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국의 역사 (23)
향기마을
중국의 역사 145 :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란?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킨다.또 인간이 거쳐온 모습이나 인간이 행위로 일어난 사실을 말하는 단어로도 쓰인다. 역사 연구란 이야기(narrative)를 통해 연속된 사건들을 검증하고 분석하며 종종 ..
중국의 역사 72 (청나라 건국 과정 7) 정묘호란 홍타이지는 1627년 1월8일 대패륵(大貝勒) 아민(阿敏)에게 조선을 정벌하라고 명령했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오랫동안 후금에 죄를 지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한 뒤 모문룡도 제압하라고 지시했다. 모문룡이 조선의 비호 속에 가도에 머물면서 후금..
중국의 역사 72 (청나라 건국 과정 6) 모문룡의 작폐 인조반정 성공 이후 조선이 표방했던 대외정책의 성격은 ‘친명배금(親明排金)’이었다. 그런데 ‘친명’은 분명 실천했지만 ‘배금’은 쉽사리 실천할 수 없었다.‘배금’을 실천하려 할 경우 필연적으로 후금과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중국의 역사 70 (청나라 건국 과정 4)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광해군은 노회한 명과 사나운 후금 사이의 대결 속으로 말려들지 않기 위해 노심초사했다. 그가 정보를 수집하고, 기미책을 강구하며, 자강 능력을 배양하려 애썼던 것은 그 때문이었다. 하지만 당시의 정세는 결코 간단하지 않았다. 비록 외..
중국의 역사 69 (청나라 건국 과정 3) 광해군은 성공적인 분조 활동을 통해 정치적 위상이 높아졌지만, 동시에 위기를 맞았다. 부왕 선조의 견제 때문이었다. 왜란 초반,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의주까지 파천하기에 급급했던 선조는 지존(至尊)으로서의 위신이 크게 떨어졌다. 더욱이 강화협상을 통해 전..
중국의 역사 68 (청나라 건국 과정 2) 명의 여진족 통치 1405년 퉁밍거티무르가 입조(入朝)해 건주위도지휘사에 임명된 이래 명의 여진족에 대한 포섭작업은 가속이 붙었다. 영락제(永樂帝)는 1409년 흑룡강, 우수리강 유역의 광활한 지역을 총괄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라는 기관을 ..
중국의 역사 67 (청나라 건국 과정 1)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의 글을 싣는다. 여진족과 만주, 그리고 명나라 ▲ 허투아라 성의 왕궁 모습. 왼쪽에 보이는 건물이 누르하치가 집무한 정전(正殿) 한왕전(汗王殿)이다. ●여진족과 만주, 그리고 명나라 여진은 상고 시기 숙신(肅愼), 말갈(靺鞨) 등으로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