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가 항복의 예를 마치고 환궁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전쟁은 끝났다. 하지만 그것은 끝이 아니었다. 청군은 아직 철수하지 않았고, 그들은 조선 조정에 이런 저런 요구들을 쏟아냈다. 용골대와 마부대는 말을 탄 채 대궐을 무시로 들락거렸다. 그들은 홍타이지를 전송하는 데 예를 갖추라고 요구하는가 하면, 명을 공격하는 데 필요한 수군과 전함을 내놓으라고 닦달했다. 눈앞에 펼쳐진 전쟁의 상처는 참혹했다. 도성의 관아와 인가들은 불타고 여기저기서 시신들이 나뒹굴었다. 살아남은 어린애와 노인들은 굶어 죽거나 얼어죽기 직전의 상황에 몰려 있었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을 써야 할 것인가. 어렵사리 목숨을 부지하고 종사를 보전했지만, 인조와 조정 신료들은 또 다른 ‘전장’의 한복판에 서 있었다.
|
|
●처참한 도성의 모습
인조가 창경궁으로 돌아온 것은 1월30일이었다. 46일 만에 돌아온 궁궐은 궁궐 같지 않았다. 백관들은 흩어지고, 서리들과 하인배들도 가족들을 찾아 떠났는지 도무지 보이지 않았다. 무슨 일을 시작하려 해도 누구에게 시켜야 할지 막막한 상황이었다.
궁궐 바깥의 도성 모습은 참혹했다. 광통교 주변을 비롯하여 곳곳의 관아와 민가들은 불에 타버린 채 방치되어 있었다. 곳곳에는 참혹한 형상의 시신들이 널브러져 있었다. 널려 있는 시신들을 보다 못한 한성부가 인조에게 건의했다. ‘백골(白骨)을 묻어 주는 것이야말로 왕정(王政)의 급선무입니다. 길가에 버려진 시신들을 차마 볼 수 없으니 남정들을 징발하여 매장토록 하소서’.
물론 살아남은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도성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10살 미만의 어린애들과 70살이 넘은 노인들뿐이라는 보고가 올라왔다. 그나마 그들은 굶주린 채 추위에 방치되어 죽기 직전의 상황에 처해 있었다. 호조에서 긴급 대책을 내놓았다. 노인들은 진휼곡을 풀어 구제하고, 아이들을 데려다 기르는 자에게는 노비로 삼을 수 있는 권한을 주자고 했다. 살아남은 자들, 그 가운데서도 그나마 힘이 남아 있는 어른들은 청군 주둔지 주변에서 이리 뛰고 저리 뛰었다. 청군의 철수가 곧 시작되려는 판에 포로가 된 가족들을 행여 만날 수 있을까 하는 기대와 조바심 때문이었다. 그들은 청군이 몰려 있던 살곶이(箭串) 부근이며, 마포 서강(西江)의 성산(城山) 부근으로 모여들었다.
당시 ‘청군 진영에 있는 사람 가운데 절반이 조선인’이라는 풍문이 돌 정도로 피로인(被擄人)들의 수는 엄청났다. 하지만 청군은 피로인들이 가족과 만나는 것을 엄중히 차단했다. 피로인들이 행여 청군 진영 바깥으로 나가려 하거나, 가족을 찾는 사람들을 향해 두리번거리기라도 하면 어김없이 청군의 철편(鐵鞭)이 날아들었다.
서강 등지를 오가며 피로인들의 참상을 목도한 나만갑은 ‘적진에는 이미 죽은 사람, 화살을 맞았는데 아직 죽지 않은 사람, 무엇인가를 기원하며 합장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기록했다. 참혹한 장면이었다.
●거듭되는 인조의 굴욕
1637년 2월2일, 홍타이지가 철수 길에 올랐다. 아니 홍타이지의 입장에서는 개선(凱旋)하는 길이었다. 그는 피로인 호송과 가도( 島) 공략 등 조선에서의 나머지 일들을 도르곤을 비롯한 부하들에게 맡기고 먼저 출발한 것이다. 살곶이에서 마장(馬場)을 거쳐 양주 쪽을 통해 북상하는 길을 잡았다. 홍타이지는 철수 길에서도 도르곤 등에게 수시로 전령을 보내 지시 사항을 전달했다. 무엇보다 피로인들을 차질 없이 심양까지 끌고 오라고 강조했다.
인조는 홍타이지를 배웅하기 위해 거둥해야 했다. ‘인조실록’에는 ‘청한(淸汗)이 철군하여 북쪽으로 돌아가니, 상이 전곶장(箭串場)에 나가 전송했다’고만 간략히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인조는 홍타이지를 전송하면서 다시 한번 삼배구고두례를 행해야만 했다. 거듭되는 치욕이었다.
인조는 치욕을 삼키며 홍타이지를 배웅했다. 하지만 홍타이지가 멀어져 간 길 위에서는 ‘차마 못 볼 장면’들이 다시 이어지고 있었다. 피로인들을 끌고 가는 청군 부대가 홍타이지의 뒤를 따르고 있었던 것이다. 청군은 조선인 피로인들을 세 줄로 세워 연행했다. 수백 명의 피로인들이 지나가면 그 뒤에 감시병이 붙고, 다시 수백 명을 줄 세워 끌고 가는 장면이 하루종일 반복되었다. 인조는 이 처참한 모습을 차마 보지 못하고, 오던 길과는 다른 길을 잡아 도성으로 돌아와야 했다.
홍타이지가 지시한 상황은 용골대와 마부대가 대궐을 드나들면서 인조에게 전달했다. 그들은 먼저 가도를 공격하는 데 협조하라는 요구를 내놓았다. 공유덕 등이 전선을 수리하는 데 협조하고, 조선의 수군도 동원하라고 했다.‘요구‘라기보다 사실상 ‘지시’이자 ‘명령’이었다. 한창 기세가 등등한 그들의 요구를 뿌리칠 처지가 아니었다. 조정은 당장 신천(信川) 군수 이숭원(李崇元)과 영변(寧邊) 부사 이준(李浚)에게 황해도의 수군을 이끌고 청군과 합류하라고 지시했다.
인조는 수군을 청군에게 보내라고 지시한 뒤, 호조참의 신계영(辛啓榮)을 급히 강화도로 보냈다. 선박을 수리한다며 서해 연안으로 간 공유덕 일행에게 강화도 등지의 주민들이 약탈당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라는 명목이었다. 더욱이 당시까지 원손(元孫)이 청군을 피해 교동(喬桐)에 은신해 있는 상태였다. 한편에서는 청 측의 요구를 이행하기 위해, 다른 한편에서는 그 과정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전전긍긍’이 이어지는 상황이었다.
용골대 일행 가운데는 조선인 통역 정명수(鄭命壽)도 끼어 있었다. 그는 본래 은산(殷山) 출신의 노비였다. 일찍이 청에 투항한 뒤, 홍타이지의 신임을 받아 통역으로 조선을 드나들었다. 이제는 더 출세하여 어엿한 ‘상국의 통사(通使)’가 되어 조선 사람들 위에 군림하게 되었다. 그는 말을 탄 채로 창경궁을 드나들었다. 하지만 아무도 그를 제지하지 못했다. 정명수에게나, 조선 신료들에게나 세상은 하루아침에 바뀌어 버렸던 것이다.
●소현세자, 심양으로 출발하다
병자호란 직후, 인조는 갖가지 치욕과 아픔을 겪어야 했다. 그런 그에게 무엇보다도 슬픈 일은 소현세자, 봉림대군과의 이별이었다. 2월3일, 소현세자는 창경궁에 들러 부왕에게 인사를 올렸다. 하지만 그의 행차에는 청인 대여섯 명이 감시인으로 따라붙었고, 정명수는 빨리 돌아가야 한다며 성화를 멈추지 않았다.
2월8일 소현세자 일행이 떠나는 날, 인조는 창릉(昌陵) 근처까지 거둥하여 배웅했다. 인조가 소현세자를 만났을 때 백관들의 통곡 소리가 이어졌다. 인조는 세자 일행을 데려가는 도르곤에게 깎듯이 예의를 갖추었다.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자식이 이제 떠나니, 대왕께서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과거 ‘오랑캐’로 치부했던 청인, 그것도 아들보다도 나이가 어린 청 왕자에게 자식의 모든 것을 맡겨야 했던 아비의 마음이 담겨 있었다.
|
인조는 도르곤에게 또 다른 부탁을 빼놓지 않았다. ‘자식들이 궁궐에서만 자랐는데, 지금 들으니 여러 날 동안 노숙(露宿)으로 벌써 병이 생겼다고 합니다. 가는 동안 온돌방에서 재워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르곤은 그러겠다고 답한 뒤 출발을 채근했다.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절을 올려 하직하자 인조는 눈물을 쏟으며 당부의 말을 이어갔다.‘지나치게 화를 내지도 말고 청인들에게 가볍게 보이지도 말라’. 백관들이 통곡하면서 소현세자의 옷자락을 끌어당겼다. 세자 일행은 신하들의 통곡 속에 심양으로 떠났다.
인조와 소현세자의 이별 장면 또한 눈시울을 적시지 않고는 읽기 어렵다. 애틋하고 슬픈 인조의 부정(父情)이 느껴진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심양으로 들어간 소현세자는 이후 인조에게 ‘뜨거운 감자’가 되고 말았다. 청인들은 소현세자를 지렛대로 인조로부터 충성을 이끌어 내려 했다. ‘여차 하면 인조를 왕위에서 끌어내리고 소현을 즉위시키겠다.’는 신호를 보내왔다. 그 와중에 인조와 소현세자는 서로 ‘경쟁자’가 되고 ‘정적’이 되어 갔다.
그 귀결이 소현세자의 돌발적인 죽음이었다. 병자호란은 그렇게 인조의 부자 관계부터 파괴시켜 가고 있었다.
가도의 동강진 무너지다
|
●조선, 명 배신 위기에 처해
전세가 기울어 청에게 항복하는 것이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되었을 때에도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오는 것만은 피하려 했었다. 하지만 인조는 결국 출성하여 홍타이지에게 무릎을 꿇고 말았다. 그런데 항복한 이후에도 인조나 조선 조정이 끝까지 피하려 했던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조선이 군사를 내어 청군을 원조하고, 명을 공격하게 되는 상황이었다.
1637년 2월3일, 용골대와 마부대는 창경궁으로 인조를 찾아왔다. 그들은 조선이 그토록 피하고자 했던 가도 정벌에 협조하고 동참할 것을 강요했다. 당시 인조나 조정은 서슬퍼런 그들의 요구를 거부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다. 조선은 당장 황해도의 병선 100척과 수군 3000여명을 징발했다. 징발 과정에서 민폐를 따질 겨를도 없었다. 평안병사 유림(柳琳)을 주장으로, 의주부윤 임경업(林慶業)을 부장으로 삼아 병력을 이끌고 철산 앞바다로 진격하도록 했다.
청군의 수군 지휘관은 이신 공유덕과 경중명이었다.1633년 명에서 선단을 이끌고 귀순해온 두 사람은 청군 가운데는 드물게 바다와 해전을 아는 장수들이었다. 홍타이지의 두 사람에 대한 총애는 각별했다. 선단을 이끌고 귀순해온 것에 감격하여 공유덕 휘하의 병력을 천우병(天佑兵), 경중명 휘하의 병력을 천조병(天助兵)이라 불렀다. 두 사람을 위해 심양에 거대한 저택도 새로 지어주었다.‘천우’,‘천조’라는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홍타이지에게 두 사람은 ‘하늘이 청을 돕기 위해 보내준 장수들’이었다.
|
바야흐로 천우군과 천조군을 본격적으로 활용할 기회가 찾아왔다. 홍타이지는 조선에서 철수하면서 두 사람을 조선에 남겨 수군 전력을 정비하도록 했다. 용산과 강화도 일대에서 함선을 새로 건조하거나 수선하고, 조선 수군의 협조를 얻어내는 임무를 맡겼다. 조선을 굴복시킨 여세를 몰아 가도의 동강진을 제거하라고 지시했던 것이다.
1622년 모문룡이 처음 들어가 동강진을 설치한 이후 가도는 청의 서진(西進)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었다. 하지만 지척에서 빤히 바라보면서도 수군이 없고 해전에 익숙하지 못하여 발만 동동 굴렀던 지난 15년이었다. 그런데 이제 동강진을 쳐 없앨 절호의 기회가 왔다. 공유덕과 경중명의 역량은 물론, 해전에 뛰어난 조선 수군까지 동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홍타이지는 ‘가도 함락’이라는 승전보를 기대하면서 철수 길에 올랐다. 조선은 ‘오랑캐’에게 붙어 명을 배신할 수밖에 없는 위기를 맞았다.
●明 도독 심세괴의 순국
|
청군은 가도를 곧바로 함락시킬 수 있다고 자신했지만 사정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지형이 험하여 전함의 접근이 어려운 데다 명군이 섬 주위에 화포를 배치하여 청군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가도에는 도독 심세괴(沈世魁)가 군민 5만여명을 이끌고 방어에 임하고 있었다.
조·청 연합군은 1637년 4월9일, 철산 앞바다를 출발하여 총공격을 개시했다. 선단을 셋으로 나눠 상륙을 시도했지만 험한 지형과 명군의 사격 때문에 번번이 실패했다. 공략이 여의치 않자 청군 지휘관 마부대 등은 임경업 등에게 묘안이 있는지를 물었다. 애초부터 내키지 않는 싸움에 동참하게 된 임경업 등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자 마부대 등은 회유와 협박을 반복했다. 임경업은 협박에 밀려 결국 묘안을 제시했다.‘지형이 험한 북쪽 해안을 버리고 남쪽 해안으로 우회하여 공격하자.’는 것이 핵심이었다.
마부대는 임경업의 계책에 따라 자신과 공유덕 등이 이끄는 청 수군을 남쪽으로 우회시켜 동강진을 배후에서 공격토록 하고, 조선군은 의연히 북쪽 해안에서 동강진의 정면을 돌파하는 작전을 썼다. 당시 명군은 철산 등 육지를 마주보고 있는 북쪽 해안의 방어에 주력하여 남쪽 해안에는 병력을 거의 배치하지 않았다. 청군은 결국 별 어려움 없이 남쪽 해안으로 상륙하여 동강진의 배후를 기습했고, 그와 동시에 조선군이 정면에서 공격해 들어갔다.
남과 북에서 협공을 받은 명군은 완강하게 저항했으나 전세는 이미 기울고 있었다. 엄청난 사상자를 낸 상태에서 심세괴는 잔여 병력을 이끌고 소달금(小達金)이라는 봉우리로 퇴각했다. 하지만 그들은 청군의 철기(鐵騎) 앞에서 오래 버티지 못했다. 마부대는 소달금에 대한 포위망을 좁히는 한편, 섬 안에서 대대적인 살육과 약탈을 자행했다.
청군에게 떠밀려 들어온 조선군은 고민에 빠졌다. 청군과 함께 살육과 약탈에 동참할 것인가? 아니면 옛정을 생각하여 시늉만 할 것인가? 조선군은 애초 섬에 도착했을 때, 배에서 내리는 것도 미적거렸었다. 그런데 나만갑은 ‘병자록’에서 조선군이 청군보다 더 심하게 한인들을 죽이고 약탈을 자행했다고 적었다. 작전권이 청군 지휘부에게 있고 그들의 명령을 거부할 수 없는 이상 조선군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다.
심세괴는 항복을 권유받았지만,‘대명(大明)의 신하가 개돼지에게 무릎을 꿇을 수는 없다.’며 청군의 칼날 아래 쓰러졌다. 휘하 병력 1만명가량도 목숨을 잃었다. 조선군의 공격에 놀란 일부 한인들은 ‘명이 조선에 무슨 잘못이 있기에 우리를 배반하고 적에게 붙어 우리를 참혹하게 죽이느냐?’며 절규했다. 가도 함락 소식이 서울로 전해진 이후 많은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듣고 눈물을 흘렸다.
●한 시대의 종언
심세괴의 죽음과 함께 가도의 동강진은 결국 무너졌다. 그런데 그것은 단순히 명나라의 군진(軍鎭) 하나가 사라진 것이 아니었다. 조선과 명, 그리고 후금이 뒤얽혀 있던 동아시아의 기존 질서가 무너진 것을 의미했다.
인조대 내내 가도는 ‘뜨거운 감자’였다. 모문룡을 비롯한 가도의 역대 지휘관들은 조선을 몹시 괴롭혔다. 수시로 군량을 내놓으라고 강요하는가 하면, 가도의 한인들은 무시로 청북 지역에 출몰하여 조선을 곤혹스럽게 했다. 정묘호란 이후에는 조선을 오가는 후금 사신들을 체포하려 드는가 하면, ‘조선이 명을 배신하고 오랑캐에게 붙었다.’고 북경 조정에 참소했던 것도 그들이었다. 그럼에도 명을 ‘상국’이자 ‘부모국’으로 섬기던 조선은 싫은 내색 없이 그들에게 군량을 제공하고 편의를 봐주었다. 가도의 교란 작전과, 그것을 용인하는 조선의 태도에 후금은 격앙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는 데는 가도의 존재도 분명 한 몫을 했다.
그런데 가도가 붕괴되기까지의 과정은 철저하게 명이 자멸(自滅)해 가는 모습과 닮아 있었다. 애초 모문룡은 가도에 들어가 ‘요동을 수복하겠다.’고 큰소리쳤지만 그저 말뿐이었다. 감시의 사각지대에 안주하면서 막대한 부를 챙기고, 안일에 빠져들었다. 자연히 후금(청)과 맞서겠다는 본래 목표는 실종되었다. 명 조정은 그것도 모르고 엄청난 군자금과 물자를 가도에 퍼부었다. 목표는 사라지고 부만 늘어나면서 자연히 파벌 다툼이 잦아졌고, 그 와중에 수차례 반란이 일어났다. 이제 가도는 청의 서진을 견제하는 거점은 커녕,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날로 역량이 커진 청이 가도를 장악하는 것은 ‘시간 문제’일 뿐이었다.
가도의 붕괴는 조선에게도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가장 가까이에 있던 ‘명의 분신’이자 ‘충성의 대상’이 사라진 것을 의미했다. 가도에 상륙한 조선군이 살육과 약탈에 가담했던 것은 기존 조·명관계의 파탄을 알리는 상징이었다.
동시에 그것은 조선이 ‘새로운 상국’ 청에게 서서히 길들여져 가는 고통스러운 과정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