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중국의 역사 1 (신화시대) 본문
중국의 역사 1 (신화시대)
중국의 고대사에서 현대사까지 대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세하고 자세한 내용은 별도로 살펴보시고 여기서는 주요한 내용만 연대별, 나라별로 살펴 볼 예정이다. 저 자신도 공부하는 자세로 새로운 중국사를 총정리해 본다는 마음으로 정리해 볼 예정이다. 많은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삼황오제(三皇五帝)
중국 역사상 "삼황오제"에 관한 설은 전국시기에 이르러서야 나타나기 시작한다. 먼저 삼황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7종의 설이 있다.
- 천황(天皇), 지황(地皇), 인황(人皇) : ≪사기(史記)≫「보삼황본기(補三皇本紀)」에 인용된 ≪하도(河圖)≫, ≪삼오력(三五曆)≫
- 천황, 지황, 태황(泰皇) : ≪사기≫「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복희(伏羲), 여와(女媧), 신농(神農) : ≪풍속통의(風俗通義)≫「황패편(皇覇篇)」
- 복희, 신농, 공공(共工) : ≪통감외기(通鑒外紀)≫
- 복희, 신농, 축융(祝融) : ≪백호통(白虎通)≫
- 수인(燧人), 복희, 신농 : ≪풍속통의≫「황패편」에 인용된 ≪예위(禮緯)≫「함문가(含文嘉)」
- 복희, 신농, 황제(黃帝) : 《십팔사략》, ≪제왕세기(帝王世紀)≫와 손씨주(孫氏注) ≪세본(世本)≫
십팔사략에 나온 삼황
십팔사략(十八史略)은 원나라의 증선지가 지은 중국 고대사를 담은 역사서이다. 한국의의 만화가 고우영이 이 역사서를 원작으로 만화 십팔사략을 만들었다.
원명은 고금역대 십팔사략(古今歷代十八史略)이다. 사마천이 지은 사기(史記)와 반고가 지은한서(漢書)에서 시작하여 구양수가 지은 신오대사(新五代史)에 이르는 17종의 정사(正史), 송대(宋代)의 속송편년자치통감(續宋編年資治通鑑), 속송중흥편년자치통감(續宋中興編年資治通鑑) 등 사료(史料)를 첨가한 십팔사(十八史)의 사료 중에서, 태고(太古) 때부터 송나라 말까지의 사실(史實)을 발서(拔書)하여 초학자를 위한 초급 역사교과서로 편찬되었다.
원래 만들어진것은 2권이었으나 명나라 초기에 진은(陳殷)이 음과 해석을 달아 7권이 되었고 유염(劉剡)이 보주(補注)를 가하여 간행한 것을 현재 전하고 있다.
아래는 십팔사략에 나온 삼황에 대한 설명이다. 여기에서의 삼황은 태호 복희, 염제 신농, 황제 헌원을 말한다.
삼황은 맨 처음 세 명의 왕도 아니고, 연속적인 세 명의 왕이 아니다. 그들은 각각 인류 문명에 필요한 획기적인 발명을 통해 후세에 큰 모범이 되었기에 '삼황'(三皇)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삼황의 첫 째인 복희는 태호(太昊:큰 하늘)라 불렸으며, 뱀 몸에 사람 머리를 하고 있으며,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사냥법과 불을 활용하는 법을 가르쳤다.
복희의 뒤를 이어 몇 번의 왕들이 자리를 잇다가, 두 번째 삼황인 신농의 시대가 왔다. 염제(炎帝:불꽃 임금)라고도 불린 신농은 사람 몸에 소의 머리를 가졌다. 그는 태양신이자 농업신으로 농경을 처음으로 가르쳤다. 또한, 태양이 높게 떠 있는 시간에는 사람들에게 상업을 가르쳤다고 한다.
염제 신농의 자리를 이은 것이 바로 황제 헌원(軒轅)이다. 헌원은 사람들에게 집짓는 법과 옷 짜는 법을 가르쳤으며, 수레를 발명했다. 글자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해 천문과 역산을 시작하고, 의료술을 시작한 것도 황제였다. 어느 정도 사람들의 삶이 안정되자 황제는 태산(泰山)에 행차하여 천지 사방의 신들을 모두 불러 모았다. 황제는 큰 코끼리가 끄는 보물로 된 수레를 탔으며, 황제의 위세를 본 신들은 그의 위력에 모두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천지 사방의 신들 중, 황제에 따르지 않는 무리들은 치우(蚩尤)를 따라 반란을 꾀했다. 치우는 눈이 넷, 손이 여섯이었으며, 구리로 된 머리와 쇠로 된 이마를 가지고 있었다. 쇠와 돌을 즐겨 먹는 신으로 자신의 72명의 형제와 함께 싸움에 매우 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황제는 치우의 모반을 알자마자 군사를 모아 판천과 탁록에서 치우를 격파하였다. 치우는 부하인 풍백, 우사와 함께 저항했으나 결국 황제에게 항복했다.
치우의 난을 평정한 황제는 이후 별 탈 없이 지내다가 백 살 되던 때, 하늘에서 용이 내려와 황제가 하늘로 돌아가기를 간청했다. 많은 사람들이 황제의 치세가 계속되기를 기원했지만 황제는 중신들과 함께 용을 타고 승천하였고, 이후 황제의 다섯 자손들('오제')이 세상을 다스렸다.
오제(五帝)
오제에 대해서는 일치하는 설이 없으며 주로 다섯가지로 요약된다.
-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黃帝), 당요(唐堯), 우순(虞舜) : ≪황왕대기(皇王大紀)≫
- 황제(黃帝), 전욱(顓頊), 제곡(帝嚳), 당요(唐堯), 우순(虞舜) : ≪세본(世本)≫, ≪대대례(大戴禮)≫, ≪사기≫「오제본기」
- 태고(太皋: 복희), 염제(炎帝), 황제(黃帝), 소고(少皋), 전욱(顓頊) : ≪예기(禮記)≫「월령(月令)」
- 황제(黃帝), 소고(少皋), 제곡(帝嚳), 제지(帝摯), 제요(帝堯) : ≪도장(道藏)≫「동신부(同紳部)·보록류(譜錄類)·곤원성기(混元聖記)」에 인용된 양무제(梁武帝)의 말
- 소호(少昊), 전욱(顓頊), 고신(高辛), 당요(唐堯), 우순(虞舜) : ≪상서서(尙書序)≫, ≪제왕세기≫, 《십팔사략》
중국의 역사
| |||||||
---|---|---|---|---|---|---|---|
신화와 고대 | |||||||
선사 시대 | |||||||
신화·삼황오제 | |||||||
황하・장강 문명 | |||||||
하 기원전 2000?~기원전 1600? | |||||||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 |||||||
주 기원전 1122~기원전 256 | |||||||
서주 | |||||||
동주 | |||||||
춘추 시대 | |||||||
전국 시대 | |||||||
제국의 시대 | |||||||
진 기원전 221~기원전 206 | |||||||
한 기원전 206~서기 220 | |||||||
전한 | |||||||
신 8~23 | |||||||
후한 | |||||||
삼국 시대 220~280 | |||||||
위, 촉, 오 | |||||||
진 265~420 | |||||||
서진 | |||||||
동진 |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 | ||||||
남북조 시대 420~589 | |||||||
수 581~618 | |||||||
당 618~907 무주 690~705 | |||||||
오대십국 시대907~960 | 요 916~1125 | ||||||
송 960~1279 |
|||||||
북송 | 서하 1038~1227 | ||||||
남송 | 금 1115~1234 |
||||||
원 1271~1368 | |||||||
명 1368~1644 | |||||||
청 1644~1912 | |||||||
현대의 중국 | |||||||
중화민국 1911~현재 | |||||||
중화인민공화국 1949~현재 |
중화민국 (타이완) |
십팔사략에 나온 오제
십팔사략에서 오제는 황제의 뒤를 이은 다섯 자손을 뜻하며, 소호 금천, 전욱 고양, 제곡 고신, 제요 도당, 제순 유우의 다섯 명이다. 뒤의 두 명을 따로 떼어 '성군'을 칭송할때 관용적으로 쓰이는 요순임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소호 금천(少昊 金天)은 황제의 아들로 황제가 승천한 후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후 봉황이 날아들어 소호의 정치를 도왔다.
소호의 뒤를 이은 것은 전욱 고양(顓頊高陽)으로, 전욱은 소호의 형의 아들이었다. 아직 반고의 천지 창조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하늘과 땅의 구별이 엄격하지 않았다. 전욱은 엄격한 법을 세워 하늘과 땅의 구별을 확실히 하고, 인간 세상에서도 주종관계, 남녀관계 등을 확실히 세웠다.
전욱의 뒤를 이은 것은 소호의 아들인 제곡 고신(帝嚳 高辛)이었다. 그는 음악의 신으로, 각종 악기와 음악을 만들어 백성들을 즐겁게 하였다.
삼황오제의 동이설
삼황오제는 중국 신화 속의 대표적인 인물들이지만, 이들을 동이(東夷)나 한민족으로 간주하는 주장이 있다. 삼황오제가 동이였다는 중국의 사료들이 일부 존재하며, 동이라는 존재를 모두 한민족으로 보는 역사관이 존재한다. 그러나 진(秦)나라 이전의 동이와 한(漢)나라 이후의 동이는 전혀 다른 존재로서 한민족이 속해 있는 동이는 한나라 이후의 동이이기 때문에 진나라 이전의 개념인 삼황오제의 동이 여부와 한민족은 관련이 없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삼국사기》에는, 신라인과 가야인은 그 조상을 소호 금천씨라고 했고, 고구려인은 그 조상을 제곡 고신씨 또는 전욱 고양씨라고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요순임금(堯舜) : 삼황오제의 마지막 두 임금으로 후대에는 태평성대를 뜻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되기때문에 사람들은 요순임금을 쓴다.
문명의 태동
장강 문명(長江文明)
장강 문명(長江文明)은 중화인민공화국 장강 유역에서 일어난 고대 문명의 총칭이다. 황하 문명과 함께 중국의 대표 문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장강 문명의 시기는 기원 전 14,000년경부터 기원 전 1,000년경으로 추측되며, 이후의 초나라, 오나라, 월나라 등의 국가로 발전해 갔다.
|
20세기 전반에 황하 문명의 양사오 문화가 발견된 이래, 황하 유역에서 많은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문명의 발상은 황하 유역이며, 그후 점차 장강 유역 등의 주변지역으로 확대되었다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1973년, 1978년의 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저장성 위야오 시의 하모도 유적(河姆渡文化)에 의해, 이 설은 뒤집어졌다. 하모도 유적은 기원 전 6000년 ~ 기원 전 5000년경으로 추정되어 대량의 볍씨 등의 벼농사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벼농사를 짓고있었기 때문에 그 주거형식은 고마루식(高床式)이었다.
이와 같이 하모도 유적은 황하 문명과는 뚜렷하게 계통이 다른 것이어, 지금까지의 중국 문명이 황하 문명이라고 하는 공식뿐만 아니라, 고대 문명이 세계4대문명이라고 하는 공식도 타파되어 당시의 정설을 크게 뒤집는 일이 되었다.
더욱 동북지역의 랴오허 주변에서도 문명의 흔적이 발견되어, 현재는 랴오허 주변, 황하 상, 중, 하류 지역, 장강 상, 중, 하류 지역, 각각이 서로 서로 영향을 주었으며 한편으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갔다고 생각되고 있다.
초기 단계에서는 벼농사가 중심이며, 밭농사 중심의 황하 문명과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모두 독자적인 농경을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장강 문명의 발견으로 벼(자포니카 쌀)의 원산이 장강 중류 지역으로 거의 확정되어 벼농사의 발상도 여기라고 볼 수 있다. 중류 지역의 추자링 문화(屈家嶺文化, 기원 전 3000년? ~ 기원 전 2500년?), 하류 지역의 량주 문화(良渚文化, 기원 전 3300년? ~ 기원 전 2200년?)의 시대를 최절정으로 이후에는 쇠퇴하였으며, 중류 지역에서는 황하 유역의 얼리터우 문화가 이식되었다. 황하 유역의 사람들에 의해 정복된 결과라고 추측되며, 황제와 신농이나 치우의 대립 등의 전설은 황하 문명과 장강 문명의 세력 다툼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모도 유적에서는 구슬로 만들어진 옥기나 칠기 등이 발견되고 있어 우청 문화(呉城文化, 기원 전 1400년? ~ 기원 전 1000년?)에서는 자기가 발견되고 있다. 중국 문화의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는 이러한 문물의 원류가 여기에서 나왔다고 하는 설도 있다.
이러한 문화들은 이후 초나라, 오나라, 월나라에 계승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어떠한 흐름으로 연결되는지는 아직도 알 수 없다.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된지 30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고, 발견된 유적의 물적 량에 비해 연구가 뒷받침 해주지 못하고 있다. 쓰촨 분지에서는 오랫동안 문명의 발견이 없었지만, 1986년에 쓰촨성 광한 시의 삼성퇴 유적(三星堆遺跡)에서 대량의 청동기 유물이 발견되어, 단번에 주목을 받았다.
이곳 유적지에서는 특이한 특징을 가진 유물이 많이 발굴되었으며, 청동상의 얼굴에 썼던 황금가면도 발굴되었다. 고대에 존재하였던 촉나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촉나라는 《사기》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고, 아직 중화문명의 시야의 밖의 지역이었다. 오직 기원 전 316년에 진나라의 혜문왕 사마착에 의해서 멸망당했고, 진나라의 세력권에 들어갔던 것만 기록되어있다.
또한 촉 지역의 지역 사서인 《화양국지》에서는 이 고대 촉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있었지만, 황하 문명 중심의 사관에서는 이러한 문헌이 상상의 산물이라고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삼성퇴 유적의 발견으로 현실성을 띤 것으로 증명되었다.
2004년까지도, 장강 문명, 쓰촨 문명에서도 체계화된 문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문자모양의 기호는 발견되었으며, 그 연대는 기원 전 2000년 ~ 기원 전 600년으로 추측하고 있다. 현재 출토하고 있는 최고의 갑골 문자가 기원 전 1,300년 정도(무정기)의 것이므로, 이것이 문자라고 증명되면 갑골 문자에 앞선 문자가 된다.
위찬얀 유적
위찬얀 유적(玉蟾巖遺跡)은 후난성 다오 현에서 발견된 기원전 14,000년? ~ 기원전 12,000년? 의 유적으로 추측되는 유적이다. 볍씨가 발견되고 있지만, 재배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샨런통 루통환 유적
샨런통 루통환 유적(仙人洞・呂桶環遺跡)은 장시성 완녠 현에서 발견된 기원전 12,000년 경의 유적지이다. 재배한 벼가 발견되었고, 중국의 농경이 독자적으로 잔파된 가장 오래된 것 증거로 확인되었다.
펑투오산 문화
펑투오산 문화(彭頭山文化)는 후난성 리 현 (창더 시) 펑투산에서 발견된 대표적인 유적이다. 기원전 7,000년전~5,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산파농법을 하고 있어 중국의 가장 오래된 수도(水稻)로 추측된다.
다시 문화
다시 문화(大溪文化)는 충칭 시 우산 현에서 발견된 대표 유적이다. 기원전 4500년 경에서 기원전 3300년 경의 유적으로 추정되며, 채문홍도가 특징으로 후기에는 흑도, 회도가 등장하였다. 관개 농법이 확립되어 주거지가 물의 보급을 위한 수원지로부터 대규모 농경을 할 수 있는 평야지대로 이동했다.
추자링 문화
추자링 문화(屈家嶺文化)는 후베이성 징산 현 추자링에서 발견된 유적으로 기원전 3000년 경에서 기원전 2500년 경의 유적으로 추정된다. 다시 문화를 계승하고, 녹로를 사용한 흑도가 특징이다. 허난 지방의 황허 문명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추측된다.
스자허 문화
스자허 문화(石家河文化)는 후베이성 톈먼 시 스자허에서 발견된 대규모의 도성을 만든 기원 전 2500년 경의 유적으로 추자링과 구별된다. 도성은 남북으로 1.3km, 동서로 1.1km의 크기로 상류 항하 유역의 부족과 치열한 생존경쟁을 벌인 것으로 추정된다.
하모도 문화
하모도 문화(河姆渡文化)는 저장성 위야오 시에서 발견된 유적으로 기원전 5000년 경에서 기원전 4000년 경의 유적으로 추측된다. 하류 지역에서는 가장 오래된 벼농사나 수렵 그리고 어로도 행해져 돼지를 가축화를 시켰다.
마자방 문화
마자방 문화(馬家浜文化)는 저장성 자싱 시 마자방에서 발견된 유적으로 기원전 5000년 경에서 기원전 3800년의 유적으로 추정된다. 하모도 문화를 계승발전 시켰으며, 관개를 시작하였고, 홍도가 특징이다.
송저 문화
송저 문화(崧澤 文化)는 상하이 시 칭푸 구 송저촌(崧澤村)에서 발견된 유적으로, 기원전 3800년 경에서 기원전 3500년 경의 유적으로 추정된다. 구슬로 만든 팔찌 등의 장식품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량주 문화
량주 문화(良渚文化)는 저장성 위항 구 량저 진에서 에서 발견된 기원전 3500년에서 기원전 2200년 경의 유적으로 마자방 문화, 송저 문화를 계승했다. 다수의 옥기 외에도 비단이 출토되었다. 분업이나 계층화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며, 순장을 시킨 무덤이 발견되었다. 황하 문명의 산둥 룽산 문화와는 서로 관련이 있다고 보여지며, 동시기에 쇠퇴한 것은 어떤 공통적인 원인이 있다고 추측되고 있다.
우청 문화
우청 문화(吳城文化)는 장시성 장수 시 우청진에서 발견된 기원전 14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경의 유적으로 황하문명과는 이질적인 청동기가 출토되었고, 원시적인 자기 등도 출토되었다.
쓰촨 문명
바오둔 문화
바오둔 문화(宝墩文化)는 청두 시 신진 현 바오둔촌에서 발견된 기원전 2500년에서 기원전 1750년 경의 유적지이다. 신석기 시대의 성벽에 둘러쌓인 취락이 청두 평원의 민 강 선상지에 복수 존재했다. 최대의 유적인 보물 유적은 1990년 대에 발견되었고 발굴이 계속되고 있다.
삼성퇴 유적
삼성퇴 유적(三星堆遺跡)은 쓰촨 성 삼성퇴에서 발견된 유적으로 기원전 2600년 경에서 기원전 850년 경의 유적으로 추정된다. 대량의 청동기가 출토되었고, 눈이 올라간 가면과 세로 눈의 가면, 황금 지팡이 등이 나왔으며, 자안패(子安貝)나 상아 등도 출토되어 권력 계측의 존재를 알려주는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청동기에는 원시적인 과정이 없이 고도의 청동기가 제작되었기 때문에 황하 유역에서 기술이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장강 문명과 같이 문자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파촉문자(巴蜀文字)라고 불리는 문자가 있어 인더스 문자와 연결하는 설도 있다.
표
장강문명 연대에는 100년 단위로 오차가 있다. 같은 계통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같은 색으로 나타내었다. 색이 없는 부분은 연관 관계가 아직 불분명한 것이며, 숫자는 모두 기원 전이다. 황하 지역은 참고를 위해 올렸으며, 이 외에도 다수 존재한다.
황하 유역 | 상류 지역 | 중류 지역 | 하류 지역 | |||
기원전 8000년 이전 | 위찬얀 유적 | 샨런통・루통환 유적 | ||||
7000 | 6000 |
펑투오산 문화 | |||||
6000 | 5000 |
탕가강 문화 | 청베이시 문화 | ||||
5000 | 4000 |
양사오 문화 | 마자방 문화 | 하모도 문화 | |||
4000 | 3000 |
다시 문화 | 송저 문화 | ||||
량주 문화 | ||||||
3000 | 2000 |
룽산 문화 | 바오둔 문화 | 취자링 문화 | |||
삼성퇴 유적 | 스자허 문화 | |||||
2000 | 1000 |
얼리터우 문화(하나라?) | 마차오 문화 | ||||
얼리터우 문화 | ||||||
얼리터우 문화(천도전의 은나라) | 얼리강 문화 | |||||
천도후의 은나라 | 은 | 우청 문화 | 후슈 문화 | |||
주나라 | 주나라 | 초나라 | ||||
1000 이후 | 파촉 | |||||
오월 |
황하 문명(黄河文明)
황하 문명(黃河文明)은 중국의 황하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문명의 성립이란 일반적으로 국가·청동기·문자의 성립 등이 요소가 되는데, 이런 의미에서 황하 문명의 성립기(成立期)는, 오리엔트나 인도보다 늦은 BC 2000년경이라 말하고 있다. 예전에는 세계4대 문명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장강 문명, 훙산 문화 등 다양한 문명이 중국 각 지역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4대 문명에 황하 문명만을 채택하지는 않으며, '황하 및 장강 문명'이라 한다.
신석기 시대의 양사오 문화와 룽산 문화를 거쳐, 은나라, 주나라의 청동기 문명으로 발전해 갔다.
|
선사 시대의 중국인의 생활구역은, 황하 유역 지대의 산기슭에 있는 물이 솟아나는 지대에 많으며, 수해를 피하기 위하여 단구(段丘) 위에 거주했다. 나일 강이나 인더스 강 유역에서는, 하천의 정기적인 범람으로 인한 비옥한 흙의 퇴적을 이용한 관개 농업이 성립했으나, 이 점은 중국 농업의 성립 조건과는 다르다. 황토는 잿빛이 나는 황색의 석영(石英)이나 장석(長石) 등의 미립(微粒)의 퇴적으로서, 빗물 속의 석회질을 모아 땅이 비옥하고 부드러워서 농경 생활을 하기에는 아주 적합했다. 이 황토 지대에서 농업 생산력의 발전을 기초로 문명은 성립된 것이다. 장강 유역에 고문명이 성립하지 않은 이유는, 고온다습(高溫多濕)하기 때문에 초목이 무성하여, 철기시대 이전에는 개간이 곤란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최근 장강 중·하 유역의 문화 유적의 발굴 조사가 진척중이어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신석기 시대
페이리강 문화
페이리강 문화(裴李崗文化, 기원 전 7000년? ~ 기원 전 5000년?)의 대표 유적은 허난성 화 현의 페이리강 유역에 있다. 이들은 원형·방형의 움집에 살았으며, 조 등의 밭농사 농업을 하고 있었다. 홍갈색의 도기나 마제석기 등을 특색으로 한다.
라오관타이 문화
라오관타이 문화(老官台文化, 기원 전 6000년?~기원 전 5000년?)의 대표 유적은 샨시성 화 현 (웨이난 시) 의 라오관타이(老官台)이다. 이들은 원형의 움집 주거에 살며, 조 등의 밭농사 농업을 하고 있었다. 암적색의 협사도기를 특징으로 한다.
베이신 문화
베이신 문화(北辛文化, 기원 전 6000년? ~ 기원 전 5000년?)의 대표 유적은 산둥성 텅저우 시의 베이신이다. 황갈색의 도기를 특징으로 한다.
츠산 문화
츠산 문화(磁山文化, 기원 전 6000년? ~ 기원 전 5000년?)의 대표 유적은 허베이성 우안 시의 츠산이다. 이들은 원형, 타원형의 움집 주거에 살며, 조 등의 밭농사 농업을 하고 있었다. 홍갈색의 협사도기를 특징으로 한다.
양사오 문화
양사오 문화(仰韶文化, 기원 전 4800년? ~ 기원 전 2500년?)는 1921년 허난성 몐츠 현 양사오촌에서 발견된 붉은 바탕에 채색 한 토기를 특색으로 하는 문화이다.
전기(기원 전 4800년 무렵)는 홍도가 주류로 대표 유적은 산시 성 (섬서성) 시안 시 반파, 양샤오 반파 유형 문화라고 불린다. 모계 제도로 농촌의 계층화가 보인다. 기원전 4000년경에 녹로의 사용을 볼 수 있는 양사오 묘저구유형 문화가 나타났다.
후기(기원 전 3500년 이후)에는 반파 후기 유형, 시왕촌 유형, 대사공 유형, 진왕색 유형의 4종의 문화로 크게 분류되어 빈부의 차이가 보이는 사회 분업, 계층화가 진행되었다.
허우강 문화
허우강 문화(後岡文化, 기원 전 5000년? ~ 기원 전 4000년?)의 대표 유적은 허난성 안양 시 허우강이다. 베이신 문화를 계승 발전했다.
다원커우 문화
다원커우 문화(大漢口文化, 기원 전 4300년? ~ 기원 전 2400년?)는 1959년 산둥성 닝양 현 보투오 촌에서 유적이 처음 발견되었다. 후에 산둥성 타이안 시 타원커우에서도 유적이 발견되고, 이쪽이 대표 유적이 되었다. 전기는 홍도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후기에는 흑도, 회도가 주류로 나타났다. 후기의 란곡흑도의 고병배 무뉘도기는 정교하고 아름다워 산둥 룽산 문화에 계승된다.
룽산 문화
룽산 문화(龍山文化, 기원 전 2500년? ~ 기원 전 2000년?)는 중국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에 의해서 1930년 산둥성 장추 시 룽산진에서 발견된 흑도(흑색 토기)나 회도를 특색으로 하는 문화이다. 흑도는 얇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흑색의 토기로, 제작에는 소성 온도는 약 1000도 이상되는 녹로가 사용되었다. 후기에는 청동기의 주조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중원 룽산 문화(섬서 룽산 문화, 진난 요서 룽산 문화, 허난 룽산 문화)와 산둥 룽산 문화로 나누어진다. 중원의 룽산 문화는 양사오 후기 문화를 계승해 회도가 주류를 이루며, 뼈가 갈라진 특징을 가진다. 산둥의 룽산 문화를 계승하여 흑도가 주류를 이룬다.
얼리터우 문화
얼리터우 문화(二里頭文化, 기원진 200년? ~ 기원전 1600년?)는 1959년 허난성 옌스 시 얼리터우에서 발견되었다. 유적은 약 2km 사방에서 뻗어있고, 중심부에는 두 개의 궁전 자취가 있다. 이 유적의 사람들은 진난 요서 룽산 문화, 허난 룽산 문화를 계승하였으며, 청동 주조의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선진 시기
선진시기는 진나라 이전의 시기를 가리킨다.
- 하(夏) (기원전 21세기 - 기원전 17세기) : 논란의 여지는 남아 있으나, 존재 자체는 받아들여지고 있다.
- 상(商) (기원전 17세기 - 기원전 11세기 중반) :은허로 수도를 옮긴 이후에 은(殷)이라고도 부르며, 한때 신화로 인정되다가 은허의 유적 발굴 이후 존재가 확실하게 인정되었다.
- 주(周) (기원전 1050년 경 - 기원전 256년) : 본래 상나라의 제후국이었으나, 상나라 말기의 폭압으로 상나라를 무너뜨리고 중국을 통치한 나라이다.
- 춘추 전국 시대(春秋戰國時代) (기원전 770년 - 기원전 221년)
- 춘추 시대 : 여러 주나라의 제후국들이 주왕실을 존중하고 각자의 세력을 다투던 시기. 이 시기 동안 세력이 강한 제후중에 주왕실의 이름으로 천하를 호령한 다섯 개의 제후국을 춘추 오패라고 부른다.
- 전국 시대 : 주왕실에 대한 충성마저 약화되기 시작한 시기로, 진, 한, 제, 위, 조, 연이라는 전국 육강이 차례로 왕을 칭하고 오로지 천하 통일을 위해 질주하였다.(초는 춘추시대 후반기부터 왕호를 칭하였음)
진한 시기
- 진(秦)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7년) :전국시대 의 7웅중 진(秦)나라가 주왕실및 다른 6국을 멸하고 중국을 통일한후 진왕 영정이 진 시황제라 칭함.
- 전한(前漢) (기원전 206년 - 서기 9년) : 진(秦)은 무리한 통치와 폭압으로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서 멸망이되며 뒤이어서 중국을 통일한 왕조는 한나라(전한)이다 한나라는 200년 넘게 유지된 중앙집권적 통일국가이다. 서양 세계의 중국의 이름을 최초로 알린 나라이기도 하였다.
- 신(新) (9년 - 23년) : 전한의 외척 왕망이 전한을 전복시키고 황위를 찬탈하여 세운 나라이나,급격한 개혁이 민중의 호응을 얻지못하여 각지의 반란으로 오래 가지 못하였다.
- 후한(後漢) (25년 - 220년) : 전한의 후예가 계승한 국가로, 통일국가를 다시 유지하였으나,무제이후 황권은 환관들과 외척들로 인하여 크게 약화되었다.
- 삼국 시대(三國時代) (220년 - 280년)
- 위(魏) : 후한의 황제로부터 직접 제위를 물려받은 국가로 중원 지역을 차지하였다.
- 촉(蜀) : 후한 황실의 후예가 계승하였으나, 세력권은 서남 지방에 한정되었다.
- 오(吳) : 독자적인 세력으로 장강 이남을 차지하였다.
위진 남북조 시기
- 서진(西晉) (265년 - 316년) : 후한 황실의 제위를 물려받은 위나라의 제위를 다시 물려받은 국가이다. 초기부터 황실 분란인 팔왕의 난 등으로 혼란스럽다가, 흉노족의 전조에게 멸망당한다.
- 십육국 시대(十六國時代) (316년 - 439년) : 서진의 멸망 이후 서진이 있던 자리에 16개의 국가가 들어서 패권을 겨뤘다. 전조, 후조, 전진 등이 한때 큰 세력권을 과시했으나 결국 북위로 통합된다.
- 비한족 : 전조(前趙)·후조·전연(前燕)·후연· 남연, 관중(關中)에 있던 전진(前秦)·후진·서진 및 하투(河套)의 하(夏), 사천(四川)의 성한(成漢), 하서(河西)의 후량·북량·남량.
- 한족 : 북연, 하서(河西)의 전량(前涼), 서량
- 동진(東晉) : 서진 황실을 계승한 국가로, 세력권은 주로 장강 이남으로 한정되었다. 서진의 영토를 되찾으려 여러 차례 노력했으나 모두 실패한다.
-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39년 - 589년)
- 북조 : 양자강이북지역의 16국시대의 혼란이 북위로 통일되어서 계승되어진 시대임
- 북위(北魏) : 선비족 탁발씨의 국가로, 3대 태무제의 시기에 화북을 통일하였다.
- 북위가 두개의 나라로 분리됨
- 동위(東魏) ⇨ 북제(北齊)
- 서위(西魏) ⇨ 북주(北周)
- 남조 : 양자강 이남지역의 동진을 계승한 국가들이 이어진 시대임
- 송(宋)=유송(劉宋)
- 제(齊)=남제(南齊)
- 양(梁)
- 진(陳)
- 북조 : 양자강이북지역의 16국시대의 혼란이 북위로 통일되어서 계승되어진 시대임
수당 오대 시기
- 수(隋) (581년 - 618년) : 북주의 외척인 양견에 의해 건국된 국가로, 남조의 진을 멸망시키고 통일을 달성하나, 무리한 원정과 세금으로 인해 일찍 멸망하였다.
- 당(唐) (618년 - 907년) :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등장한 통일국가로, 실크로드를 통한 교역을 활성화시켜 국제적인 문화를 이루었다.
- 무주(武周) (690년 - 705년) : 당나라의 황후이던 측천무후가 조정을 장악하고 아들인 당의 황제를 황태자로 격하시키고 세운 국가. 측천무후의 반대파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으로 공포 정치를 펼쳤으나, 인재 중심의 정치 역시 펼쳐서 백성들의 삶이 어느 정도 안정되었다.
- 오대십국 시대 (907년 - 960년) : 화북의 정권을 다투던 5개의 대국과 나머지 10개의 소국이 혼재했던 시기이다.
송원 시기
- 요(遼) (916년 - 1125년) : 내몽골 지역과 만주 지역을 다스렸던 국가로, 거란족이 세운 국가이다.
- 송(宋) (960년 - 1279년)
- 북송(北宋) : 5대 10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등장한 통일 국가이나, 요나라에 의해 베이징 이북의 많은 지역을 빼앗기고, 요나라와 서하에 사실상의 조공을 납부하며 별 위세를 떨치지 못했다. 요나라 뒤에 등장한 금나라에 의해 화북 지방을 빼앗긴다.
- 남송(南宋) : 북송의 황실을 계승한 국가로, 몽골 제국과 함께 금나라를 멸망시키는 데에는 성공하지만, 몽골 제국을 계승한 원나라에게 멸망당한다.
- 금(金) (1115년 - 1234년) : 요나라의 지배하에 있던 여진족이 요나라를 전복하고 세운 국가로, 북송을 멸망시키고 화북 지방을 차지한다. 그러나 몽골 제국에게 시달리다가, 몽골 제국과 남송의 연합군에 멸망당한다.
- 원(元) (1271년 - 1368년) : 만주,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동유럽까지 지배한 몽골 제국의 적장자인 쿠빌라이 칸이 몽골고원, 만주, 화북을 아우르는 지역의 한족식으로 세운 국가로,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의 통일 왕조가 된다.
명청 시기
- 명(明) (1368년 - 1644년) : 원나라를 몽골 고원으로 쫓아내고 건국된 한족의 통일 왕조이다. 초기에는 외국과 교류하며 선진 문물을 과시했으나, 후기로 갈수록 임진왜란 등 외부 원정의 부담과 문화 침체로 쇠퇴하다가 멸망한다.
- 청(淸) (1616년 - 1912년) : 금나라의 후예인 만주족이 명나라를 무너뜨리고 세운 통일 왕조이다. 초기에는 만주족과 한족의 차별 정책을 시행했으나, 전체적인 제도 및 왕조의 분위기는 명나라와 유사하였다. 양무 운동을 통해 근대 국가 진입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서구 열강 세력들의 이권침탈이 심화되면서 청나라는 더욱더 쇠퇴하고, 1911년, 신해 혁명으로 멸망한다.
제정 폐지 이후
청나라를 무너뜨린 중화민국은 공화국을 선포하지만, 위안스카이가 공화국을 폐지하고 제정을 선언하면서 제정을한때 시행되나 위안스카이사후 공화정으로 복귀되나 , 화북의 군벌시대, 남쪽의 중화민국으로 잠시 양분된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천두슈와 마오쩌둥을 주축으로 하는 중국 공산당이 농민들 사이에서 지지를 얻고 있었다. 중화민국은 화북의 군벌들을 제압하는 데 공산당과 협력하는 한편으로, 공산당을 견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활동을 펼쳤다. 공산당 역시 세력확장을 위해 중화민국과 협력하는 한편으로 소련 등과의 접촉을 계속 시도하였다. 1930년대 일본의 중국 침략 때에도 중화민국과 공산당은 협력과 경쟁을 반복했으며, 1949년을 기점으로 지금과 같은 두 개의 국가가 성립되었다.
- 중화민국(中華民國) (1912년 - 현재)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1949년 - 현재)
*참고 : 인구의 변천
아래의 데이터는 양학통의 《計劃生育是我国人口史発展的必然》(1980년)에 의한다.
시대 | 년대 | 호수 | 인구 | 자료출처 |
---|---|---|---|---|
하나라(夏) | 우 임금(기원전2205년 추정) | 13,553,923 | 《帝王世紀》 | |
진나라(秦) | 20,000,000? | |||
서한 | 平帝元始2년(2년) | 12,233,062 | 59,594,978 | 한서 지리지 |
신나라(新) | 20,000,000? | |||
동한 | 順帝建康원년(144년) | 9,946,919 | 49,730,550 | 《冊府元亀》 |
진나라(晋) | 武帝泰康원년(280년) | 2,459,804 | 16,163,863 | 《晋書》食貨志 |
수나라 | 煬帝大業2년(606년) | 8,907,536 | 46,019,056 | 《隋書》地理志・食貨志 |
당나라 | 玄宗天宝14년(755년) | 8,914,709 | 52,919,309 | 《通志》 |
송나라 | 神宗元豊3년(1080년) | 14,852,684 | 33,303,889 | 《宋史》地理志 |
금나라 | 章宗明昌6년(1195년) | 7,223,400 | 48,490,400 | 《金史》食貨志 |
원나라 | 世祖至元27년(1290년) | 13,196,206 | 58,834,711 | 《元史》地理志 |
명나라 | 神宗萬暦6년(1570년) | 10,621,436 | 60,692,850 | 《続文献通考》 |
청나라 | 淸初(1644년) | 45,000,000 | ||
聖祖康熙50년(1711년) | 100,000,000이상 | |||
高宗乾隆27년(1762년) | 200,000,000이상 | |||
高宗乾隆55년(1790년) | 300,000,000이상 | |||
仁宗嘉慶17년(1812년) | 333,700,560이상 | 《東華録》 | ||
宣宗道光14년(1834년) | 400,000,000이상 | |||
중화민국 | 民国36년(1911 - 1949년) | 455,590,000이상 | 《統計提要》 | |
중화인민공화국 | 1949년 - | 1,211,210,000이상 | 《中国統計年鑑》 |
주석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중공)는, 국공내전에서 중국인민해방군 (중공군)이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을 점령한 1949년 4월 23에,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멸망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그 이후에 존재하는 중화민국 정부를 미승인 국가로 보고 있다. 덧붙여, 1949년 12월 7일의 타이완 섬 이주 후의 중화민국 정부는, “타이완”이라는 별칭이 세계적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다.
- 중화민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이란 우리들에게 무엇인가? (0) | 2010.02.11 |
---|---|
중국의 역사 2 (선진시대: 하나라) (0) | 2010.02.11 |
우면산의 2월(오늘이 입춘인데...) (0) | 2010.02.04 |
고교교육과 대학입시제도의 허실 3 (대학입시제도) (0) | 2010.02.03 |
고교교육과 대학입시제도의 허실 2 (고교교육의 현실태 및 선진화 정책) (0) | 201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