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37 : 고구려 역사 20 (제17대 소수림왕 )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37 : 고구려 역사 20 (제17대 소수림왕 )

두바퀴인생 2010. 10. 10. 10:57

 

 

 

한국의 역사 37 : 고구려 역사 20 (제17대 소수림왕 )

 

 

제17대 소수림왕(소해주류왕,해미류왕) 

  

 

 

       

 

 

 

 

 

소수림왕(小獸林王, ?~384년, 재위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다. 이름은 구부(丘夫)로 고국원왕의 맏아들이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
History of Korea-476.PNG
476년 고구려 전성기 때의 지도
공용어 고대 한국어
수도 졸본 (기원전 37년 ~ 3년)
국내성 (3년 ~ 427년)
평양성 (427년 ~ 668년)
정치체제 군주제
인구 최대치
668년
69만호 (약 3,500,000명)
성립 기원전 37년
멸망 668년
초대 군주 동명성왕
기원전 37년 ~ 기원전 18년
최후 군주 보장왕
642년 ~ 668년
성립 이전 부여
해체 이후 발해, 신라

 

생애

355년에 태자가 되었고 371년에 고국원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소수림왕은 고구려 사회의 체제 정비를 위해 일련의 정책을 취하였다.

 

372년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으로부터 승려 순도(順道)가 와서 불상과 경문을 전함으로써 최초로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되었다.

 

374년에는 아도(阿道)가 전진에서 건너와 불도를 전하였다.

 

이에 소수림왕은 375년에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순도와 아도를 기거하게 하는 등 불교의 수용 및 보급에 노력하였다.

 

한편, 372년에 유교교육기관인 태학(太學)을 세우고 373년에 처음으로 율령을 반포함으로써 유학적 통치 이념 아래 고대 율령국가 체제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고구려의 발전을 저해하던 기존 부족적 체제를 극복하고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대외관계에 있어서는 375년에서 377년에 걸쳐서 세 차례나 백제를 침공하였으며 전진과는 372년, 377년에 사신을 교환하고 우호관계를 맺었다.

 

378년에는 극심한 가뭄이 든 상태에서 거란의 침략을 받아 8개의 부락을 빼앗기기도 했다.

 

384년에 서거하여 소수림(小獸林)에 장사지냈다.

 

동시대 백제, 신라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9~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 ? ? ).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9~53)          (54~146)     (146~165)    (165 ~ 179)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l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1~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1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연)(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2)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9~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

                                                                                                                │                                    │                       (부마도위)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 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 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BC 2333년 고조선 건국

                BC 108년 고조선 멸망.

                BC 37년 부여의 왕족 주몽, 남하하여 졸본에서 고구려건국

                BC 18년 주몽의 아들 온조(소서노와의 아들) 백제건국

                003년 유리왕(주몽의 첫째부인 아들) 압록강 국내성으로 천도.
                022년 고구려, 부여 공격 대소왕 전사.

                242년 고구려, 요동의 서안평 공격
                313년 고구려, 낙랑군 멸망시킴
                391년 광개토왕 즉위, 백제공격
                400년 광개토왕, 비려 후연 부여 말갈 정복. 내몽고까지 진출. 신라침범 왜구 격퇴.
                414년 장수왕 즉위
                427년 평양천도, 한강유역 정복
                433년 백제-신라 동맹
                475년 고구려, 백제공격 백제 웅진천도

                554년 백제-신라 동맹 결렬
                590년 고구려 온달장군 아차성에서 전사
                598년 수나라와 1차전쟁 승리, 고구려 강이식 요서선제공격, 수문제 30만 대군궤멸.
                612년 수나라와 2차전쟁 승리, 수양제 요동성,평양성,살수대첩에서 을지문덕에 패퇴
                613년 수나라와 3차전쟁 승리
                618년 수나라와 4차전쟁 승리, 수나라 멸망시킴
                618년 이세민 당나라 건국, 고구려-당 우호관계맺음
                630년 부여성-발해에 이르는 천리장성 축조
                642년 연개소문 고건무 죽이고 쿠데타, 대당 강경노선으로 급선회.
                642년 연개소문, 신라 김춘추를 사로잡아 감금하고 신라공격.
                645년 당나라와 1차전쟁 승리, 요동성전투 연개소문. 안시성전투 양만춘.
                647년 당나라와 2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당나라와 3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신라-당나라 연합
                660년 신라-당나라 연합군 백제 멸망시킴
                661년 당나라군 평양성 포위했으나 패퇴.
                666년 연개소문 병사. 세아들 내분. 남생 당에 투항, 남건 설인귀에 대패.
                668년 당나라군, 안시성 부여성 함락. 신라 문무왕 평양성 함락. 고구려 패망.
                669년 압록강 이북 32개성 당나라와 계속 전쟁 - 검모잠등
                676년 고구려 마지막왕 보장왕 말갈과 연합 고구려부흥운동 실패.
                696년 거란 이진충 반란, 북경포위 측천무후와 전투끝에 패퇴.
                696년 걸사비우,대걸중상,대조영 이해고의 당나라군과 격전, 요동에서 당축출. 걸사비우 전사.
                698년 대조영, 진국이라 칭하고 건국. 송화강 연해주까지 정벌.
                713년 당나라 대조영을 발해군왕으로 칭하며 화친 제의, 대조영은 고려국왕 연호사용
                719년 대조영 죽음.
                732년 고려국(발해) 무왕 당나라 산동반도 공격.
                733년 신라-당 연합군 고려국(발해)공격, 발해-돌궐-일본과 동맹. 나-당에 대항.
                907년 당나라 멸망.
                926년 고려국(발해) 멸망.
                935년 신라 멸망.

 

 

  

 

제17대 소수림왕 실록

  (?~384, 재위:서기 371년 10월~서기 384년 11월, 13년 1개월)

 

                                                                                            

문치를 통한 중앙집권화와 백제 정벌정책

소수림왕은 고국원왕의 맏아들이며 이름은 구부이다. 언제 태아났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고국원왕 25년인 355년에 태자에 책봉되었다. 그리고 371년 10월에 고국원왕이 백제와의 평양성 싸움에서 전사하자 고구려 제17대 왕에 올랐다.

 

소수림왕은 즉위하면서 고구려는 문치주의를 표방한다. 문치는 곧 중앙집권화와 당시의 혼란스런 국제정세 속에서 외교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고구련느 고국원왕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 꾸준히 백제에 대한 정벌정책을 감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수림왕은 기골이 장대하고 지략이 뛰어난 인물로 전해진다. 그는 태자에 오르기 전부터 이미 정사에 관여했는데, 전연이 고구려를 위협하던 340년에 고국원왕의 명을 받아 모용황을 예방한 것이 그 시초이다. 이후 그는 고국원왕을 도와 국방과 행정 전반에 걸친 많은 경험을 하였고, 외교문제에도 적극 가담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전연의 멸망을 경험했고, 동시에 전진의 성장을 지켜보았다. 백제의 침입으로 아버지는 잃는 아픔도 안게 되었다. 그는 이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탁월한 외교능력을 발휘하여 문치주의를 표방하는 한편, 고국원왕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백제에 대한 압박정책을 수립한다.

 

소수림왕이 즉위하던 시기는 중원에 큰 변화가 일어난 때이다. 이미 270년에 모용씨의 전연이 저족의 우두머리 부견이 이끄는 전진에 몰락하고, 그 잔존세력은 부견에게 항복하였다. 이렇게 되자 부견은 남진하여 동진의 익주를 탈취하고, 서쪽으로는 구지와 전량, 또 북쪽으로는 소수족의 지방할거 정권을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한다. 전진은 그 여세를 몰아 동진을 멸하고 중국을 통일하겠다는 야심을 품는다.

 

하지만 전진은 고구려에 대해서만은 온건한 자세를 보였다. 그들은 동진을 멸망시키기 위해서 고구려의 비위를 건드리지 않았던 것이다. 때문에 비록 전진은 전연의 영토를 차지하긴 했으나 한나라 시대의 구요동, 현도,유주 등의 지역에 대해서는 고구려에 양보하는 자세를 보였다.

 

고구려는 전진의 의중을 재빨리 파악하고 소수림왕 즉위 초기에 전연이 차지하고 있던 유주 ,현도, 요동 등을 점령하고 하북과 산동으로의 진출을 꾀하였다. 하지만 산동과 하북에는 백제가 세력을 키우며 북상을 꿈꾸고 있었다. 고국원왕의 전사로 원한을 품고 있던 고구려는 북진을 추진하고 있던 백제를 응징할 움직임을 보였고, 백제 역시 고구려의 침입을 예상하고 항상 전쟁에 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수림왕은 쉽사리 백제를 향해 칼을 빼들지는 않았다. 소수림왕은 국제정세에 밝았고 정치감각도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래서 신흥강국인 부견의 전진과 화친을 맺고 한편 강남의 동진과도 돈득한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같은 그의 외교노선은 백제를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백제도 동진과 외교관계를 맺어 고구려의 압박정책에 대항했다.

 

소수림왕은 이처럼 고도의 외교전략을 구사하며 대내외적으로 문치주의를 표방하고 국방위주의 노선에서 탈피하여 문화적 일체감을 형성하는 외교 형태를 구사하여 전진과 동진의 지지를 이끌어내고 백제를 고립시키려고 하였다. 뿐만아니라 내부적으로는 중앙집권화를 꾀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다.

 

 

중국의 5호 16국 시대

서진(西晋)이 기원 316년 흉노에게 멸망하자 서진(西晋)의 일족인 사마예는 317년 건업(현재의 남경)을 건강으로 개명하고 이 곳을 수도로 동진을 관중이라 불리는 왕도의 도움으로 강남 지방 호족들을 복종시켜 동진의 기반을 튼튼히 해 나갔다. 
 
동진 정권이 수립된 후 6년째에 동진의 중신 왕돈이 형주에서 군사를 일으켜 건강을 공략, 함락시키고 반대파 중신들을 죽이거나 추방하였다. 동진의 황제 사마예는 왕돈의 반란에 심한 분노를 느껴 발병하여 죽고 그 후 왕돈의 난은 평정되었다. 
 
동진 정권의 권력에는 북방에서 내려온 호족 왕씨가 강남 지방의 호족 세력이 2대 지주를 이루었는데 약 1백년 동안은 왕씨 일족과 그 뒤를 이은 유씨(庾氏), 사씨(謝氏), 환씨(桓氏) 등이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동진은 끝내 중국 북부를 수복하지는 못하였으나 383년에는 비수의 대전에서 전진왕(前秦王) 부견의 대군을 격파함으로써 양자강 이남의 땅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동진은 말기에 이르러 남조 송(宋)을 세운 유유(劉裕)에게 멸망 당하였다. 
 
한편 동진 왕조와 때를 같이하여 중국 북부에서는 흉노, 선비, 갈, 저, 강 등 다섯 이민족이 약 130년 간에 걸쳐 중국 북부에 16개의 왕조를 세우게 되었는데 이를 오호십륙국이라 부른다. 
 

 
이들 이민족은 일찌기 후한 말. 삼국시대에 이미 중국 북부에 이주하여 한민족과 섞여 살다가 서진 왕조의 통제력이 약화되자 304년 남흉노의 수장 유연이 산서에서 독립하고 316년 그의 아들 유총이 서진 왕조를 멸망시킨 이후 중국 북부는 분열 상태에 빠져 오호 십륙국이 각지에 할거하게 되었다. 
 
그동안 전진이 한 때 중국 북부를 통일하였으나 비수의 대전에서 동진에게 패함으로써 통일의 꿈이 와해되었다. 다음으로 선비족의 척발씨가 세운 북위가 점점 강력해져 주위의 여러 나라를 정복하고 439년 다시 중국 북부를 통일함 으로써 오호 십륙국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다. 
 
즉, 중국 북부는 북위가 통일하고 중국 남부는 송의 유유가 통일함으로써 남북조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를 위해 소수림왕은 전진과 동진에서 크게 부흥하고 있던 불교를 적극 수용하여 종교적 일체감을 꾀하는 한편, 태학을 세워 교육제도를 체계화하고 율령을 반포하여 관습법에 의존하던 종래의 통치형태를 버리고 문치국가로서의 면모를 일신했다.

 

문치주의에 따른 소수림왕의 정책은 중앙집권화의 토대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중원의 두 맹주인 전진과 동진의 호응을 얻었다. 이에따라 고구려는 내정과 외치는 그 어느때 보다고 안정되었다.

 

고구려 조정은 이러한 안정을 바탕으로 백제 고립화에정책을 추친한다. 마침내 376년 11월 고국원왕에 대한 복수의 칼을 뽑아들고 백제의 북쪽 변경을 쳤다. 하지만 고구려의 침략에 대비하고 있던 백제의 반격에 밀려 별 성과없이 퇴각하고 말았다. 백제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듬해인 10월에 3만의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 평양성을 공략하였다.

 

백제의 기습을 받은 고구려는 한동안 고전하였으나, 수성전을 펼쳐 백제군을 퇴각시켰다.그러나 고구려는 이후 시련을 겪는데, 누차에 걸친 전쟁으로 민심이 흏흏해지고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졌으며, 설상가상으로 378년에는 극심한 가믐으로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는 사태가 발생하였고, 그해 8월에는 북쪽 변경 지역에 새롭게 성장하던 거란족이 칩입하여 변경 8개 부락을 함락시켰다.

 

이릇듯 백제,거란 등이 칩입하고 가믐이 지속되는 바람에 소수림왕의 문치주의 정책은 후반기로 갈 수록 퇴색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수림왕은 외적의 칩입과 가믐으로 인한 경제파탄 등으로 밀어닥친 난관을 극복하려고 애를 쓰다가 기력을 소모한 나머지 건강이 나빠져 서기 384년 11월에 생을 마감하게 된다.