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약용 (6)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814 : 조선의 역사 356 (제23대 순조실록 3) 순조의 인릉 제23대 순조실록 ( 1790~1834년, 재위 : 1800년 7월~1834년 11월, 34년 4개월) 3. 천주교 박해를 통한 벽파의 정권 장악 조선의 천주교는 숙종 이후 거의 정치권에서 소외되어 있던 남인 소장학자들을 중심으로 지식층에 전파되었다...
한국의 역사 803 : 조선의 역사 345 (제22대 정조실록 11) 수원 화성 능행도 수원 화성 팔달문 제 22대 정조실록(1752~1800년, 재위 : 1776년 3월~1800년 6월, 24년 3개월) 3. 실학의 융성과 새로운 시대를 꿈꾸던 사람들(계속) 실학의 최고봉 정약용(1762~1836년) : 계속 정약용(丁若鏞)은 1762년 6월 16일 경..
한국의 역사 802 : 조선의 역사 344 (제22대 정조실록 10) 수원 화성 능행도 수원 화성 팔달문 제 22대 정조실록(1752~1800년, 재위 : 1776년 3월~1800년 6월, 24년 3개월) 3. 실학의 융성과 새로운 시대를 꿈꾸던 사람들(계속) 실학의 최고봉 정약용(1762~1836년) 정약용(丁若鏞, 1762년 음력 6월 16일, 경기도..
'뜻으로 본 한국역사' 23 기독교의 들어옴 새 종교의 요구 한 시대가 새로워지려면 결국 기적이 일어나야 한다. 기적을 행하는 것은 외물을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하는 정신만이다. 그러므로 결국 종교 문제다. 불교도 유교에서도 새로운 것을 기대할 수 없었다 모두 특권층의 것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
다산이라면 어떤 대통령을 선택할까? 오마이뉴스 | 기사입력 2007-07-14 11:14 [오마이뉴스 최육상 기자] 1997년 여름, 다산 정약용의 삶을 다룬 <소설 목민심서>(전5권)를 한 숨에 읽어 나갔다. 책은 다산의 목소리를 통해 '목민(牧民, 백성을 다스려 기름)'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조목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