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송시열 (7)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46: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51 서울 성벽 전경 8. 국가 최고의 가치관은 허례허식 기둥뿌리 썩어가도 고담준론으로 수백 년 16년 예송논쟁 헌종과 숙종 시대에 상복을 입는 기간을 둘러싸고 서인과 남인 사이에 벌어진 두 차례의 대논쟁이야 말로 조선을 표현할 때 가장 적절..
한국의 역사 769 : 조선의 역사 311 (제19대 숙종실록 17)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조선의 붕당정치 과정(계속) 두 번의 호란(胡亂)과 서인의 분열 대북파의 잔혹한 숙청으로 위기감을 느낀 서인과 동생을 죽인 광해군에 대한 복수심에 불탄 능양군(인..
한국의 역사 763 : 조선의 역사 305 (제19대 숙종실록 11)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송시열, 그는 누구인가? (계속) 생애 후반 윤증과의 갈등 윤선거가 죽자 그의 아들이자 우암의 제자인 윤증은 묘지명을 친히 그에게 부탁하였다. 그러나 그는 윤선거..
한국의 역사 762 : 조선의 역사 304 (제19대 숙종실록 10)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송시열, 그는 누구인가? (계속) 북벌론의 추진과 실패 김자점의 난과 북벌론 그 뒤 1649년(효종 1년) 인조의 뒤를 이어서 효종이 임금이 되자 부름을 받았다. 송시열은 ..
한국의 역사 761 : 조선의 역사 303 (제19대 숙종실록 9)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4. 숙종의 환국정치로 인해 계속되는 정치 옥사(계속) 갑술환국과 무고의 옥 갑술환국은 기사환국으로 정권을 잡은 남인들이 인현왕후 민씨의 복위 문제와 관련하여 ..
한국의 역사 756 : 조선의 역사 298 (제19대 숙종실록 4)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1. 숙종의 환국정치와 왕권의 안정(계속) 이렇게 노론계가 정치 일선에서 제거되자 서인은 힘을 상실하게 되었고, 조정에 남인이 대거 등용되어 정국의 주도권은 민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