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고구려 역사 (27)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44 : 고구려 역사 27 (제22대 안장왕) 제22대 안장왕 광개토태왕릉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
한국의 역사 43 : 고구려 역사 26 (제21대 문자왕) 제21대 문자왕(문자명왕) 광개토태왕릉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한국의 역사 42 : 고구려 역사 25 (제20대 장수왕) 제20대 장수왕 광개토태왕릉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
한국의 역사 39 : 고구려 역사 22 (제19대 광개토왕 ) 제19대 광개토왕(대왕,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지호태왕/지호태성왕,영락태왕,호태왕)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廣開土王, 374년 ~ 413년?, 재위 : 392년? ~ 413년? 삼국사기 기준)은 고구려의 제19대 왕이다. 이름은 담덕(談德) 또는 안(安)으로 고국양왕의 ..
한국의 역사 37 : 고구려 역사 20 (제17대 소수림왕 ) 제17대 소수림왕(소해주류왕,해미류왕) 소수림왕(小獸林王, ?~384년, 재위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다. 이름은 구부(丘夫)로 고국원왕의 맏아들이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 ..
한국의 역사 36 : 고구려 역사 19 (제16대 고국원왕 ) 제16대 고국원왕(국강상왕) 고국원왕(故國原王, ?~371년, 재위 331년~371년)은 고구려의 제16대 왕이다. 이름은 사유(斯由) 또는 쇠(釗)라고 하며 미천왕의 아들이다. 국강상왕(國罡上王)이라고도 하며 《수서》 〈동이전〉에는 소열제라고 기록되어 있기..
한국의 역사 35 : 고구려 역사 18 (제15대 미천왕 ) 제15대 미천왕(호양왕) 미천왕(美川王, ?~331년, 재위 : 300년~331년)은 고구려의 제15대 군주이다. 이름은 을불(乙弗) 또는 을불리(乙弗利), 우불(憂弗) 등이 전해진다. 고추가(古鄒加)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 高句麗 기원전 3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