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24 : 고구려 역사 7 (제4대 민중왕)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24 : 고구려 역사 7 (제4대 민중왕)

두바퀴인생 2010. 9. 26. 01:31

 

 

한국의 역사 24 : 고구려 역사 7 (제4대 민중왕)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
History of Korea-476.PNG
476년 고구려 전성기 때의 지도
공용어 고대 한국어
수도 졸본 (기원전 37년 ~ 3년)
국내성 (3년 ~ 427년)
평양성 (427년 ~ 668년)
정치체제 군주제
인구 최대치
668년
69만호 (약 3,500,000명)
성립 기원전 37년
멸망 668년
초대 군주 동명성왕
기원전 37년 ~ 기원전 18년
최후 군주 보장왕
642년 ~ 668년
성립 이전 부여
해체 이후 발해, 신라

제4대 민중왕

  

민중왕(閔中王, ?~48년, 재위: 44년 음력 10월~48년)은 고구려의 제4대 군주로, 유리명왕의 아들이다. 이름은 해색주(解色朱 또는 해읍주解邑朱)로 해씨(解氏)일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생애

삼국사기》에 의하면 그는 대무신왕의 아우로 대무신왕이 죽었을 때, 대무신왕의 아들인 태자 해우(解憂)의 나이가 어리므로 대신 즉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민중왕은 대무신왕의 아들이고 모본왕의 동생이라고 되어 있다.

 

왕위에 오른 44년 음력 11월에 대사면령을 내렸으며, 45년 음력 3월에는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었다. 음력 5월에는 나라 동쪽에서 홍수가 나서 백성들이 굶주리자 창고를 열어 진휼했다.

 

 47년에 사냥을 나간 민중왕은 민중원(閔中原)에 이르러 석굴을 발견하고 그곳에 자신을 장사지낼 것을 명하였다. 음력 10월에는 잠지락부(蠶支落部)의 대가(大家)인 대승(戴升) 등 1만여 가(家)가 (漢)의 낙랑으로 투항하였다.

 

48년에 왕이 죽자 유언에 따라 석굴에 장사지내고 지명을 따서 왕명을 민중왕(閔中王)이라 하였다.

 

민중왕의 가족에 대한 기록은 없다.

 

 

동시대 백제,신라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BC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8~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해우).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8~53)             (53~146)        (146~165)         (165 ~ 179)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l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0~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1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련)(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3)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8~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

                                                                                                                │                                    │                       (부마도위)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 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 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제4대 민중왕 실록

   (?~ 48년, 재위 서기 44년 10월- 서기 48년 모월, 약 4년)

 

  

       

 

민중왕은 유리명왕의 다섯째 아들이자 유리명왕의 제2왕후 송씨 소생이며, 이름은 해색주이다.

 

삼국사기는 그의 즉위에 대해 "대무신왕의 아우이며, 대무신왕이 죽었을 때 태자가 아직 어린 나이로 정사를 담당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백성들이 해색주를 왕으로 세웠다." 고 쓰고 있다.

 

그의 신상에 대한 기록은 이것이 전부이다. 하지만 대신들이 그를 왕으로 추대한 것을 보면 그가 대무신왕의 동복 아우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역시 대무신왕과 마찬가지로 유리명왕의 제2왕후 송씨 소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민중왕이 왕위에 오른 것은 대무신왕이 생을 마감한 서기 44년 10월이었다. 왕위에 오른 그는 그해 11월 많은 죄수들을 사면하고, 이듬해 3월에는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어 새로운 왕의 즉위를 알렸다.

 

민중왕은 재위기간 중 천재지변에 시달리다가 백성들이 굶어 죽고 가믐으로 농작물이 황폐화되는 등 고통을 받게되는 데 이러한 국가의 위기가 계속되다가 재위 4년만에 병이 악화되어 죽음을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