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봉림대군 (4)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44 : 조선의 역사 286 (제17대 효종실록 3)
한국의 역사 744 : 조선의 역사 286 (제17대 효종실록 3) 제17대 효종실록(1619~1659년, 재위 : 1649년 5월~1659년 5월, 10년) 1. 소현세자의 죽음과 봉림대군의 세자 책봉(계속) 이 의문사에 대해 학자 이식은 소현세자의 묘지문에 "환궁 이후 계속해서 한증과 열기가 있었는데 의원의 시술이 잘못되어..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2. 10. 20. 03:26
한국의 역사 689 : 조선의 역사 231 (제16대 인조실록 6)
한국의 역사 689 : 조선의 역사 231 (제16대 인조실록 6)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2. 굴욕의 왕 인조의 등극과 조선의 끝없는 수난(계속) 후금의 13만 대군에 밀린 조선군은 남한산성에 1만 3천의 군사로 진을 쳤지만 세력의 열세와 군량미 부족..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2. 8. 26. 03:31
한국의 역사 685 : 조선의 역사 227 (제16대 인조실록 2)
한국의 역사 685 : 조선의 역사 227 (제16대 인조실록 2) 남한산성 정묘호란 인조 정권은 광해군 때의 후금의 존재를 인정하는 현실주의적 외교정책을 비판하고 조선의 국력과 걸맞지 않은 무리수를 두는 "친명배금정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때에 1624년 인조 반정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2. 8. 22. 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