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29 : 고구려 역사 12 (제9대 고국천왕 )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29 : 고구려 역사 12 (제9대 고국천왕 )

두바퀴인생 2010. 10. 2. 03:44

 

 

 

한국의 역사 29 : 고구려 역사 12 (제9대 고국천왕 )

 

 

제9대 고국천왕 

  

 

 

       

 

 

  

고국천왕(故國川王, ?~197년, 재위 179년~197년)은 고구려의 제9대 군주이다. 신대왕의 둘째아들로 는 남무(南武)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다른 이름으로 이이모(伊夷模)가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지(三國志)》를 비롯한 중국의 기록에 따르면 이이모는 산상왕(山上王)의 이름이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
History of Korea-476.PNG
476년 고구려 전성기 때의 지도
공용어 고대 한국어
수도 졸본 (기원전 37년 ~ 3년)
국내성 (3년 ~ 427년)
평양성 (427년 ~ 668년)
정치체제 군주제
인구 최대치
668년
69만호 (약 3,500,000명)
성립 기원전 37년
멸망 668년
초대 군주 동명성왕
기원전 37년 ~ 기원전 18년
최후 군주 보장왕
642년 ~ 668년
성립 이전 부여
해체 이후 발해, 신라

생애

17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179년에 즉위하였다. 신대왕(新大王)의 맏아들 발기(拔奇)가 불초하였기 때문에 둘째 아들인 남무가 대신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고 한다. 고국천왕은 키가 9척(尺)이고 겉모습이 크고 위엄있었다고 한다. 180년에 제나부(堤那部) 우소(于素)의 딸 우씨(于氏)를 왕후로 삼았다.

 

184년후한(後漢)의 요동(遼東) 태수가 쳐들어와 동생 계수(罽須)를 보내 막았으나 패배하였다. 이에 왕이 직접 출병하여 좌원(坐原)에서 한군을 격퇴하였다. 190년 가을, 왕후의 친척인 중외대부(中畏大夫) 패자 (沛者) 어비류(於卑留)와 평자(評者) 좌가려(左可慮)가 권력을 등에 업고 전횡을 일삼자 왕이 이를 벌하려 하였다. 이에 좌가려 등이 사연나(四椽那)와 함께 반란을 일으켜 191년 4월에 수도를 공격하였으나 패배하여 진압되었다.

 

반란을 진정시킨 뒤 그해에 왕은 평민 출신의 을파소(乙巴素)를 등용하고 국상(國相)에 임명하였다. 구신(舊臣)들이 신진 세력인 을파소를 참소하자 왕은 “국상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는 멸족할 것이다.”라고 포고하였다. 이에 을파소는 왕의 정성에 감동하여 정치에 힘써 나라가 융성하였다. 194년에는 진대법(賑貸法)을 제정하여 백성들을 구휼하였다.

 

197년에 사망하였으며 고국천원(故國川原)에 장사지냈다.

 

한편, 《삼국지》의 기록에는 고국천왕의 기록이 없고, 신대왕(新大王)의 뒤를 이어 산상왕 이이모가 즉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국천왕 자체의 실존 여부에 의문을 표하는 주장도 있으나 중국 측 기록이 잘못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삼국사기》의 고국천왕 원년에 등장하는 발기(拔奇)의 모반 기록 역시 산상왕 시기의 발기(發岐) 모반 기록과 같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의하면 발기(拔奇)와 발기(發岐)는 동일인물로서 산상왕 시기에 모반을 일으킨 발기(發岐)의 기록이 고국천왕 원년에 모사된 것이 된다.

 

 

 

국상 을파소 

 

을파소(乙巴素, ?~203년)는 고구려의 재상으로 고국천왕, 산상왕을 섬겼다. 유리왕 때 신하인 을소의 4세손이며, 입관 전에는 서압록곡(西鴨淥谷) 좌물촌(左勿村)의 가난한 농부였다. 삼국사기에 열전이 남아 있다.

 

고국천왕 13년인 191년, 외척인 어비류(於畀留)와 좌가려(左可慮)가 반란을 일으켰다. 이를 진압한 이후 이후 고국천왕이 4부에 영을 내려 인재를 천거하게 하였다. 그러자 4부에서는 동부의 안류를 천거하였고, 안류가 다시 유리왕 때 재상이었던 을소의 후손인 을파소를 천거하였다. 이에 왕은 그를 중외대부(中畏大夫)와 우태(于台)로 임명하였다.

 

을파소는 이 관직이 자신이 뜻하는 바를 하기에 충분치 못하고 여겨 “저로써는 감히 왕명을 감당할 수 없으니, 대왕께서는 현명하고 어진 이를 가려내 높은 관직을 주어 대업을 이루소서”라 하니, 왕이 그 뜻을 알고 국상(國相, 재상)으로 임명했다. 기존 대신들과 외척들이 을파소를 경계하자 왕은 국상에게 복종치 않는 자는 일족을 멸하겠다는 엄명을 냈다.

 

이후 을파소가 지극정성으로 국사에 임하니, 백성들이 편안하고 내정이 안정되었다. 같은 해 10월, 고국천왕은 안류를 불러 을파소를 천거한 공을 치하하며 대사자(大使者)에 임명하였다.

 

3년 뒤인 194년, 7월에 서리가 내려 백성들이 굶주렸다. 이에 왕은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하는 한편, 관리들을 시켜 봄~가을의 기간동안 곡식을 빌려 주었다가 10월에 갚게 하는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였다. 삼국사기에는 을파소와 진대법의 관계가 분명히 나오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을파소가 진대법 실시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 있다.

 

고국천왕이 죽은 이후 산상왕 대에도 을파소는 국상의 자리를 유지하였다. 산상왕 7년인 203년, 왕이 아들을 얻지 못해 근심하자 을파소는 "하늘의 명은 헤아릴 수 없으니, 기다리십시요"라고 진언하였다. 그 해 8월 을파소가 죽자 많은 이가 슬퍼하였다. 국상직은 고우루(高優婁)가 계승하였다.

 

 

진대법

 

진대법(賑貸法)은 흉년이나 춘궁기에 농민에 대하여 양곡(糧穀)을 대여하는 고구려사회 보장 제도이다.

 

진(賑)은 흉년에 기아민(飢餓民)에게 곡식을 주는 것을 말하고, 대(貸)는 봄에 미곡을 대여하고 가을 추수 후에 회수하는 것을 뜻한다. 이와 같은 제도는 기록상으로는 고구려 고국천왕 16년(194년)에 3월부터 7월까지 관곡을 풀어서 진대하였다가 10월에 환납하도록 한 것이 최초의 것이다.

 

이 제도는 사회 보장 제도로는 세계 최초이다.

 

 

 

발기의 난

 

발기의 난(發岐-亂)은 197년 고국천왕이 죽자 동생인 발기가 일으킨 왕위 쟁탈전이다.

 

고구려 제8대 신대왕의 아들이며 고국천왕의 동생인 발기는 고국천왕이 죽은 후에 동생 연우(延優:산상왕이 됨)와 왕위쟁탈(王位爭奪)의 분전(粉戰)을 일으켰으니 이를 발기의 난이라고 한다.

 

 발기는 그 후 이 난에 실패하자 처자를 데리고 요동의 공손탁(公孫度)에게 가서 군사를 얻어 본국을 치다가 패하여 자살했다.

 

동시대 백제, 신라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BC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8~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해우).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8~53)             (53~146)        (146~165)         (165 ~ 179)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l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0~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1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련)(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3)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8~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

                                                                                                                │                                    │                       (부마도위)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 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 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제9대 고국천왕 실록(?~197, 재위 서기 179년 12월-197년 5월, 17년 5개월)

 

고국천왕의 개혁과 외척의 반발

고국천왕의 즉위는 고구려 조정에 개혁 바람을 불러일으킨다. 그가 즉위시 조정은 연나부와 환나부 출신의 외척들이 조정을 장악하고 있었는데, 고국천왕은 외척들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기 위해 개혁을 단행한다. 하지만 외척들이 반발하여 '좌가려의 난','발기의 난'이 발발하여 위기를 맞기도 하지만 이를 극복하고 을파소와 같은 뛰어난 인물을 등용해 사회변혁을 시도한다.

 

고국천왕은 신대왕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남무, 별호는 이이모였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으며 모후도 밝혀지지 않았다. 서기 176년 신대왕 12년 3월에 형인 발기를 제치고 태자에 책봉되었다가 3년 뒤인 서기 179년 12월에 신대왕이 사망함에 따라 고구려 제9대 왕에 올랐다.

 

<삼국사기>에는 그에 대해 "키기 9척이고, 풍채가 웅장하며 힘이 셌다. 사무처리에 있어 관용과 예리함을 겸비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가 말해주듯 그는 문무를 겸비하였고, 과단성과 부드러움을 고루 갖춘 개혁적인 인물이었다.

 

고국천왕은 즉위하자 곧 능력 중심으로 조정을 개편할 뜻을 품는다. 그러나 외척들의 힘은 왕권을 능가할 정도로 탄탄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일단은 외척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연나부 출신 아내 우씨를 왕후로 책봉하고 친밀관계를 유지한다.

 

그런 가운데 서기 184년 요동 태수가 고구려를 침공한다. 당시 동한은 서기 107년 이후 100여 차례나 계속되던 농민봉기가 마침내 폭발하여 그해 2월에 황건군의 대봉기로 이어져 동한의 영재 유굉은 관군을 동원하여 봉기군을 진압토록 하였으나 봉기군은 8개월이나 버티며 전국을 혼란으로 몰아넣었다. 그해 10월, 마침내 황보숭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봉기군은 진압되었다. 당시 고구려는 동한의 혼란한 틈을 타서 현도와 요동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을 것이고, 이를 염려한 동한 조정은 요동태수를 시켜 침공토록 했다. 요동 태수의 고구려 침공은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전술로 먼저 공격하였는데, 시기는 봉기군 진압 그 전후가 될 듯하다.

 

                                         

                                                                                  개마무사

 

동한군이 고구려 영내 요서 지역 깊숙히 들어오자 고구려군은 고국천왕의 막내 동생 계수가 대적하였는데, 첯번째 싸움에서 동한군이 승리한다.  이에 동한군은 기세가 등등하여 요동으로 밀려왔다. 이에 고국천왕은 직접 군사를 이끌고 나가 좌원에서 동한군에 대응하였다. 좌원에서 벌어진 이 두 번째 싸움에서 동한군은 대패하고 말았다. 당시를 <삼국사기>는 싸움의 결과를 "적의 머리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고 함으로써 동한군의 패배가 심대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싸움 이후 동한군은 더 이상 고구려 땅을 넘보지 못하였으며 고국천왕은 독자적인 힘을 형성한다. 왕권이 강화되자 고국천왕은 오랫동안 벼르고 있던 일을 시작하는데, 그것은 횡포와 전횡을 일삼고 있던 외척세력을 제거하는 일이었다.

 

당시 외척세력 중에서 우두머리는 좌가려와 어비류였다. 고국천왕이 외척세력을 제거하려는 것을 눈치챈 이들은 연나부에 속한 네 명의 관료들과 힘을 합쳐 그해 9월에 반란을 일으켜 점차 세력을 확대하여 다음해 4월에는 도성을 공격하였다. 이에 고국천왕은 직접 병력을 수습하여 반란군을 진압하고, 마침내 왕권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왕권 회복 후 고국천왕은 대대적인 정계개편을 시도한다. 그는 각 나부의 귀족들을 영입하던 종래의 관례를 버리고 능력 중심으로 인재를 뽑고자 하였다. 나부체제 대신 방향부 체제를 확립하여 동부.서부.남부.북부로 나누고, 4부에 명령하여 국상을 추천토록 하였다. 대신들은 동부의 안류를 추천하였으나 안부는 자신은 국상의 자격이 없다며 서압록곡의 좌물촌에 살고 있는 을파소를 천거하였다.

 

안류의 천거에 따라 고국천왕은 을파소를 불러 우태의 작위를 주고 중외대부에 임명하려 하였으나 을파소는 중외대부라는 직책으로는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며 사양하자 그 마음을 헤아린 고국천왕은 그를 국상에 임명한다.

 

을파소를 국상에 임명하자 조정 대신들과 외척들은 불만을 드러낸다. 그러나 고국천왕은 '국상에게 복종하지 않는 자는 친족까지 징벌하겠다'는 엄명을 내려 더 이상 불만을 토로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 후 을파소는 뛰어난 정치력을 발휘하여 백성과 조신들의 신망을 동시에 얻으며 과감한 개혁을 실행한다. 능력에 따라 인재를 고루 등용하고, 국사처리에 있어서 상벌 규정을 명확히 히고, 환곡제도를 마련하여 백성들의 경제적 안정을 꾀하였다.

 

을파소의 뛰어난 정치력으로 고구려 사회가 정치.경제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있을 때, 동한의 중원에서는 엄청난 회오리가 몰아치고 있었다.

 

184년 황건적의 난 이후 하북의 농민들은 동한 왕조에 반대하여 끓임없이 봉기를 일으켰는데, 그들 중 장연이 이끄는 흑산군은 흑산을 근거지로 한 농민군 연합체로 무려 1백 만에 달하는 무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 위력이 대단하였다. 그 외에 익주의 오두미도, 청주.서주 등지의 황건적 잔당세력이 동한 왕조를 위협하고 있었다.

 

어려운 형국이 계속되는 가운데 189년 동한 영제 유굉이 죽고 외척 하진이 정권을 장악하여 나이 어린 유변(소제)을 왕으로 세워 정권을 농단하려 하자 환관세력들이 만만치 않아 하진은 원소와 결탁하여 환관들을 대거 참살하려는 모의를 꾸미는데, 이 계획이 발각되는 바람에 하진이 환관들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원소는 군대를 이끌고 궁성에 난입하여 환관 2천 명을 참살하고 환관정치를 종식시킨다. 그러나 이 같은 유혈사태는 양주의 군벌 동탁의 세력을 키우기에 이른다.

 

 


                                                   

                                                                          중국의 삼국시대                



          

 

 

동탁은 궁성을 장악하고 있던 원소를 몰아내고 유변을 폐위시키고 당시 9살이던 영제의 아들 유현(헌제)을 왕으로 옹립하였다. 이후 동한은 동탁의 손아귀에 들어갔지만, 동탁도 오래가지 못하였다.

 

서기 192년 동탁의 수하 왕윤과 여포가 동탁을 살해하고, 파벌싸움으로 각처의 군벌들이 대두하여 동한은 몰락하고 군벌들의 세력타툼 시기인 삼국시대를 맞는다.

 

이 무렵, 고구려의 접경 지역인 한나라 요동에는 공손탁, 유주에는 공손찬이 세력을 형성하여 고구려와 대치하고 있었다. 당시 공손탁은 하북성과 요서 지역 일부를 점유하여 고구려 변방을 압박하고 있었는데, 고국천왕의 형인 발기가 공손탁에 의지하여 왕위 찬탈 계획을 꾸민다.

 

발기는 고구려 조정에서 소외받던 소나부(연노부)와 결탁하여 소나부 산하 백성 3만여 호를 이끌고 공손탁의 아들 공손강을 �아가 항복한다. 그리고 비류수 근처에 진을 치고 있다가 공손강으로부터 군사를 지원받아 고구려 도성을 친다. 하지만 공손강의 군사는 고구려군에게 패퇴하였고, 발기는 가까스로 목숨을 건져 공손강의 영토로 도망쳤다.

 

이듬해 197년에는 동한의 만은 한족들이 내란을 피해 피난길에 올라 고구려 변방으로 몰려들자 이들을 받아들여 4부에 분산 배치하고, 변방 지역의 군사를 증강하여 엄히 지켰다.

 

이렇게 백성들의 안위와 국방에 전력을 쏟던 고국천왕은 서기 197년 5월에 생을 마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