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오늘이 생존의 고비라는데...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오늘이 생존의 고비라는데...

두바퀴인생 2010. 3. 29. 15:31

 

오늘이 생존의 고비라는데...

 

군의 위상이 절벽 아래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실종자들에 대한 구조의 희망도 점점 사라지고 있는 듯하여 안타까운 마음이다.

 

해군 특수부대도 서해안 수중에서는 맥도 못추는 상황이다. 그런 수중 상황은 이미 해군은 잘 알고 있을 것이며 빠른 유속과 시계가 차장된 곳에서 탐색과 구조능력을 평소에 준비하지 못한 것이나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제대로 찿지 못하는 무능력은 세계 어느 해군에서도 찿아 볼 수 없는 상황일 것이다. 수중 탐사 장비도 민간 어선만도 못한 해군의 열악한 현실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그것은 군지휘부의 비리와 무능력, 전투함 건조에만 집중하여 온 전력증강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해군의 조치능력이나 장비.기술수준이 석기시대 군대를 방불하게 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군의 사기도 군기도 땅에 떨어질대로 떨어진 군의 현실이며 우리 해군의 자화상이다.

 

야당과 재야 반정부 지식인과 언론은 청와대를 연일 비판하고 있다. 청와대가 위기감을 증폭시키고 있다느니, 지방선거에 이용하려한다는 성급한 판단으로 몰고가고 있으나 그것은 갈등을 부추기는 이적행위다. 확인도 되지 않은 북한 공격설이나 한미연합훈련, 최근 여당의 정치적 이슈에 대한 블랙홀 이용 수단으로 평가하는 등 비난의 독설과 음모론을 들먹이는 일부 좌익.반정부 지식인들의 선동언론에 국민들과 유가족들에게 유언비어를 날조하고 고통과 상처를 주는 것은 내부교란을 주도하려는 움직임으로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이번 천안호 사건은 외부폭발이던 내부폭발이던 현 정부나  군에 치명적이며 회복이 불가능할 지도 모른다.

 

 

석기시대 해군, 무능한 MB 정부




국제적으로 창피한 일이다. 일촉즉발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은 서해 NLL 지역에서 작전 중이던 1천 톤 급 함정이 의문의 폭발로 가라앉은 뒤 29일 나흘째를 맞았다. 수색 구조 작업은 제 자리 걸음이고 모든 것이 안개 속이다. 청와대, 군에서 사고의 구체적인 원인은 전혀 제시되지 않은 채 무책임한 설들이 쏟아지면서 국민을 불안케 하고 있다. 

사고 발생 직후 공중파 TV 등에서 북한 책임론을 대대적으로 언급한 뒤 뭇매를 맞았다. 하지만 사고에 관한 정리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흘러나오면서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식의 해설이 줄을 잇는다. 유언비어가 난무하는 최적의 상황이 방치되고 있다.

청와대의 애매한 태도는 북측의 공격설에 여전히 기름을 붓고 있다. 내부 폭발 가능성을 부인하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전문가들이 그 가능성을 부인하는 기뢰, 어뢰 폭발설이 다시 힘을 얻고 있다. 청와대가 계속 야릇한 태도를 취할 경우 사건을 안보불안으로 몰고 가 정치적으로 악용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군은 사고의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선체 인양이 필수적이라는 식으로 몰고 가고 있다. 1천 t이 넘는 선박의 인양에는 두 달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오는 6월 초 지방선거 이후에야 침몰 선박이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 셈이다. 사고 원인 규명 가능성을 선박 인양에만 국한 시키는 것은 이번 사고가 지방선거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사고 원인이 불명인 채 대북 안보불안을 부채질하는 것은 4대 강, 세종시 문제 등으로 수세에 몰린 수구세력에게 호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손바닥으로 해를 가릴 수는 없다.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직시해야 한다. 정직이 최선의 정책이다.

그런데 보라, 사고 발생 후 사흘 째 되는 28일 군은 함정이 두 쪽으로 갈라져 물밑으로 사라졌는데 행방이 묘연하다는 놀라운 사실을 털어놓았다. 그것도 피해자 가족들이 사고 해역에서 배를 타고 무심한 바다를 원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군의 고백이었다. 그 전날까지 군은 수색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큰 소리로 공개했었다. 군은 국민을 속이고 있었다는 것을 뒤늦게 드러냈다.

첨단 장비로 무장했다는 군의 어처구니없는 모습이다. 침몰 함정에 위치표식 부착과 같은 기초적인 조치조차 하지 않은 것이다. 석기시대의 군과 같은 무지하고 무책임한 모습이다. 청와대에서는 대통령 주재의 비상 대책 회의가 계속 열리고 있지만 군의 부적절한 대처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없다. 오히려 군을 두둔하는 소리만이 나올 뿐이다.

이 대통령은 사고 발생 사흘 째 되는 날 ‘해군이 초동 대응을 잘했다’고 말했다. 실종인원이 그 정도로 그친 것이 다행이라는 의미다. 그러나 사고 발생 후 최소 70분, 최장 3시간 동안 무슨 일이 어떻게 벌어졌는지 아직도 안개속인 상황이다. 사고원인이 아직 규명 되지 않았다 해도 사고 후 조치 상황에 대해서는 군답게 이뤄졌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일체 발표가 없다. 이런 상황이니 청와대가 선무당 같은 소리를 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청와대의 언행은 국민의 불안감, 궁금증을 해소하는 것과는 정 반대다. 사고 원인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느니, 예단은 금물이라는 말을 되풀이 한다. 군의 보도통제는 청와대의 이런 태도로 더욱 완강해지고 있다. 청와대는 북한의 개입 가능성을 부정하면서도 완전 부인하지 않는 애매한 태도를 취하면서 공무원 비상 동원조치를 취하고 있다.

국민의 관심은 온통 사고 원인과 실종 군인의 안위에 쏠려 있다. 최소한도의 구난 원칙조차 외면하는 것 같은 해군에 대해 피해자 가족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와 군은 매우 부적절한 처신을 하고 있다.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사고 원인 등에 대한 최소한도의 정보조차 정부가 제공치 않는 것은 신중함으로 비춰지지 않는다. 그것은 지독한 무능이다.

피해자 가족들이 오죽 답답했으면 총리의 면담을 거부하고 민간인 잠수부를 직접 구해서 수색 작업을 벌이겠다고 했겠는가? 정부는 뒤늦게 미국 선박의 현장 출동과 민간 해난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촌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뒤늦게 허둥대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무능의 극치다. 수색 작전에 나선 군은 침몰한 함정을 찾느라 부산을 떨다가 29일 겨우 그 위치를 확인했으니 피해가족들의 속은 숯덩이가 된지 오래다.

군은 사고 해역의 조건이 불량하다면서 사고 발생 후 40여 시간 동안 군 잠수부가 수색작업을 거의 하지 못했다고 거듭 발표했다. 28일만 해도 기상청은 사고 해역의 날씨가 양호해서 수색에 적합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러나 군은 해난구조대 투입 3분 만에 '거센 조류'를 이유로 수색을 중단 했다. 현지 해류의 유속이 빠르다는 것은 수십 년 된 기초적인 현장 정보다. 그런데 그에 대한 대비가 전무한 상태에서 구조대를 바다에 내보낸 뒤 수분 만에 수색을 중단시킨 것 또한 정상적인 대처는 아니다.

28일 TV에서 비친 군의 현장 수색 모습은 여러 척의 고무보트에 탄 군인들의 모습뿐이었다. 잠수부를 보호하거나 수중 카메라 등의 장비를 갖춘 구조 전문 선박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수중 카메라 이야기는 힘겹게 발견한 침몰 함선의 선수, 선미 부분을 발견한 뒤인 29일부터 나오고 있다. 이런 모습을 국내외 해난 전문인들은 어떻게 볼 것인가를 생각하면 등에 식은땀이 흐를 지경이다.

고승우 konews8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