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모고변 (6)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03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8 3. 끊임없이 이어진 역모와 반역 역모로 시작해서 역모로 끝난 조선 오백 년 1천 회가 넘는 역모 고변 조선을 거론할 때 대표적인 것이 바로 수많은 역모사건이다. 왕을 몰아내고 새 정권을 수립해야겠다는 무력 음모가 역모인데, 우리 현대사..
한국의 역사 692 : 조선의 역사 234 (제16대 인조실록 9)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이괄의 난, '삼일 천하' (계속) 당시 변방 수비를 책임졌던 사람은 장만이었다. 인조는 그때의 상황을 준전시 상황으로 규정하고 전시에..
한국의 역사 691 : 조선의 역사 233 (제16대 인조실록 8)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4. 인조시대의 변란들 이괄의 난, '삼일 천하' 인조가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이후 조선 사회는 한동안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
한국의 역사 440 : 고려의 역사 209 (제31대 공민왕실록 12) 제31대 공민왕실록 (1330~1374년, 재위 1351년 10월~1374년 9월, 22년 11개월) 3. 공민왕시대의 반란사건들 김용의 난 김용은 안성 사람으로 성질이 음흉하고 능청스러워 속을 잘 드러내지 않는 인물이었다. 또한 오만하고 가식이 많..
한국의 역사 356 : 고려의 역사 124 (제17대 인종실록 3) 제17대 인종실록 (1109~1146년, 재위 1122년 4월~1146년 2월, 23년 10개월) 2. 인종의 가족들 인종은 2명의 폐비와 공예, 선평왕후 등 4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제3비 공예왕후 임씨에게서 의종, 명종, 신종을 비롯한 대령후 경, 원경국사 충희 등 다섯 아들과 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