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소현세자 (5)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38 : 조선의 역사 280 (제16대 인조 55)
한국의 역사 738 : 조선의 역사 280 (제16대 인조 55)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후금)의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36 三學士의 최후 인조의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로 상징되는 치욕적인 항복과 함께 전쟁은 끝났다. 하지만 귀천을 막론하..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2. 10. 14. 09:57
한국의 역사 690 : 조선의 역사 232 (제16대 인조실록 7)
한국의 역사 690 : 조선의 역사 232 (제16대 인조실록 7)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3. 인조의 가족들 인조는 인렬왕후를 비롯한 5명의 부인에게서 7명의 자녀를 얻었다. 인렬왕후 한씨가 소현세자, 봉림대군, 인평대군, 용성대군 등 4남을 낳았..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2. 8. 27. 11:57
한국의 역사 689 : 조선의 역사 231 (제16대 인조실록 6)
한국의 역사 689 : 조선의 역사 231 (제16대 인조실록 6)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2. 굴욕의 왕 인조의 등극과 조선의 끝없는 수난(계속) 후금의 13만 대군에 밀린 조선군은 남한산성에 1만 3천의 군사로 진을 쳤지만 세력의 열세와 군량미 부족..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2. 8. 26. 03:31
'뜻으로 본 한국역사'21
'뜻으로 본 한국역사'21 ▲ 쌍영총에서 발견된 기마무인도의 모습입니다. 궁대와 시복 즉, 동개 일습을 패용한 당당한 고구려의 기마무인을 그렸습니다. 이처럼 말 위에서 활을 쏠 때에는 기본장비를 반드시 갖추고 움직여야 효과적인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임경업 슬픔과 분 속에 밴 사나이 임진란..
시대의 흐름과 변화/좋은 책, 요약,그리고 비평
2007. 11. 19. 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