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묘호란 (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15 : 조선의 역사 257 (제16대 인조 32)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후금)의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12 정묘호란(계속) ‘인조실록’과 장유(張維)의 ‘계곡만필(谿谷漫筆)’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정묘호란 당시 ..
한국의 역사 714 : 조선의 역사 256 (제16대 인조 31)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후금)의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11 정묘호란 홍타이지는 1627년 1월8일 대패륵(大貝勒) 아민(阿敏)에게 조선을 정벌하라고 명령했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
한국의 역사 696 : 조선의 역사 238 (제16대 인조실록 13)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이괄의 난이 평정된 지 3년 만인 1627년 1월 그동안 호시탐탐 내침을 노리던 여진족이 대대적인 조선 침..
한국의 역사 695 : 조선의 역사 237 (제16대 인조실록 12)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정묘호란 개요 정묘호란(丁卯胡亂)은 조선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다. 인조 즉위 후 집권한 서인의 친명(親明) ..
한국의 역사 685 : 조선의 역사 227 (제16대 인조실록 2) 남한산성 정묘호란 인조 정권은 광해군 때의 후금의 존재를 인정하는 현실주의적 외교정책을 비판하고 조선의 국력과 걸맞지 않은 무리수를 두는 "친명배금정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때에 1624년 인조 반정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
중국의 역사 74 (청나라 건국 과정 9) 자강론의 이상과 현실 우여곡절 끝에 후금과 화친함으로써 정묘호란은 끝났다. 인조 정권은 어렵사리 종사(宗社)를 보전할 수 있었지만 남겨진 과제는 참으로 버거웠다. 먼저 후금군과 이렇다할 전투 한 번 변변히 치러보지 못하고 강화도로 피란했던 현실을 돌아..
중국의 역사 73 (청나라 건국 과정 8) 일본의 정세 정묘호란의 발생은 조선과 일본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쓰시마(對馬島)와 도쿠가와(德川) 바쿠후(幕府)는 동원할 수 있는 채널을 모두 가동하여 전쟁의 추이와 승패를 파악하려 했다. 그들은 조선과 후금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전쟁이 자신들에게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