폭발 에너지는 폭풍(blast), 열방사(thermal radiation), 핵방사(nuclear radiation) 등 3종류로 방출된다. 이들 3가지 형태의 에너지 방출 비율은 핵무기의 폭발 위력, 폭발 형태(장소) 환경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먼저 핵무기가 공중(해발고도 300미터)에서 폭발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핵무기가 폭발하면 순간적으로 막대한 에너지의 발생으로 인하여 인류가 지금까지 본 적이 없는 마치 태양을 100개나 합친 것과도 같은 강렬한 섬광(EMP: Electro-Magnetic Pulse-wave)이 빛남과 동시에 폭발 순간 약 30m 직경의 불덩어리가 형성되어 순간적으로 확장되면서 태양 표면 온도의 수 십 배나 더 뜨거운 수백만 도의 고온을 발산하면서 폭발 1초 후에는 직경이 1,000m에 달하는 거대한 불덩어리(화구)로 확장되어 버섯모양의 원자운이 10,000m 상공까지 높이 솟아오른다.
화구로부터 수백만 도 이상 고온의 열복사선이 방출되며, 이 열복사선은 초당 30만km의 속도로 사방으로 전파됨으로 인해서 사람들은 이 열복사선에 의해 사망하거나 심한 화상을 입게 되고 건물과 산림에는 화재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강렬한 섬광이 빛남으로 인해서 사람들은 망막에 화상을 입어 영구적 또는 일시적 실명을 하게 된다.
곧 이어 핵 폭발지점에서 순간적인 화구의 확장으로 음속 이상의 속도로 전파되는 충격파가 사방으로 퍼져나가고 뒤이어 폭풍이 몰아 닥치는데 이 폭풍의 강도는 자연폭풍의 100배나 되는 강렬한 폭풍으로 사람들을 공중으로 날리고 사망에 이르게 함과 동시에 건물과 수목들을 전도(顚倒) 파괴시키고 화재가 난 건물과 산림의 피해는 더욱 증폭된다. 또, 건물과 유리 등의 조각이나 돌과 자갈 등이 폭풍에 의하여 비산됨으로써 사람들에게 2차적인 피해를 입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핵폭발로 인해 발생한 방사선인 감마선과 중성자가 화구로부터 사방으로 전파되어 건물 내외에 있는 사람들에게 사상(死傷)을 입히게 된다. 이들 현상은 핵탄이 폭발한지 불과 1분 또는 수분 내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핵 폭발지점에서 수km 이내(핵무기 위력에 따라 달라진다)는 그야말로 순식간에 아비규환의 처참한 아수라장으로 변하게 된다.
이것은 핵무기가 공중 폭발시에 일어나는 현상이고, 핵무기가 지표면이나 지표면 이하에서 폭발할 때에는 여러 가지 현상이 추가적으로 일어난다. 첫째, 핵폭발시 수백만 도 이상의 화구가 형성되는데 이 화구가 폭발점 주변의 흙들을 모두 녹여 증발시켜 원자운(原子雲)과 함께 공중으로 솟아올라감으로써 폭발지점에는 굉장한 크기의 폭발구가 형성된다. 100kT의 핵무기가 지표면 폭발시 직경 360m, 깊이 180m의 대형 폭발구가 형성된다.
이들 방사능 낙진은 풍향에 따라 날아가면서 무거운 입자들부터 지상으로 떨어지기 시작하여 광범한 지역에 흩어져서 낙하한다. 방사능 미립자가 떨어진 지역에는 방사선을 상당기간 계속 방출하게 되므로 이 지역에 있는 사람들은 방사선에 노출되어 각종의 원자병을 앓게 되고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방사능으로 오염된 지역을 잔류방사선 오염지역이라 한다.
이처럼 핵폭발 초기의 열복사선, 폭풍, 방사선에 의한 피해에 추가하여 잔류방사선으로 인하여 상당기간 광범한 지역에 피해를 입히는 것이 바로 핵폭발시의 현상이다. 물론 핵폭발 시 이와 같은 피해범위의 크기는 핵무기의 위력에 따라 달라진다.
핵무기의 위력은 TNT(일반포탄이나 폭탄에 사용하는 고폭장약)의 1,000톤을 폭발시켰을 때 위력과 동일한 핵무기의 위력을 1kT(kilo ton)라 하고, 백만톤 위력과 같은 핵무기를 1MT(Megaton)이라 한다.
20kT는 TNТ 2만톤(5톤 트럭 4,000대 분량)의 폭약을 동시에 폭발시킨 위력과 같다. 1945년 8윌6일, 8월8일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끼’에 투하된 핵무기의 위력은 약 20kT의 핵무기였다.
- 좌측의 그림에서 흑점은 재래식무기의 파편에 해당한다. 인마가 이들 파편에 맞으면 살상된다. 만약 흑점을 피하여 백색부분에 인마가 있다면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고 전쟁영웅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측의 흑색판은 인마가 살아 남을 수 있는 백색부분이 전혀 없다. 결국은 방사능 때문인데 인마는 100% 확실히 살상된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 161 : 신라의 역사 60 (제40대 애장왕) (0) | 2011.02.19 |
---|---|
한국의 역사 159 : 신라의 역사 58 (제38대 원성왕) (0) | 2011.02.17 |
한국의 역사 158 : 신라의 역사 57 (제37대 선덕왕) (0) | 2011.02.16 |
한국의 역사 157 : 신라의 역사 56 (제36대 혜공왕) (0) | 2011.02.15 |
한국의 역사 156 : 신라의 역사 55 (제35대 경덕왕) (0) | 201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