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고려의 역사 (31)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413 : 고려의 역사 182 (제26대 충선왕실록 3) 제26대 충선왕실록 (1275~1325년, 재위 1298년 1~8월, 1308년 7월 복위~1313년 5월, 총 5년 3개월) 1. 충선왕의 전지(傳旨)정치와 고려 조정의 불안정(계속) 충렬왕이 원나라를 방문한 것은 1305년이었다. 이 당시 원은 적자를 두지 못한 성..
한국의 역사 398 : 고려의 역사 166 (제24대 원종실록 2) 제24대 원종실록 (1219~1274년, 재위 1259년 6월~1274년 6월, 15년) 1. 원종의 친원정책과 무신정권의 종식(계속) 이런 상황에서 왕위에 오른 원종은 몽고측의 출륙환도 요구와 무신들의 강화도 고수 주장 사이에서 고심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
한국의 역사 388 : 고려의 역사 156 (제23대 고종실록 1) 제23대 고종 고종(高宗, 1192년 ~ 1259년)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시호는 고종충헌안효대왕(高宗忠憲安孝大王).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
한국의 역사 382 : 고려의 역사 150 (제20대 신종실록 3) 제20대 신종실록 (1144~1204년, 재위 1197년 9월~1204년 1월, 6년 4개월) 1. 늙은 왕 신종의 즉위와 최씨 무인정권의 성립(계속) 이렇게 소요가 이어져 정국불안이 그치지 않는 가운데 최충헌의 벼슬은 거듭 승진되었다. 1197년에 상장군에 오른 그는 같은 해 1..
한국의 역사 381 : 고려의 역사 149 (제20대 신종실록 2) 제20대 신종실록 (1144~1204년, 재위 1197년 9월~1204년 1월, 6년 4개월) 1. 늙은 왕 신종의 즉위와 최씨 무인정권의 성립(계속) 신종은 왕위에 오르자 곧 이름을 탁으로 개명했다. 그의 초명인 민이 금나라 왕의 이름과 같다하여 바꾼 것이다. 그는 즉위 전날..
한국의 역사 374 : 고려의 역사 142 (제19대 명종실록 3) 제19대 명종실록 (1131~1202년, 재위 1170년 9월~1197년 9월, 27년) 1. 허수아비 임금 명종과 무신들의 정권다툼(계속) 정중부를 제거한 경대승은 무신정권의 권력기반이었던 중방을 무력화시키고 도방을 설치, 측근들을 배치하였다. 그 후 그는 정중부 제거..
한국의 역사 372 : 고려의 역사 140 (제19대 명종실록 1) 제19대 명종 명종(明宗, 1131년~1202년)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시호는 명종황명광효대왕(明宗皇明光孝大王). 인종과 공예태후(恭睿太后)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생애 1170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