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3.1운동 (4)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80 : 일제강점기 25 ( 민족 저항의 시대 : 3.1 운동 4)
한국의 역사 980 : 일제강점기 25 ( 3.1 운동 4) 민족 저항의 시대 3.1 운동 3 7. 피해 규모 3·1 운동의 참여 인원은 최소 50만에서 202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3·1운동 이후 3개월간 만세운동 상황은 202만 3089명이 시위에 참가하였으며, 시위 횟수는 1,542회, 사망자 7,509명, 부상자 15,961명, 피체포..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3. 10. 10. 03:20
한국의 역사 978 : 일제강점기 23 (민족 저항의 시대 : 3.1 운동 2)
한국의 역사 978 : 일제강점기 23 (민족 저항의 시대 : 3.1 운동 2) 3.1 운동 2 3. 사전 준비 당시 중국에 유학중이던 여운형과 신규식, 신한청년당 당원 등은 이 선언과 뒤이은 파리 강화회의가 조선 독립의 달성 여부를 떠나서 앞으로 조선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이 될 것이라고 판단..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3. 10. 5. 03:08
한국의 역사 977 : 일제강점기 22 ( 민족 저항의 시대 : 3.1 운동 1)
한국의 역사 977 : 일제강점기 22 ( 민족 저항의 시대 : 3.1 운동 1) 민족 저항의 시대 3.1 운동 1 1. 개요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독립을 선언하고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다. 기미독립..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3. 10. 3. 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