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우면산의 겨울 42 (삼성 성장 과정 5)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우면산의 겨울 42 (삼성 성장 과정 5)

두바퀴인생 2010. 1. 20. 09:09

 

 

우면산의 겨울 42 (삼성 성장 과정 5)

 

 

우면산 눈  

 

도쿄 지검

연초 일본 열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간사장의 불법 정치자금 수사에도 무수한 '설'들이 난무하고 있다. 도쿄 검찰(도쿄지검 특수부)의 '선제 공격설'이다.

 

 도쿄 지검

 

오자와 간사장이 정권교체에 성공한 후 '검찰 손보기'를 준비해 왔고 이를 사전에 감지한 검찰 측이 오자와 간사장의 낙마를 전제로 치밀하게 포위망을 좁혀가고 있다는 '선제 공격설'이다. 오자와 간사장은 총리, 부총재 등에 대한 검찰 수사와 이로 인한 정계은퇴 과정을 바로 곁에서 지켜보면서 언젠가는 검찰을 개혁하겠다고 단단히 별러 왔다고 한다.

 

일본 검찰의 끈질긴 수사는 표면적으로 "정치 실세라도 잘못을 저질렀으면 뿌리를 뽑겠다"는 의지가 반영돼 있으면서도 그 이면에는 "기득권을 포기할 수 없다"거나 "조직에 대한 도전은 용서하지 못한다"는 집단 이기주의가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치인과 돈을 둘러싼 많은 검찰조사들이 진행돼 왔다. 대선 승리로 '면죄부' 평가가 나왔던 BBK수사가 있었는가 하면 전직 대통령을 자살로 몰아간 정치자금 수사도 있었다. 그리고 재벌에 대한 특혜 재판 시비가 난무하는 권력의 시녀가 된 한국 검찰과 정치 실세라도 비리에 연루된 한 엄단하려는 일본 검찰과의 비교는 나라의 수준과 미래를 내다보는 척도가 될 것이다.

 

JAL 몰락

일본은 물론 아시아를 대표하는 항공사였던 일본항공(JAL)이 어제 도쿄지방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면 JAL은 완전감자와 함께 공적자금이 투입되고 직원의 약 3분의 1인 1만6000여명을 감원한 후 회생절차를 밟을 예정이지만 과연 정상화될지는 극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JAL

JAL 몰락은 지난 1987년 민영화 이후 낙하산 인사로 내려온 정부 관료와 퇴직자들이 경영권을 장악하면서 가속화됐다는 지적이 많다. 자연히 회사는 관료적이고 경직적인 구태를 벗어나지 못했고 그 결과 민영화 후로 자회사를 늘리며 조직은 비대해졌지만 고비용 저효율 구조가 고착됐다. 여기에 무려 8개의 노조가 난립하면서 제때 구조조정을 못해 참담한 결과를 불러왔다고 한다. 지난 2001년 이후 이미 세 차례나 공적자금이 투입됐지만 끝내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은 적극적인 내부 혁신 없는 방만한 민영화가 어떤 결과를 낳는지 잘 보여준 사례라 하겠다.

JAL의 몰락은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공기업 민영화는 물론 이미 민영화된 기업들의 운영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본다. 공기업에 시장경제 원리를 적용해 기업 효율을 높이고 경쟁을 촉진시키기 위한 민영화는 물론 필요하다. 그렇지만 비록 소유구조상 민영화된 기업이라 하더라도 실제 운영에서는 여전히 관의 입김이 작용하고 그 결과 경영 역시 민영화되기 전과 별반 차이가 없다면 그런 민영화는 아무 소용이 없다는 얘기다.

우리나라에는 1995년 민영화된 국민은행을 비롯, 포스코 KT KT&G 등 과거 공기업이었다 민영화된 거대 기업이 꽤 있다. 그렇지만 이들이 정부나 정치권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최고경영진이 퇴진 압력을 받기 일쑤고 최근 KB금융지주 회장 인선과 국민은행 감사에서 보듯이 정부의 입김도 여전하다. '무늬만' 민영화됐다는 비아냥도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민영화된 기업에 사실상 관치가 계속될 경우 어떤 결과가 오는지는 이번 JAL의 사례가 웅변해주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은 물론 해당 기업 스스로도 국내에 '제2의 JAL'이 나오지 않도록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우면산에서 본 강남 

  

1988년 창업 50주년을 맞이하여 제2창업 선언

 

이병철 회장이 사망한 이듬해 이건희 회장은 제2창업을 선언하면서 '인간중심, 기술중시,자율,사회공헌'을 경영의 축으로 삼아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을 그룹의 21세기 비젼으로 선언하였다.

 

이건희 회장, 삼성그룹 인수

 

그는 "1987년 회장에 취임하고 나니 막막하기만 했다. 1979년 부회장이 된 이후 경영에 부분적으로 관여해왔지만 그때는 '선친'이라는 든든한 울타리가 있었다" 라고 이건희 삼성 회장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책 『이건희 에세이』의 '프랑크푸르트 선언' 편에서 이런 심경을 털어놓은 바 있다.

 

그로부터 20여년이 흐른 지금 이 회장은 글로벌 삼성이라는 매머드 조직의 수장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에 짓눌린 채 고독한 시험대에 올라 중대 결심을 내려야 할 순간에 와 있다.

 

이 회장의 첫 시험대는 1974년 한국반도체라는 회사가 파산에 직면해 있다는 소식이 날아들면서 다가왔다. 그는 당시 경영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하이테크 산업 진출만이 살 길이라는 확신을 바탕으로 사재를 털어 이 회사 지분을 사들여 '삼성 반도체 신화'를 잉태시켰다.

 

이병철 선대 회장도 처음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1982년 반도체연구소 설립, 이듬해 반도체 사업 진출 공식 선언 등을 통해 이 회장의 '반도체 열정'을 지원함으로써 1993년 이래 지금까지 삼성이 메모리 반도체 글로벌 시장을 평정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했다.

 

이 회장의 두번째 무대는 1987년 회장 취임이었다. 선대 회장의 별세 이후 이 회장은 마침내 선장으로서 삼성호의 키를 쥐었다. 그의 당시 심경은 앞서 언급된대로 '막막함'이었다. 선친의 '그림자'가 너무도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취임 1주년 맞아 제2창업을 선언하면서 조직을 장악하고 삼성을 가전 후발업체가 아닌 국내를 대표하는 1등 기업으로, 나아가 반도체와 LCD, 휴대전화 등을 앞세운 글로벌 브랜드로 키워냈다.

 

그로부터 6년여가 흐른 1993년 '프랑크푸르트 선언'이라 이름붙여진 중대 결단이 나온다. 이것은 이 회장이 선대 회장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완전히 독립된 삼성의 카리스마 리더십을 확립하는 상징이자 삼성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이끄는 기폭제로 해석됐다.

 

이 전 회장은 이른바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통해 신경영을 공표한다. 그가 회고한 당시 상황은 이랬다.

"삼성 직원들은 '내가 제일'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위기감에 등골이 오싹해졌다. 1992년 여름부터 겨울까지 불면증에 시달렸다. 체중이 10㎏ 이상 줄었다. 이대로 가다가는 삼성 전체가 사그라질 것 같은 절박한 심정이었다."

이후 "마누라와 자식 외에는 다 바꾸라"는 말로 요약되는 결론을 내놓으며 삼성전자를 비롯한 전 그룹의 체질 개선에 착수한다. 품질을 강화하고 전혀 다른 개념의 신제품을 내놓는 등 초일류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삼성의 변화가 시작된 것이다.

그는 여전히 미래 사업에 대한 철저한 대비만이 기업이 생존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믿고 있다. 이 전 회장은 향후 중점 추진사업에 대해서는 "나도 잘 모른다"고 웃은 뒤 "나도 연구해야 한다. 각 계열사의 R&D팀도 공부를 해서 몇 년이 걸려야 한다"고 긴장감을 드러냈다.

 

1988년 CCKA 카드 인수, 삼성카드로 개칭

 

삼성카드는 1988년 3월 30일 회사를 설립하고, 같은 해 '위너스카드' 발급을 시작으로 9월 1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회사명은 '삼성신용카드주식회사', 초대 대표이사는 이승영 부사장이었다. 1995년 9월 사명 및 상표명을 현재의 '삼성카드'로 변경하였다. 삼성카드는 지난 2007년 6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면서 국내 카드사 중 유일의 상장사로 기록되고 있다. 2009년 3월에는 현 대표이사 최도석 사장이 취임하였다.

 

삼성카드는 선불카드, 기프트카드, 자동차카드, 셀디(셀프디자인)카드, CMA체크카드 등 수많은 업계 최초 상품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놀이공원입장할인, 포인트제도 도입, 선할인제도, 각종 멤버십 서비스 등 고객편의를 위한 각종 서비스를 최초로 선보이며 국내 신용카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2008년 부터는 아메칸 익스프레스카드 센츄리얼계열을 취급하고 있다. 삼성카드의 주요사업 영역은 신용카드 사업, 할부금융/리스사업, 생활편의사업 등으로 나뉘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지본금 5,896억원, 2007년 6월 당시 매출 1조 2026억원, 순이익 3866억원, 자산총액 11조 514억원, 종업원 2,884명이다.

 

성장 역사는 아래와 같다.

  • 1988년 3월 삼성신용카드사 설립
  • 1988년 9월 카드명을 'WINNERS'(위너스)로 확정, 영업개시
  • 1990년 1월 업계 최초 ARS 시스템 구축
  • 1993년 8월 업계 최초 선불카드 발행
  • 1995년 9월 '삼성카드'로 사명 및 상표명 변경
  • 1995년 9월 포인트업 제도 도입 및 포인트 마케팅 실시
  • 1996년 5월 업계최초 자동차카드 출시
  • 2000년 3월 세계최초 무선인터넷 휴대폰 금융 서비스 실시
  • 2001년 5월 아시아 최대 CRM센타 개설
  • 2002년 1월 업계최초 기프트카드 출시
  • 2003년 1월 현 대표이사 유석렬 사장 취임
  • 2004년 2월 삼성카드-삼성캐피탈 합병
  • 2006년 2월 업계 최초 전자제품 선할인 서비스 출시
  • 2007년 6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08년 2월 블루라인 우대멤버십 서비스 실시
  • 2008년 6월 디어팻 멤버십 서비스 실시
  • 2008년 10월 승용차 요일제 카드 출시
  • 2009년 2월 신세계-삼성카드 출시
  • 2009년 3월 최도석 대표이사 사장 취임식
  • 2009년 7월 모바일기프트카드 출시

취급카드로는 일부 체크카드와 삼성올앳카드는 삼성국내전용카드로만 발급된다. 삼성국내전용카드, 비자카드, 마스타카드,아메리칸 익스프레스카드.

 

 

1991년 코리아 엔지니어링을 삼성엔지니어링으로 개칭

 

1970년 1월 코리아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어 1978년 정부의 민영화 방침에 따라 삼성그룹에 인수되었으며, 1991년 1월 현재의 회사명으로 변경되었다. 1996년 12월 상장하였다.

2008년 11월 해외건설 플랜트의 날 금탑산업훈장, 2009년 2월 IMI 경영대상(기술혁신부문), 2009년 10월 엔지니어링의 날 금탑산업훈장 등을 수상했다. 1994년 10월 품질보증 국제 표준규격인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고, 1996년 3월에는 친환경적 경영체제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14001 DIS 및 BS 7750 인증을 획득하였다.

 

제목 : 사우디아라비아 Ibn Zahr PP 플랜트
사진크기 : 800*533 (원본사진보기)
출처 : © 삼성엔지니어링(주)
설명 : 삼성엔지니어링이 2008년 완공했다.

 

 

제목 : 사우디아라비아 SHARQ EG 플랜트
사진크기 : 800*533 (원본사진보기)
출처 : © 삼성엔지니어링(주)
설명 : 삼성엔지니어링이 2008년 완공했다.

삼성 그룹 계열의 화공·산업·환경 등 플랜트 엔지니어링 전문업체(설계, 조달, 공사 및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수행).

업종 플랜트 엔지니어링업
취급품목 정유·가스·석화 등 화공플랜트, 산업 설비, 환경 시설 및 인프라 건설
대표자 정연주
설립일 1970.01.20
기업형태 외부감사법인, 유가증권시장상장법인, 외국인투자기업
소재지 서울 강남구 도곡2동 467-14 삼성 SEI타워
 
연간 통계 단위:백만원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상시 종업원 수 1,647 2,109 2,891 3,459
매출액 1,022,442 1,716,961 1,878,161 2,635,598
영업이익 48,018 113,611 126,639 129,881
당기순이익 60,298 110,557 154,961 188,369
자산총계 899,486 1,266,925 1,377,898 1,679,849
자본금 200,000 200,000 200,000 200,000
자본총계 340,826 435,213 513,355 561,798
부채총계 558,660 831,712 864,543 1,118,050
현금흐름_영업활동 193,212 277,025 289,262 93,795

1990년대부터 동남아와 중국 등의 해외 플랜트 분야에 진출한 이래,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등 중동 지역을 비롯하여 공유럽, 아프리카, 중남미 등지를 대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해외 주요 수행 사업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TASNEE 에틸렌 플랜트, SABIC 석유화학 플랜트, ARAMCO 정유 플랜트, UAE의 ADNOC 비료 플랜트, 알제리의 SONATRACH 정유 플랜트, 태국의 PTT 가스 플랜트 등이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상암동 월드컵 주경기장, 서울고속철도 차량기지, 인천시 송도만수 하수처리장, S-OIL 정유 플랜트, 용인 레스피아 하수처리장 등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전문 엔지니어링 회사로 성장하였다.

 

주요 사업 영역은 정유. 가스, 석유화학 등의 화공 플랜트 분야와 IT시설, 상업단지, 발전소, 제철소, 식품 공장 등의 산업 설비 분야, 물사업, 대기오염방지, 폐기물 소각처리 시설 등의 환경 분야, 도로, 철도, 체육시설, 테마파크 등의 인프라 분야 등이다.

본사는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있으며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미국, 멕시코 등지에 해외 법인이 있다.  

 

1991년 신세계백화점과 한솔그룹 분리

 

주식회사 신세계(株式會社新世界)는 1930년 10월 24일 일본의 미쓰코시 경성점으로서 개업하여, 해방 이후 동화 백화점으로 영업하다가, 1963년에 삼성그룹으로 흡수되어 상호를 신세계백화점으로 바꾸었다. 1967년 국내 최초 바겐세일을 실시하고, 1969년 국내 최초로 신용카드를 발급하였으며, 1991년에 삼성그룹에서 독립을 선언하여 1997년에 공식 분리되었다.

 

2001년 3월에는 (주)신세계백화점에서 (주)신세계로 상호를 변경하고, 현재는 백화점 경영과 함께 대형 할인점 이마트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며 영업하고 있다. 2002년부터 대구백화점과 업무제휴를 하고 있다. 2006년에는 월마트코리아 주식회사를 인수하였고, 그동안 세입자 주체였던 신세계백화점 미아점을 폐점시켰다. 2007년 대한민국의 유통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로부터 A3(안정적) 신용등급을 획득하였다. 이는 아시아에서 일본의 이세탄, 한큐백화점과 함께 최고 수준이다.

 

파일:Shinsegae department store Gangnam branch 20090124.jpg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6년 이마트를 비롯한 신세계의 마진율은 29%로, 월마트의 23.1%, 끼르푸의 21.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신세계는 8개의 백화점 ( 본점, 강남점, 영등포점, 인천점, 죽전점, 광주신세계, 마산점, 센텀시티점 )과 121개의 이마트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관계사로는 백화점과 이마트를 모체로 한 신세계를 중심으로, 신세계건설(유가상장시장), 신세계아이앤씨(유가상장시장), 광주신세계(유가상장시장) 신세계푸드(코스닥)가 상장되어 있고 그 외에 신세계첼시, 조선호텔, 조선호텔베이커리, 신세계인터네셔널, 스타벅스코리아가 있다.

 

연혁

1930.10.24 국내 최초 백화점 미스코시 경성지점 개점(현 신세계본점)

1945.9.15 동화백화점으로 개명(정부관리 기업체)

1963.7.15 삼성그룹, 동방생명과 함께 동화백화점 인수

1963.11.12 동화백화점에서 신세계백화점으로 상호 변경

1969.7.1 국내 최초 크레디트 카드 발급

1971.2.1 신세계ㆍ한일은행 카드 발급 : 국내 최초 자동이체 실시

1973.8.25 대구지점 오픈

1974.9.1 신세계 스토아 반포점 오픈

1974.9.23 업계 최초 해외지점망(뉴욕지점) 설치

1982.11.3 조선호텔 인수

1984.10.6 동방플라자 개점

1988.8.31 미아점 개점

1989.9.1 업계 최초 홈쇼핑 시스템 도입

1990.5.1 본점 신관 탄생

1991.11.6 삼성그룹에서 독립

1992.12.17 천호점 개점

1993.11.12 국내 최초 디스카운트 스토아 이마트 1호점 창동점 개점

1993.11.23 영동점 개점

1993.12 국내 최초 기내 통신판매 실시

1994.4.6 웨스턴 조선비치호텔 인수

1994.8.1 업계 최초 컴퓨터를 이용한 홈쇼핑 실시

1995.7.1 신세계 푸드시스템 창립

1995.8.25 광주 신세계백화점 오픈

1996.1.23 업계 최초 신세계백화점 중국 상해점 오픈

1997.4.16 신세계, 삼성그룹에서 완전 분리 확정

1997.6.7 신세계건설 주식회사 설립

1998.9.10 국내 최초 유통업과 금융업의 전략적 제휴 체결

2000.8.17 마산점 오픈

2000.10.5 강남점 오픈

2001.2.27 이마트 30호점 만촌점 오픈

2001.3.10 ㈜신세계백화점에서 ㈜신세계로 사명 변경

2003.12.23 이마트 60호점 울산점 오픈

2004.6.29 중국 2호점, 루이홍점 오픈

2004.12.13 중국 첫 단독 점포, 중국 3호점 인뚜점 오픈

2005.6 이마트, 누적 고객 10억명 고객 돌파

2005.8.10 신세계 본점 그랜드 오픈

2005.11.22 이마트 80호점 춘천점 오픈

2006.5.12 중국 7호점 이마트 상하이 싼린점 오픈

2006.5.22 미국계 할인점 월마트 16개 점포 인수 : 이마트 점포수 79개/(중국 7개 점포 제외)에서 95개로 증가

2006.10.12 이마트 101호점 익산점 오픈 : 국내 점포 100호점 시대 개막

2006.10.24 신세계 개점 76주년

 

신세계 백화점 지점 현황

  • 본점 : 본점은 1930년에 일본의 미쓰코시 경성점으로 개점하였다. 현재의 상호로 사용중이며, 2006년 8월 본점 신관 오픈.
  • 영등포점 : 영등포점은 1984년 5월 개점. 경방필백화점 위탁경영으로 인수하여, 2009년 9월 리뉴얼 오픈하였다. 건물 뒤편에는 등록문화재 135호인 구 경성방직 사무동 건물이 있으며, 간이 커피숍으로 운영)
  • 미아점 (폐점. 미아점은 1988년 8월 개점, 2006년 12월 1일 폐점되어 현재 이마트미아점으로 업종을 전환)
  • 천호점 (폐점. 천호점은 1992년 12월 개점. 현대백화점 천호점 매출부문에 밀려 2000년 폐점되어 현재 이마트천호점으로 업종을 전환)
  • 광주신세계(광주신세계는 1995년 8월에 개점), 별도법인.
  • 인천점(1997년 11월 개점)
  • 마산점(1997년 10월 마산 성안백화점을 인수하여 2000년 8월 개점)
  • 강남점(2000년 10월 개점)
  • 경기점(2007년 3월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죽전역에 개점. 본래는 '죽전점'이었으나 2009년 10월 '경기점'으로 개칭)
  • 센텀시티점(2009년 3월 3일 개점하였으며, 별도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건물안에는 SPALAND,ICE RINK,CGV,교보문고가 입점되어 있다. 인근에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과 부산 국제 종합 전시장 BEXCO가 있다. 2009년 6월 26일에 기네스 시계 기록에 세계 최대 백화점으로 등재)
  • 동방플라자점 (폐점.1982년 8월 4일 개점하였으나, 1996년 1월 14일 영업을 끝으로 폐점. 그자리에는 롯데마트,세이브존 입점)
  • 대구점 (폐점.대구점은1973년 8월 25일 개점하였으나 3년만인 1976년에 폐점)
  • 경주보문점 (폐점. 경주보문점은 1979년 4월 16일 개점하였으나, 몇년후 폐점)
  • 신세계 스토어 반포점 (폐점. 신세계 스토어 반포점은 슈퍼마켓형태로 1974년 9월 1일 개점하였으나 폐점)
신세계 쇼핑몰: 종합쇼핑몰(신세계백화점상품, 이마트상품 등). 해외배송가능(대한민국 → 전세계, 백화점, 이마트 상품)

 

한솔그룹

 

한솔제지로 유명한 한솔그룹은 그 그룹의 모체 역시 제지 회사였다.
1967년 3월 22일 새한제지라는 이름으로 전주에서 처음으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한솔그룹

 

당시 산업에는 불모지였던 전북지역에 박정희 대통령의 계획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 후 계속적인 성장을 보이면서 제지 업계의 선두를 지켜오면서 성장하여 1992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제지연구소를 설립 보다 나은 종이 개발에 앞장서 왔다. 1991년 그동안 모체로 삼아오던 삼성에서 독립하면서 92년 사명을 한솔제지로 바꾸며 한솔그룹을 형성 사업의 다각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IMF 외환위기 이후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굴지의 재벌그룹이 분가작업이 본격화 되엇다. 삼성도 분가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2대 그룹 회장으로 창업주의 3남 이건희가 추돼되면서 창업주 지계 형제들의 분가는 본격화되었다. 

 

분가의 시작은 창업주의 맏딸인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으로부터 시작되엇다. 이 고문은 한솔제지의 전신인 전주제지의 대주주로 있던 91년 말 삼성으로부터 회사를 독립시켰다.

 

한솔은 분가 이후 95년 한해 동안 사업다각화를 위해 전자, 건설,캐피털 등으로 확장을 거듭해 한솔포렘, 한솔개발, 한솔판지, 한솔상호신용금고, 한솔텔레컴, 한솔전자, 한솔화학등 각계열사의 사명 변경과 편입을 추진시켰다. 이로써 독립경영을 펼친지 4년 반만에 재계22위로 랭크되면서 30대 기업에 진입하는 기적을 나았다. 이같은 성공은 한솔에게 보다 넓은 세계에 도전하려는 청년정신을 자극시켰고 95년 부터 추진하기 시작한 세계시장 공략은 96년 3월부터 보다 구체화되었다. 
 

 

1992년 국제증권을 인수하여 삼성증권으로 상호변경.

 

삼성증권(三星證券, Samsung Securities Co., Ltd.)은 1982년 설립되어 1988년 주식을 상장하였고, 1994년 8월 런던사무소, 1995년 11월 도쿄[東京]사무소, 1995년 11월 홍콩사무소, 1995년 11월 뉴욕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97년 4월 홈트레이딩 시스템 애니넷을 가동하고 1998년 10월부터 증권카드로 현금인출기 등의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1999년 4월 삼성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로 지정되었다. 2000년 12월 삼성투자신탁증권(주)을 흡수합병하고, 2001년 매매전용 시스템을 오픈, 2002년 영업조직을 고객중심의 종합자산관리 체제로 재편하였다. 세계최초로 CMA체크카드를 개설했다.

 

 

주요사업

  •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매매의 중개 또는 대리
  • 유가증권 시장에서의 매매거래에 관한 위탁 중개, 주선 또는 대리
  • 유가증권의 인수, 매출, 모집 또는 매출 주선
  • 유가증권 매매거래에 관련한 신용공여, 유가증권 담보대출 및 대여, 증권저축
  • 사채 모집의 수탁업무, 주식 또는 지분의 평가
  • 사채 원리금 지급보증
  • 양도성예금증서(CD)의 매매 및 매매의 중개, 해외에서의 증권, 대여금고, 기업 매수 합병의 중개, 주선 또는 대리
  • 금융선물의 매매 및 매매의 중개 또는 위탁매매, CD의 할인과 매매, CD 매매의 중개

후원

  •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삼성증권배 한국프로야구를 후원했다.
  • 2000년부터 삼성증권배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를 후원을 하고 있다.

 

 

1993년 제일제당(현 CJ제일제당)이 삼성그룹에서 분리

 

CJ 그룹 (CJ Group)은 본래 삼성그룹의 일부였으며, 1953년 설립된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를 전신으로 한다. 1958년 제일제당은 제당·제분으로 사업을 시작했으며, 1963년 조미료, 1973년 사료, 1975년 다시다를 출시 1979년 식용유 사업에 뛰어들었다. 1984년 제약사업을 시작하고, 1987년 음료사업 게토레이를 시작하다, 1991년 생활용품 사업을 시작하였다. 1993년 제일제당, 제일제당건설, 제일씨앤씨, 제일냉동식품, 제일선물이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으며, 1996년 제일제당 그룹이 출범하였다.

 

CJ그룹은 삼성 분가 과정 중 가장 잡음이 많았다. 창업주의 장남인 이맹희 전 제일비료 회장의 아들인 이재관 CJ회장으로 이어진 제일제당은 이맹희씨가 장남인데도 불구하고 그룹 후게자로 낙점받지 못하였다는 사실에서 잡음의 불씨가 타오르기 시작했다. 이중 분리 과정에서 이재현의 집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된것이 발각되어 삼성과 CJ간 양그룹간 앙금은 깊어가기 시작했다.

 

1997년 12월 부회장으로 승진한 재현씨는 삼성과 지분 정리를 마무리 짓고 본격적인 홀로서기에 나선 후 CJ39홈쇼핑, CJ엔터테인먼트, 제일투자증권 등 사업다각화로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회사경영체제를 도모하여 2001년 그룹회장으로 취임하였다.

 

 

서울 중구에 있는 CJ그룹 사옥

 

1998년 국내최초로 멀티플렉스 영화관 CGV를 개관하였다. 2002년 그룹명을 CJ그룹으로 변경하였다. 2007년 9월 1일 지주회사 전환으로 CJ주식회사는 사업회사(CJ제일제당)와 경영회사(CJ)로 분리하게 된다. 현 회장은 이재현으로 이병철 삼성 전회장의 손자이다.

 

 

 

계열사

  • CJ(지주회사 법인명.)
  • CJ제일제당(주)
  • CJ미디어(주)
  • CJ오쇼핑(주)
  • CJ택배(주)
  • CJ라이언화학(주)
  • CJ투자증권(주)
  • CJ엔터테인먼트(주)
  • CJ엠넷 미디어(주)
  • CJCGV(주)
  • CJ씨지브이(주)
  • CJ텔레닉스(주)
  • CJ건설(주)
  • CJ시스템즈(주)
  • CJ지엘에스(주)
  • CJ프레시웨이(주)
  • CJ푸드빌(주)
  • CJ푸드시스템(주)
  • CJ엠디원(주)
  • CJ올리브영(주)
  • CJ삼양유지(주)
  • CJ헬로비전해운대기장방송(주)
  • CJ조이큐브(주)
  • CJ파워캐스트(주)
  • CJtvN(주)
  • CJ엔지씨코리아(주)
  • CJ인터넷(주)
  • CJ아이지(주)
  • CJ스포츠(주)
  • CJ엔시티(주)
  • CJ헬로비전드림씨티방송(주)
  • CJ헬로비전영남방송(주)
  • CJ무터(주)
  • CJ헬로비전충남방송(주)
  • CJ헬로비전금정방송(주)
  • CJ헬로비전중앙방송(주)
  • CJ제일제당(주)
  • CJ월디스(주)
  • CJ프로퍼티스(주)
  • CJ창업투자(주)
  • 사가와익스프레스코리아(주)
  • 케이엠티브이(주)
  • 클립서비스(주)
  • 세중디엠에스(주)
  • 인터내셔널미디어지니어스(주)
  • 이앤씨인프라(주)
  • 화성봉담피에프브이(주)
  • 디시네마오브코리아(주)
  • 한국케이블티브이모두방송(주)
  • 하선정종합식품(주)
  • 브로드밴드솔루션즈(주)
  • 트라움하우징(주)
  • 썬티브이(주)
  • 씨앤아이레저산업(주)
  • 삼호에프앤지(주)
  • 좋은콘서트(주)
  • 재산커뮤니케이션즈(주)
  • 애니파크(주)
  • 챔프비전(주)
  • 아트서비스(주)
  • 프리머스시네마(주)
  • 수퍼피드(주)
  • 돈돈팜(주)
  • 신동방씨피(주)
  • 모닝웰(주)
  • 제일동건산업(주)
  • 조이렌트카(주)

역사

1953.08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 설립 (삼성그룹 최초의 제조업)
1953.11 부산 1공장 준공(우리나라 최초의 설탕 생산시설)
제당 사업 시작
1958.04 제분 사업 시작
1962.03 설탕 첫 수출
1963.12 조미료 사업
1964.02 '미풍' 생산 개시
1968.02 김포 공장 준공 (조미료 생산기지)
1970.11 인천 1공장 준공
1973.11 사료사업 시작
1975.11 '다시다' 생산 개시
1977.07 프리믹스 생산 개시
1977.12 핵산 조미료 생산 개시
1978.03 식품 연구소 설립
1979.03 인천 2공장 준공
1979.09 식용유 사업 시작
1980.12 이천 1공장 준공 (육가공 사업 시작)
1982.11 인터페론 대량생산 기술개발 성공
1984.06 종합연구소 설립
1985.01 '아스파탐' 및 '페닐알라닌' 개발
1986.02 영등포 공장 출범 (밀가루 생산)
1986.05 '알파 인터페론' 개발 (제품명 :알파페론)
1986.07 간염백신 '헤팍신-B' 생산 개시
1986.11 제약공장 준공 가동(이천)
1987.02 제일냉동식품 설립
1987.05 음료 사업 시작
1988.03 사료공장 준공 (군산)
1988.11 인도네시아 조미료, 라이신 합작공장 계약체결
1988.12 인도네시아 'PT-CSI'설립
1990.03 대소공장 준공 (수액, 원료의약)
1991.01 부산 2공장 준공 (다시다,레또)
1991.10 제일선물 설립
1991.11 생활화학 사업 시작
1991.12 국내 식품업계 최초 매출 1조원 달성
1993.07 CJ 독립경영 선언 (삼성그룹과 분리)
1994.02 외식사업 진출
1994.05 단체급식 사업진출
'녹농균백신' 세계 최초 개발
1994.11 홍콩법인 설립
1995.02 스필버그,카젠버그 등과 '드림웍스 SKG' 공동설립
본격적인 엔터테인먼트 사업진출
1995.04 제일씨앤씨 설립 (現 CJ시스템즈,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CJ 건설 (現 CJ개발) 설립
1995.07 국내 최초로 인도네시아 축산시장 진출
1996.05 제일제당 그룹 출범
PT.CSI 사료공장 준공
1996.12 멀티플렉스 극장 'CGV (CJ Golden Village)' 설립
1997.02 햇반 미국시장 첫 진출
1997.04 삼성그룹과 법적 공식 분리 완료
음악 전문 케이블 'm.net' 인수
1997.06 제일고속통신(드림라인) 설립 (한국도로공사와 공동)
1997.07 희걸집단 중국기업 출범
제일투자신탁 인수
화장품 공장 준공
1997.10 인도네시아 세랑 사료공장 준공
필리핀 사료공장 준공
1997.11 베이커리 '뚜레쥬르' 사업진출, 냉동 생지공장 준공
아시아 지역 영화 배급업체 'CJ Entertainment.Ltd' 설립
1997.12 햇반, ‘97한국소비자축제에서 즉석 가공식품 부문 히트상품으로 선정, 수상
제일제당 종합연구소, 제1회 기술연구소대상 연구성과부문 과기처장관상 수상
1998.01 인도네시아 핵산 공장 준공
1998.04 국내 최초 멀티플렉스 극장'CGV 강변 11' open
1999.01 식자재 전문회사 '現 CJ Food System' 설립
1999.04 30大 그룹 진입
제일투자신탁 -> 제일투자신탁 증권, 운용 분리
1999.08 드림라인 정식 계열사 편입
1999.10 제일투자증권 증권영업 개시
1999.12 해찬들과 전략적 제휴
2000.02 CJ 그룹 중장기 비전 발표
2000.03 홈쇼핑 케이블 TV '39쇼핑(現 CJ홈쇼핑)' 인수
2000.04 CJ Entertainment 분사
2000.06 제일냉동식품 '모닝웰'로 사명 변경
2000.07 CJ 외식사업부 '푸드빌' 로 분사
2000.09 CJ FD System과 CJ FS 사업부 통합,
CJ Food System으로 분사
2000.10 호주 원당 공장 CJ ord River Sugar Pty Ltd 인수,설립
2001.03 베트남 사료 공장 완공
2001.04 CJ 화장품 사업부 'CJ ENPRANI'로 분사
인도네시아 타피오카 공장 준공
2001.05 뚜레쥬르 싱가폴 진출
2001.07 CJ 푸드시스템 코스닥 등록
2001.08 제주 'CJ 나인브릿지' 골프 클럽 개장
2001.11 음료사업 롯데칠성에 매각
2001.12 제일투자신탁증권 '제일투자증권'으로 사명 변경
드림라인 하나로통신에 매각
2002.01 CJ 엔터테인먼트 코스닥 등록
2002.02 이재현 부회장 회장 승진
제49기 정기주주총회 상호 영문표기 'CJ Corp.'로 변경
2002.07 엔프라니 한국주철관 공업에 매각
나인 브릿지, The Club at Nine Bridge 로 정식명칭 변경
뮤직네트워크(m.net) CJ Media로 사명 변경
2002.10 CJ 그룹 출범
제일제당 주식회사 'CJ주식회사(現 CJ제일제당)'로 사명 변경
CJ 드림소프트 'CJ시스템즈'로 사명 변경
CJ39쇼핑 'CJ홈쇼핑'으로 사명변경
푸드빌 'CJ푸드빌'로 사명변경
CGV 'CJ CGV'로 사명 변경
LPGA 투어 'CJ 나인브릿지 클래식'개최
2002.12 삼양유지사료 계열편입
2003.03 중국 사료공장 준공(사천성 성도)
2003.05 CJ인재원 개관
2003.08 중국 상하이미디어그룹(SMG)과 쇼핑 합작법인 설립 계약 조인식
2003.10 CJ푸드빌, 한식 패밀리 레스토랑 '한쿡' 1호점 오픈
2003.11 CJ 창립 50주년
2004.02 CJ컨소시엄, 신동방 인수
CJ주식회사(現 CJ제일제당) 공정거래 자율 준수 기업으로 선정
CJ인터넷, 중국 사업 진출(중국 최대 포털기업 ‘SINA Corp.’과 사업제휴)
2004.04 중국 상해에 '동방CJ'개국
2004.03 CJ부산 1공장 이전 기공식 (양산)
2004.07 플래너스 인수, CJ인터넷으로 사명 변경
2004.08 한일약품 계열편입
2004.12 ‘제14회 경제정의기업상 식약/섬유/종이업종 최우수기업상’ 수상
CJ 제약BU 수액제 연 3천만 백 생산 돌파
CJ 터키 사료공장 인수
   
2005.01 CJ㈜ (現 CJ제일제당) '생활 부문' 일 라이온社에 매각
CJ㈜ (現 CJ제일제당), 중국 베이커리법인 CJ Beijing Bakery Co., Ltd. 설립
2005.03 '넷마블재팬 (http://www.netmarble.jp)' 공개서비스 시작
2005.05 CJ㈜ (現 CJ제일제당), 중국 사료법인 CJ Tianjin Feed Co., Ltd. 설립
2005.06 CJ㈜ (現 CJ제일제당), 중국 사료법인 CJ Harbin Feed Co.,Ltd. 설립
2005.07 CJ그룹 ‘CJ 나눔재단’ 설립, 빈곤아동 교육지원
CJ㈜ (現 CJ제일제당), 브라질 라이신법인 CJ do Brasil Ltd. 설립
2005.08 나인브릿지, 세계 100대 골프 코스에 선정
뚜레쥬르, 중국 베이징 1호점 오픈
2005.10 '넷마블재팬 (http://www.netmarble.jp)' 회원수 100만 돌파
2005.11 씨제이엔시티㈜ 설립
2005.12 미국 식품유통법인 Annie Chun's Inc. 계열 편입
CJ미디어 베트남 드라마 투자 결정, 제작발표회 개최
2006.01 ㈜CJ스포츠 설립
2006.02 Mnet 일본진출
2006.04 수산가공업체 '삼호 F&G' 계열 편입
CJ㈜ (現 CJ제일제당), CJ모닝웰 흡수합병
CJ㈜ (現 CJ제일제당), CJ엔터테인먼트의 지주회사 흡수합병
CJ푸드시스템, CJ Food Service(Sanghai) Co., Ltd.설립
중국 사료법인 CJ Changsha Feed Co.,Ltd. 설립
호주 식품제조법인 CJ Nutracon Pty.,Ltd. 설립
2006.05 ‘CJ 문화재단’ 설립, 순수 문화예술 보호 및 육성 지원
2006.06 CJ푸드시스템, 일본 나리타공항에 웰리앤 돌솥비빔밥 전문점'오픈
홍콩에 투자지주회사 CJ Global Holdings Ltd.설립
2006.10 엠넷미디어(주) 계열회사 추가
2006.11 CJ International Asia Pte. Ltd. 설립
한일약품공업(주) 흡수합병
2007.01 CJ GLS America Inc 설립
미국 식품제조법인 CJ Omnifood, Inc. (구 Pioneer Trading, Inc.)인수
2007.02 (주)하선정 종합식품 계열추가
Tous Les Jours USA, LLC 설립
CJ Feed India Private Limited 설립
2007.04 CJ Bakery Vietnam Co.,Ltd설립
2007.09 CJ,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사업회사 씨제이 제일제당(주) 출범

                                                                           (계속) -서초동 퍼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